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VID-19 and the Royal National Theatre’s Countermeasure - Focus on the Panto Production of Dick Whittington -
영국 국립극장의 코로나19 대응 연구 - 판토 <딕 휘팅턴>을 중심으로 -
-
Kim, Jae Kyoung
김재경
- Following the declar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wo lockdowns in March and November 2020, the UK government shut down most of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선언 후 영국은 3월과 11월 두 차례의 봉쇄령과 그 사이의 강도 높은 방역지침으로 공공시설 대부분의 운영을 중단했고, 3월 …
- Following the declar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wo lockdowns in March and November 2020, the UK government shut down most of its public facilities due to intensive preventive measures, and all theatre buildings suspended operations from March 16. Even after the end of the first lockdown, most theater companies gave up producing their 2020 show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severe safety protocols required for theater operations. Despite the unstable situation, the Royal National Theatre produced two shows—Death of England: Delroy and Dick Whittington—in the year’s second half to fulfill its role as a public theat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oyal National Theatre’s management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by analyzing its panto production of Dick Whittington. The paper first examines a significant feature of British pantomime: its flexibility in actively adopting current issues and trends. Then, it investigates what motivated the Royal National Theatre to produce Dick Whittington on behalf of numberless local theatres, which could not run their annual Christmas panto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paper investigates how Dick Whittington reinterprets the 2020 pandemic situation in London and the changed lives of Londoners within panto’s traditional context and humor; it does so by examining Dick Whittington’s adaptation, direction, and performance. It also points out that Dick Whittington’s online streaming created an audience expansion unparalleled in panto history and showed the genre’s hybridity. Accordingly, this paper proves that the Royal National Theatre’s Dick Whittington was a timely panto to infuse the harsh changes to everyday life due to COVID-19 with traditional theatre experiences. Through this study, the paper invites further analysis of the panto’s contemporary value and its efficient mirroring of the dominant spirit of the present.
- COLLAPSE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선언 후 영국은 3월과 11월 두 차례의 봉쇄령과 그 사이의 강도 높은 방역지침으로 공공시설 대부분의 운영을 중단했고, 3월 16일부터 모든 극장도 장기간 운영 중단에 들어갔다. 봉쇄령이 해제된 이후에도 극장 대다수는 팬데믹으로 인한 경영난과 극장 운영 시 요구된 강도 높은 방역수칙으로 해당 연도의 공연 제작을 포기한 상태였는데, 영국 국립극장은 불안정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공공 극장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하반기 공연 제작을 감행하였다. 본 논문은 2020년 국립극장이 제작한 <딕 휘팅턴>의 제작 배경과 공연분석을 통해 코로나19의 위기에 대응하는 극장의