• The Millennial Women at the Bar - Ambivalent Desire and Loose Solidarity -

    밀레니얼 세대 여성의 바(bar) 공간 소비 - 양가적 소비 욕구와 느슨한 연대 -

    Son, Min-jung · Nahm, Keebom

    손민정 · 남기범

    This study explores perspectives towards bar visiting of young South Korean Millennial women. By employing in-depth interviews including 2 bartenders and 9 …

    최근 바(bar)를 방문하는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30대 이하의 방문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에서는 바 공간의 주요 이용객인 밀레니얼 여성의 바 소비 …

    + READ MORE
    This study explores perspectives towards bar visiting of young South Korean Millennial women. By employing in-depth interviews including 2 bartenders and 9 millennial women customers, the findings highlight the Millennial women’s bar consumption behavior: First, the bar space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staurant spaces due to the nature of its composition and interactions, reflecting that the millennials actively use social media and mobile devices as digital natives to explore new spaces, and the rules already formed in the bar, resulting in the bars’ spatiality, where exchanges between strangers often occur. Second, millennial women show tendencies of ‘self-directed symbolic consumption’. They are independent consumers with sophisticated taste and purchasing power and try to form their own image by borrowing the image of space by sharing the experience with social media or acquaintances in the networks. Third, millennial women reveal ambivalent desire for loose social interactions while enjoying the private space and spending time on their own at the bar. The bar reveals the desire and new consumption attitude of millennial women who have financial means to consume what they want and spend their free time, where allows women to temporarily forget the anxiety felt by women, and relieves daily tension felt in society. As Millennial women’s educational level and social achievements increase, their socio-economic status will improve in the next generation.


    최근 바(bar)를 방문하는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30대 이하의 방문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에서는 바 공간의 주요 이용객인 밀레니얼 여성의 바 소비 특성과 소비 방식을 통한 생활양식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바 공간은 구성과 공간 내 상호작용의 특성이 다른 식음 공간과는 확연하게 구분된다. 외관보다 내부의 콘텐츠나 경험적 요소를 통해 손님을 유인하는 바는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소셜미디어와 모바일 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탐색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공간 소비 방식을 반영한다. 바에서는 바테이블과 바텐더의 존재, 술과 조명이 주는 분위기, 미디어에서 보여주는 이미지와 공간에 형성된 규칙 등에 의해 낯선 사람 간의 교류가 흔히 발생한다. 밀레니얼 여성은 바 공간을 소비하며 자기 지향적 기호 소비의 경향을 보인다. 경제적 결정권을 가진 독자적인 소비 주체가 된 여성은 필요에 의한 소비뿐 아니라 자신의 욕망을 반영한 소비를 한다. 바를 통해 세련된 취향, 구매력이 있는 독립적 소비 주체로서 이미지를 획득하고, 공간 소비 경험을 소셜미디어나 주변 지인에게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밀레니얼 여성은 바 공간 소비 과정에서 양가적 소비 욕구를 드러낸다. 즉, 바 공간 소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용에 호감을 느껴 이를 일상적으로 소비하고자 하나, 동시에 바 소비가 일상에 포섭되어 특유의 비일상성을 상실하는 것을 경계한다. 나아가 소비를 통해 부족한 사적 공간을 대체하고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고자 하기도 하나, 동시에 사회적 교류를 원하는 양가적 욕망을 보인다. 밀레니얼 여성은 서로를 긴밀하게 묶어두는 전통적 관계를 거부하는 대신 상황에 따라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보다 느슨한 연대를 추구하며 가부장제에서 소모해 온 자원을 가정이 아닌 자신에게 쏟고자 한다. 바는 변화된 지위에 따라 밀레니얼 여성이 표출할 수 있게 된 욕망과 소비 태도를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공간이다. 스스로를 경제적으로 책임지게 된 여성이 느끼는 불안감을 구매력의 재확인을 통해 잠시 잊게 해주는 망각의 공간인 동시에, 사회에서 느끼는 일상의 긴장을 해소하는 비일상의 공간이며, 공간 내의 사람들과 교류하며 느슨한 연대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공간이다.

    - COLLAPSE
    30 April 2024
  • A Methodological Review of Urban Research in North Korea - Toward a Framework for the Contents of Everyday Life -

    북한 도시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 도시민 일상사의 콘텐츠 분석 틀을 중심으로 -

    Suh, Moon-Gi

    서문기

    As markets have formed and some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lives of urban residents as well as urban space since 1990s, …

    1990년 이후 시장이 형성되고 도시 공간과 도시민 삶의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국가 중심의 북한 체제는 도시 자본주의 발전의 맹아 단계에 진입하면서 새로운 …

    + READ MORE
    As markets have formed and some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lives of urban residents as well as urban space since 1990s, North Korea, governed by the state-centered regime, has signaled in the sprouts of urban capitalism, a new social transformation. Given this conditions, a research trend on North Korean cities is gradually moving away from the static approach at the macro level toward the dynamic perspective at the micro level. Following this change, the methodological tradition also attempt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application of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digital ethnograph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This suggest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broadens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field by formatting the topography of North Korean urban studies from a new perspective,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data and partiality by utiliz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n in-depth analysis of North Korea’s hidden social forces identifies the psychological residue of the residents embedded in urban space, which can be useful for predicting a future track. For the era of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social formation and its potential via the functions of the state and market need to diagnose. Furthermore, continuous research efforts meet to promote a cumulative manner by an innovative research system based on interdisciplinary or industry-academia-research networks.


    1990년 이후 시장이 형성되고 도시 공간과 도시민 삶의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국가 중심의 북한 체제는 도시 자본주의 발전의 맹아 단계에 진입하면서 새로운 사회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듯이 북한 도시연구도 거시적 차원에서 북한 사회를 정태적으로 기술하는 접근에서 벗어나 도시 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동태적 변화의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방법론도 지리정보체계, 디지털 문화기술지, 인공지능 및 딥러닝 등 첨단기술의 적용을 통해 일상사의 콘텐츠에 대한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새로운 시각에서 북한 도시연구의 지형에 접근함으로써 연구 내용의 확장성을 추구하고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으로 자료 부족과 편중성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북한의 도시공간에 배태된 도시민의 심리구조를 규명할 수 있는 분석 틀을 마련하여 숨겨진 사회적 동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향후 사회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한반도 통일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시장화의 도입에 따른 북한 사회구성체의 변화와 국가 및 시장의 함수관계에 따른 사회발전의 가능성을 현실적인 맥락에서 진단하고, 학제 간 또는 산학연 네트워크에 의한 혁신적인 연구 체계를 통해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방식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COLLAPSE
    30 April 2024
  • Using Difference-in-Differences to Study the Impact of City of Culture Designation on Visitor Arrivals

    이중차분법을 이용한 법정 문화도시 지정에 따른 방문객 유입효과 연구

    Han, Chan Hee

    한찬희

    This study utilize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o analyze the effect of cultural city designation on visitor inflow. Data were collected from 32 …

    본 연구는 문화도시 지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방문객 유입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도시로 지정된 지자체 32곳의 방문객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원고정효과와 …

    + READ MORE
    This study utilize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o analyze the effect of cultural city designation on visitor inflow. Data were collected from 32 local governments designated as cultural cities, and the effects were estimated using two-way fixed effects and event study metho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low of local and foreign visitors was observed following the cultural city designation. Since cultural cities aim to uncover unique cultural resources and foster urban cultures for citizens’ enjoyment, the lack of noticeable policy effects on the both locals’ and visitors’ movements suggests that the cultural city initiatives might not have been effectively implemented among the general populace. This indicates potential issues with linkage and scalability. Secondly, no significant increase in tourist numbers at tourist sites was found. Although the cultural city initiative is not directly aimed at boosting tourism, the inflow of transient populations such as tourists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outcome. This is because visitors to cultural heritage sites or cultural institutions, represent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re counted as tourists if they come from outside the region. This aspect is particularly crucial in areas facing population decline, where the cultural city project could potentially serve as a catalyst for regional revitalization. The lack of observed effects on the inflow of transient populations warrants a thorough review for improvements. The policy implications suggest that the success metrics of cultural city initiatives should primarily be aligned with officially recognized statistics. These statistics offer reliability and allow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ir impacts. It’s also recommended that projects aimed at developing cultural professionals incorporate certifie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heir effectiveness. Additionally, educational programs should extend beyond project conclusion and satisfaction assessments to include comprehensive evaluations of impacts, such as opportunity cost savings, application of learned content, and employment linkages. This approach facilitates easier goal setting and evalua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its focus solely on the visitor effect and the inability to explore the nuanced differences among cultural cities, partly due to data accessibility constraints. Future research could benefit from analyzing outcomes specific to regional projects or comparing performances across different cohorts or regions.


    본 연구는 문화도시 지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방문객 유입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도시로 지정된 지자체 32곳의 방문객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원고정효과와 이벤트 스터디를 활용하여 효과를 추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첫째, 문화도시 지정에 따른 현지인 및 외지인 방문객 유입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도시가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발굴하여 시민들이 향유하는 도시문화를 만든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지인과 외지인의 다양한 움직임들이 정책적 효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은 문화도시 사업이 다수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지 않았을 가능성과 연계와 확장성이 미흡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관광지점의 관광객 유입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화도시 사업은 관광활성화 사업은 아니지만, 관광객과 같은 유동인구의 유입을 성과로써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인 문화재나 문화시설의 이용자들은 관외에서 유입되는 경우 관광객으로 통계가 잡히기 때문이다. 특히 인구소멸 지역의 경우 인구감소 위기에 직면하여 지역의 활성화 동력을 문화도시 사업에서 찾는 경우가 있는데, 유동인구 유입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부분은 면밀한 검토를 통해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정책 평가를 위한 문화도시의 성과는 무엇보다 국가승인통계와 연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승인통계는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관리하는 자료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으며, 해당 수치들이 어떠한 파급력을 갖는지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문화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을 진행하더라도 산업인력공단과 같은 공인된 기관에서 발급하는 자격증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성과로서 효과적이다. 교육사업의 경우도 사업종료하고 만족도 평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들의 기회비용 절감, 교육 내용의 활용도, 취업연계 등 단계별로 나타나는 성과를 집계하고 영향력을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있어야 목표 설정도 용이하고 달성과 평가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문화도시 사업이 지속되고 관련한 성과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한계로는 방문객 효과에만 초점을 두고 진행된 점과 문화도시들의 세부적인 차이를 살펴보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자료에 대한 접근의 한계이기도 한데 추후 연구에서는 세부 사업별로 관련 성과를 분석하거나 기수별 또는 권역별로 성과가 분석된 연구가 나오길 기대해 본다.

    - COLLAPSE
    30 April 2024
  • The Image of Korean Women in Study Vlogs That are Making Waves in China

    중국에서 주목받는 스터디 브이로그(Study Vlog) 속 한국 여성 이미지 분석

    Tan, Yuqian

    담옥천

    Recently, Korean women and their Study Vlogs have been discussed on Chinese social media. These videos document the long study hours of …

    최근 중국 소셜 미디어에서 한국 여성과 그들의 스터디 브이로그(Study Vlog)가 논의되고 있다. 그 영상들은 한국 젊은 여성들의 긴 학습 시간을 기록하고, 그들의 …

    + READ MORE
    Recently, Korean women and their Study Vlogs have been discussed on Chinese social media. These videos document the long study hours of young Korean women and showcase their resolute goal-setting and excellent execution skills. They are praised for their effor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studying, appearance management, health maintenance, social activities, and travel, earning them the title of “digital chicken blood”. However, this Korean female spir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South Korea’s neoliberal society. From a negative perspective, the strong social competition in neoliberal society instills fear and anxiety in individuals, who must constantly strive and improve. On the other hand, from a positive perspective, neoliberal society creates an idealized image of success in economic, social, and biological aspects, encouraging individuals to pursue wealth, social recognition, and prioritize health. These Korean women symbolize the survival and success model in a neoliberal society. China’s neoliberalism started relatively late and is currently in a contradictory stage coexisting with socialism. Young people accept socialist ideology while facing the social reality of neoliberalism, leading to feelings of anxiety and confusion under the two conflicting ideologies. The lack of neoliberal subjectivity among Chinese youth is fully demonstrated through Korean women, thus evoking admiration towards them.


    최근 중국 소셜 미디어에서 한국 여성과 그들의 스터디 브이로그(Study Vlog)가 논의되고 있다. 그 영상들은 한국 젊은 여성들의 긴 학습 시간을 기록하고, 그들의 단호한 목표 의식과 탁월한 실행 능력을 보여준다. 그들은 공부뿐만 아니라 외모 관리, 건강 유지, 친구들과의 모임, 여행 등 다방면에 걸친 노력으로 중국에서 ‘전자 닭 피’로 극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 여성의 정신은 한국의 신자유주의라는 사회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부정적인 측면에서 볼 때, 신자유주의 사회의 강력한 사회적 경쟁 체계는 개인에게 공포와 불안을 가져다주며, 끊임없이 노력하고 발전해야 한다는 태도를 유지해야만 한다. 반면에 긍정적인 시각에서는, 신자유주의 사회는 경제, 사회, 생물학적 측면에서의 성공적인 이상적 이미지를 창조하여, 그들로 하여금 부유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으며 건강을 중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한국 여성은 바로 신자유주의 사회 속에서 개인의 생존 상태와 성공적인 모델의 상징적인 존재인 것이다. 이에 비해 중국의 신자유주의는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으며, 국내 사회주의와 공존하는 모순 단계에 있다. 젊은이들은 사회주의의 이념을 받아들이면서도 신자유주의의 사회 현실에 직면해야 한다. 따라서 두 가지 모순된 이념 아래에서 불안과 혼란이 생긴다. 중국의 젊은이들의 부족한 그러나 새로운 자유주의적 주체성은 한국 여성을 통해 완전히 드러나며, 따라서 그녀들에 대한 동경이 발생한다.

    - COLLAPSE
    30 April 2024
  • Research on Rewriting Contents through Difference and Repetition - ‘The Stranger’ and ‘The Meursault Investigation’ -

    차이와 반복으로 보는 다시쓰기 콘텐츠 - 『이방인』과 『뫼르소 살인사건』 -

    You, Young Cho

    유영초

    Concepts such as “OSMU,” “transmedia storytelling,” and “content IP”, which are frequently discussed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can ultimately be …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OSMU’, ‘트렌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콘텐츠 IP’ 등의 개념들도 결국은 다시쓰기의 유형이라고 해도 좋다. 다시쓰기는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오늘날의 현상만이 …

    + READ MORE
    Concepts such as “OSMU,” “transmedia storytelling,” and “content IP”, which are frequently discussed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can ultimately be said to be a type of rewriting. Rewriting is not only a phenomenon of 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but has been carried out regardless of time, place, and genre of expression. Creativity means discovering differences and establishing criteria for differences. Therefore, rewriting can be said to be a creative activity that seeks to create new expressions and meanings through repetition and differences in the original or existing work. In particular, differences such as originality and differentiation are always emphasized in creative activities, but there has been no special research o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iscovery and occurrence of such differences. Not only for creators of literature and movies, and for field creators who plan and develop content, but also in academic research, this “difference” and “rewriting” may be a critical concept and method. We looked at its value through the concept and meaning of “rewriting”, and looked at the theoretical context such as its types and methods. As a core principle and method of rewriting strategy, we examin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rewriting through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based on this discussion, we examine the writing and rewriting of Camus’ The Stranger and Camel Daoud’s Meursault Murder Case as rewriting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ual intention’ and ‘resulting meaning’ of the differences and repetitions shown in this rewriting were revealed in various ways. By rewriting the ‘mythical mysticism’ of 『The Stranger』 into ‘historical realism’, the content was transformed into a new literary genre different from existing works. New values of postcolonial literature were created through the usurpation and overthrow of the authority and reputation of existing original texts. Through the discussion and analysis process of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rewriting’ are very critical concepts not only for creators of content planning and development, but also in the study of our cultural contents.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OSMU’, ‘트렌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콘텐츠 IP’ 등의 개념들도 결국은 다시쓰기의 유형이라고 해도 좋다. 다시쓰기는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오늘날의 현상만이 아니라, 시대와 장소, 표현의 장르를 막론하고 이루어져 왔다. 창의성(creativity)이란 바로 차이의 발견과 차이의 기준(criteria)을 세우는 것이다. 다시쓰기는 원작 혹은 기존작의 반복과 차이를 통해 새로운 표현과 의미를 창출하려는 창의적 활동이다. 문학과 영화 등의 창작자들이나 콘텐츠 기획과 개발을 하는 현장 크리에이터들에게는 물론, 학술적 연구에서도 어쩌면 이 ‘차이’와 ‘다시쓰기’야 말로 어쩌면 결정적(Critical)인 개념이자 방법이 아닐까 하는 문제의식으로 다시쓰기의 개념과 의미를 통해 그 가치를 살펴보고, 유형과 방법 등의 이론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시쓰기의 철학적 토대로서 그리고 ‘다시쓰기 전략’의 핵심적 원리와 방법으로서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 논의를 기반으로 ‘다시쓰기 콘텐츠’로서 까뮈의 『이방인』과 카멜 다우드의 『뫼르소 살인사건』이 갖는 쓰기와 다시쓰기에서의 차이를 살폈다. 이속에서 보여주는 차이와 반복의 ‘과정적 의도’와 ‘결과적 의미’는 다양하게 드러남을 확인했다. 즉, 『이방인』의 ‘신화적 신비주의’를 ‘역사적 사실주의’로 다시쓰기 함으로써 기존의 작품과는 다른 새로운 문학 장르의 콘텐츠로 변모되었고 원전이 가지고 있는 권위와 명성의 찬탈과 전복을 통한 탈식민 문학의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었다. 본고의 논의와 분석 과정을 통해 ‘차이와 반복’으로서 ‘다시쓰기’는 콘텐츠 기획과 개발의 크리에이터들에게는 물론, 우리 문화콘텐츠 연구에서도 매우 결정적인 개념이라는 문제의식이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시쓰기의 성공적 전략은 새로운 배치와 접속의 ‘차이와 반복’이며, 동일성을 기반으로 하는 비교와 부정, 분할과 배제의 차이가 아니라, 반복 속에 생성하는 ‘긍정과 포용’으로서의 차이 전략이다. 이것은 챗GPT 등 인공지능의 기술적인 배치에 의한 반복과 복제와는 차원이 다른 ‘과정적 의도’를 통해, ‘결과적 의미’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인간적 특성의 다시쓰기 전략이기 때문이다. 차이와 반복, 다시쓰기는 문화콘텐츠학을 더욱 생기발랄하게 발전시켜나갈 학문적, 실용적 중추 개념으로서 손색이 없다고 여겨진다.

    - COLLAPSE
    30 April 2024
  • A Study on the Food Charade in the Movie <The Hundred-Foot Journey>

    영화 <로맨틱 레시피>에 나타난 음식 셔레이드 연구

    Chung, Young Sun · Yoo, Dong Hwan

    정영선 · 유동환

    Foo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humans and is a cultural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has a specific meaning when …

    음식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며 문화적인 표현인 동시에 미디어 안에 위치할 때는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그중에서도 영화와의 영향 관계가 주목된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

    + READ MORE
    Foo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humans and is a cultural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has a specific meaning when it is located in the media. Among them,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the movie is noteworthy. The food in the movie has various meanings and conveys the story, but research to clarify this is still insufficient.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is approached in a socio-cultural context, but since the food in the movie is located in the movi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 using theories in that field. This study analyzed the hidden story value of food in the movie using the Charade technique, a theory of the movie.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that appears in the movie using the movie’s charade technique to find the hidden story value. Charade is a non-verbal expression technique that shows a character’s emotions, events, or background. The film in question is <The Hundred-Foot Journey>, which deals with the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a French restaurant and an Indian restaurant that operate opposite each other. Food appears as a major charade in this film.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in the movie <The Hundred-Foot Journey> by viewing the food as a single accessory charade. The first characteristic found here is that it expresses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 through food. The sea urchin, which is served as the food of a young chef Hasan, continues to appear in the movie, representing his natural talent, memories with his mother, social success, and longing for his hometown. In the movie, the meaning of sea urchins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protagonist, showing that the food is also related to the chronological growth of the protagonist.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food, and the food in the movie represents conflict and plays a role in helping reconciliation. Mrs. Mallory, who runs a French restaurant, and Hassan’s father, who runs an Indian restaurant, are the biggest pillars of the conflict, and they represent French and Indian food culture, respectively. Reconciling them is the food of Hassan and Margaret, who attempts to reconcile culture by welcoming strangers and mediating people’s relationships.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role of food as a place. Food itself represents society, country, and culture, and shows the time and space to which the characters belong. Croissants, baguettes, foie gras, and Nan, Curry, and Samosa of India appear intersectionally, showing their group and cul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od symb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harade’s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food in the movie represents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identity,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conflict and reconciliation, and the symbol of the place that reveals socio-cultural differences. In addition, the fact that food is involved in person-relationship-place impli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to characters-incident-setting, a key element of future stories,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orytelling using food.


    음식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며 문화적인 표현인 동시에 미디어 안에 위치할 때는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그중에서도 영화와의 영향 관계가 주목된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스토리를 전달하고 있으나 아직 이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영화 속에 위치한 음식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의 숨겨진 스토리 가치를 찾기 위하여 영화의 비언어적인 표현 기법인 셔레이드 이론을 활용해 영화 <로맨틱 레시피>에 나타난 음식 셔레이드를 시간, 음식 장면, 내용, 사용목적 순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견된 첫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해 인물의 성격과 심리 상태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요리사 하산의 음식으로 나오는 성게는 영화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그의 천부적인 재능, 어머니와의 추억, 사회적 성공,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낸다. 이는 음식이 개인의 정체성 구축에 영향을 주며 주인공의 연대기적 성장과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한 관계의 표현으로 영화 속 음식은 갈등을 나타내고 화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프랑스 음식을 대표하는 말로리 여사와 인도 음식을 대표하는 하산의 아버지의 갈등을 봉합하는 건 하산의 음식으로 두 문화의 화해를 시도하며 관계를 매개한다. 세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한 장소의 표현이다. 음식은 그 자체로 사회, 국가, 문화를 나타내며 등장인물들이 속한 시공간을 보여준다. 셔레이드의 사용 목적에 따른 음식을 분석한 결과 영화 속 음식은 인물의 표현, 관계의 매개, 장소의 상징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식이 인물-관계-장소에 관여한다는 점은 향후 스토리의 핵심 요소인 인물-사건-배경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내포하며 이는 음식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에도 기여할 수 있다.

    - COLLAPSE
    30 April 2024
  • Study on BL Webtoon’s Storytelling Strategy - Focusing on the Enjoyment Elements of <Painter of the Night> -

    BL 웹툰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 <야화첩>의 향유 요소를 중심으로 -

    Song, Hwa · Park, Ki Soo

    송화 · 박기수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torytelling strategies of Boys’ Love (BL) webtoon, which has grown in popularity on specialized platforms. The …

    본고는 전문 플랫폼을 중심으로 위상이 높아진 BL(Boys’ Love) 웹툰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드라마 <시맨틱 에러>의 성공으로 BL 웹툰의 스토리텔링과 …

    + READ MOR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torytelling strategies of Boys’ Love (BL) webtoon, which has grown in popularity on specialized platforms. The recent success of the drama <Semantic Error> has raised the need for research on BL webtoons’ storytelling and IP (Intellectual Property) utilization strategies, showing that there are complex elements of BL enjoyment other than depictions of sex, and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ir diversity. <Painter of the Night> is set in the Joseon Dynasty, which is rare for BL, and its excellent writing and explicit and deep depiction of sexuality have generated a buzz from the beginning of the series, making its existence known not only to BL fans but also to those who are not aware of the genre. In this article, we analyze the storytelling strategy and how it gained popularity by strategically utiliz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BL webtoons and differentiating itself from existing BL webtoons. The main storytelling strategies of <Painter of the Night> are the diversification of colorful and intense depictions of sexuality linked to the narrative 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duality of typicality and extremity. In terms of narrative, the webtoon combines two disparate narratives, BL, which emphasizes sexual love and desire, and thriller, which emphasizes chase and tension, and diversifies the depiction of sexuality according to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two main characters. In terms of characterization, the webtoon effectively utilized the power field in conjunction with the love field to form a loose triangle. By pushing the typical characterization of BL to the extreme, the audience is forced to overcome any barriers against the emergence of new and powerful characters, strengthening immersion. Given the importance of source content with the potential for IP expansion, it will continue to be necessary to explore storytelling strategies for BL webtoons that reflect the genre’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ose of <Painter of the Night>.


    본고는 전문 플랫폼을 중심으로 위상이 높아진 BL(Boys’ Love) 웹툰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드라마 <시맨틱 에러>의 성공으로 BL 웹툰의 스토리텔링과 IP(Intellectual Property) 활용 전략의 연구 필요성이 대두됐고, 이는 성애 묘사 외에 복합적인 BL의 향유 요소가 있으며 그 다양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야화첩>은 BL로서는 드물게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뛰어난 작화와 노골적이고 진한 성애 묘사로 연재 초부터 화제를 불러 일으켜 BL 향유자뿐만 아니라 BL이라는 장르를 모르던 이들에게도 그 존재를 알렸다. 이에 본고에서는 <야화첩>이 어떻게 BL 웹툰으로서의 장르적 특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기존 BL 웹툰과 차별화함으로써 대중성을 획득했는지, 스토리텔링 전략을 분석했다. <야화첩>의 주요 스토리텔링 전략은 서사와 연동된 원색적이고도 강렬한 성애 묘사의 다양화와 전형성과 극단성의 이율배반적 캐릭터성이다. 서사적인 면에서 <야화첩>은 강한 성애 묘사를 전면화하면서도 성애와 탐미를 강조하는 BL과 추격과 긴장이 고조되는 스릴러라는 이질적인 성격의 두 서사를 결합하고, 두 캐릭터의 감정 변화에 따라 성애 묘사를 다양화했다. 캐릭터성 면에서는 느슨한 삼각구도를 형성하는 연모의 장과 연계된 권력의 장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새롭고 강력한 캐릭터들의 등장에 맞서 어떠한 장벽도 극복하고야 마는 BL의 전형적인 캐릭터성을 극단으로 치닫게 함으로써 몰입을 강화한 것이다. IP 확장 가능성을 지닌 원천콘텐츠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야화첩>뿐만 아니라 장르적 특성을 반영하는 BL 웹툰의 스토리텔링 전략 탐색은 앞으로도 꾸준히 필요한 작업이다.

    - COLLAPSE
    30 April 2024
  • Exploration Study on Development Indicators for National Park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 Establishment Sites

    국립공원 생태탐방원 조성지 개발지표 탐색 연구

    Kim, Nam Young · Ji, Yun Ho

    김남영 · 지윤호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criteria for establishing National Park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s. A mixed research method …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탐방원 조성지 선정 지표의 우선 순위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연계하는 혼합연구방법으로 설계되었다. FGI를 통해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criteria for establishing National Park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s. A mixed research method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was employed. A qualitative study involving a focus group of experienced National Park field work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potential indicators.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to urban areas, proximity to existing ecological tour sites, local tourist volume, nearby convenience facilities, density of tourist resources, and local government finances were identified. Further classification resulted in six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icators. The final result wa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n AHP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 AHP analysis model consisting of six factors: park area, number of park visitors, regional balance, local population, number of local tourists, and tourism resource density. A total of 2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experts in forestry, recreation, healing, tourism, hotels, and ecotourism. After passing the overall reliability test,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item was derived using the AHP technique using 25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selecting an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 site were the number of park visitors, number of local tourists, density of tourism resources, number of local population, regional balance, and park area.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tting establishment sites for efficient creation of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s with limited budget and manpower through the weighting of indicators for selection of construction sites when introducing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s to national parks.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탐방원 조성지 선정 지표의 우선 순위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연계하는 혼합연구방법으로 설계되었다. FGI를 통해 지표를 도출하는 질적연구를 시행하였고 AHP분석 양적연구로 계량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먼저 FGI 질적연구는 포커스 그룹을 15년 이상된 실무자로 설정하였으며, 1차적으로 도출된 도시권과의 접근성, 기존 생태탐방원과의 거리, 지역 관광객수, 주변 편의시설 유무, 관광자원 밀도, 지자체 재정자립도, 코로나 전후 관광객 변동률, 지역 인구 수, 지역 균형, 탐방안내소 등의 해당공원 체험시설 수, 공원 탐방객 수, 지역사회 협력도, 공원 면적 평가지표 중에서 2차적으로 분류하고 3차적으로 6개 지표로 최종 도출하였다. AHP 양적연구는 기 도출된 공원면적, 공원탐방객수, 지역균형, 지역인구수, 지역관광객수, 관광자원밀도의 6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AHP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산림, 휴양, 치유, 관광, 호텔, 생태관광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총 25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전체 신뢰도 검증을 통과하여 25부의 자료를 가지고 AHP기법을 통해 각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탐방원 조성지 선정 지표는 공원탐방객수, 지역관광객수, 관광자원밀도, 지역인구수, 지역균형, 공원면적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탐방원을 도입하는 데 있어 조성지 선정 지표의 가중치를 통해 한정된 예산과 인력으로 생태탐방원을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0 April 2024
  • How a Successful Superhero Character is Created - Focusing on the Character of Tony Stark in the MCU -

    성공적인 슈퍼히어로 캐릭터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 MCU의 토니 스타크 캐릭터를 중심으로 -

    Kim, Seiik

    김세익

    In this article, I’m going to argue against the view that the superhero genre has outlived its usefulness. The reason I’m trying …

    이 글은 오늘날 슈퍼히어로물이라는 소재 자체가 수명과 효용을 다한 것이라는 일부 견해에 대해 반박하고자 한다. 굳이 이러한 견해를 반박하려한 이유는, 단순하게 ‘좋은 …

    + READ MORE
    In this article, I’m going to argue against the view that the superhero genre has outlived its usefulness. The reason I’m trying to refute this view is that I believe that good stories have good characters, and good characters have good characterization. There will always be good stories and bad stories. That’s why there’s no such thing as a natural lifespan for a particular genre. The current trend of declining box office for superhero content, centered around Marvel and DC studios, stems from the failure to build superhero characters with good characterization.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theorize about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creating successful superhero characters by analyzing the case of Tony Stark, a character who led the MCU at its most narrative and industrial momentum, and in doing so, I discuss some of the points at which superheroes need to reemerge as mainstream narrative material by comparing the storytelling approaches of today’s “failing” superhero characters. Characters that are authentic and in-depth in their exploration of the inner workings of the character’s mind are bound to have great characterization. Conversely, a lack of narrative exploration of a character’s inner context will disrupt the audience’s immersion and prevent them from experiencing emotional transformation, ultimately failing to achieve the fun factor.


    이 글은 오늘날 슈퍼히어로물이라는 소재 자체가 수명과 효용을 다한 것이라는 일부 견해에 대해 반박하고자 한다. 굳이 이러한 견해를 반박하려한 이유는, 단순하게 ‘좋은 이야기는 좋은 캐릭터를 갖고, 좋은 캐릭터는 좋은 캐릭터성을 갖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야기에는 언제나 좋은 이야기와 그렇지 않은 이야기가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장르의 천부적 수명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마블 스튜디오와 DC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슈퍼히어로 콘텐츠의 흥행 약화 추세는 좋은 캐릭터성을 지닌 슈퍼히어로 캐릭터 구축의 실패로부터 기인한다. 이것을 논증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MCU가 가장 활발한 서사적․산업적 동력을 갖고 있던 시기를 이끈 캐릭터인 토니 스타크 캐릭터의 사례를 분석하며 성공적인 슈퍼히어로 캐릭터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방법론에 대한 도식화 및 유형화를 시도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오늘날 ‘실패’하고 있는 슈퍼히어로 캐릭터들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비교 고찰하여, 슈퍼히어로물이 주류 이야기 소재로서 재부상하는데에 필요한 몇몇 지점들에 대해 논하였다. 캐릭터의 내면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는 과정이 진정성 있고 심도 깊게 이루어진 캐릭터는 훌륭한 캐릭터성을 가질수 밖에 없다. 이와 반대로, 캐릭터의 내면 맥락에 대한 서사적 탐구의 결여는 수용자의 원활한 몰입을 방해하고 감정 변화를 촉진하지 못하게 만들어 결국 재미 유인을 획득하는 데 실패하게 된다.

    - COLLAPSE
    30 April 2024
  • Narrative Self-Understanding Through Etude Performance Experience

    에쮸드 연행 체험을 통한 서사적 자기이해

    Park, Myoung-ok · Hong, Jae-beom

    박명옥 · 홍재범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narrative self-understanding process through the researcher’s experience with Etude performance. To achieve this, the …

    이 논문은 연구자의 에쮸드(Etude) 연행 체험을 통해 서사적 자기이해 과정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에쮸드 연행자로서의 경험, 관객으로서의 …

    + READ MOR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narrative self-understanding process through the researcher’s experience with Etude performance.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application of performative execution method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s an Etude performer, as an audience member, communication with other participants, and performance diaries.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their past experiences of ‘the dramatic’ into a text with a beginning, middle, and end according to the Etude grammar, and performed this improvisation in front of an audience. Through a solo non-verbal Etude performance titled “Gift”, the researcher expressed and perceived suppressed sorrow due to the loss of her mother, discovering that the mourning process was prolonged and difficult due to a clos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her mother. During a two-person verbal Etude performance titled “Letter”, the researcher understood that a traumatic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her father at the age of nine intensified the identification with her mother. The self-narratives constructed through the performances of “Gift” and “Letter” were newly incorporated and connected to the researcher’s self-story, allowing for narrative self-understanding over time and communication with reality. Parts of the self-narrative discoursed through the Etude performance expand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participants, filling in gaps and expanding the self-narrative. The Etude performan


    이 논문은 연구자의 에쮸드(Etude) 연행 체험을 통해 서사적 자기이해 과정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에쮸드 연행자로서의 경험, 관객으로서의 경험, 참여자들과의 소통 경험, 그리고 연행 일지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수행성의 실행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했다. 연구자는 과거의 ‘극적인 것’에 대한 경험을 시작-중간-끝이 있는 에쮸드 문법의 텍스트로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관객들 앞에서 즉흥적으로 연행했다. 1인 비언어 에쮸드 <선물> 연행을 통하여 어머니 상실로 인한 억눌렸던 슬픔을 몸으로 표현하고 지각하는 과정에서, 어머니와 정서적으로 밀착된 관계로 인하여 애도가 오래 걸렸고 힘들었음을 발견했다. 2인 언어 에쮸드 <편지>를 연행하는 과정에서 9살 때 아버지와의 이별로 인한 외상 경험이 어머니를 동일시하는 경험을 강화하였음을 이해했다. 에쮸드 <선물>과 <편지>의 연행에서 구성되었던 자기서사가 새롭게 연구자의 자기이야기에 편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자기서사가 현실과 소통하게 되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합되어 자기이해에 이를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자기이야기는 에쮸드 연행을 통해 담화화 되어 참여자들과 소통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사적 채워넣기를 통하여 자기서사를 확장할 수 있었다. 에쮸드 연행 공간은 신체적 공동현존의 전이 공간으로서 연행자와 참여자들이 서로 감정적으로 반응하며 관계를 맺게 되는 수행적 공간이다. 체현의 전이 공간에서 참여자들은 서사적 진실을 공유하며 친밀감을 증진시키며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이 연구는 에쮸드 연행 체험이 자기이야기의 일부를 담화화하여 참여자들과 소통함으로써 자신의 과거 경험을 재해석하고 의미를 창출하여 서사적 자기이해를 촉진하는데 효과적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예비치료사 및 치료사의 전문적 역량 함양을 위해 자기 탐색방법의 하나로 에쮸드 연행 체험을 제안한다.

    - COLLAPSE
    30 April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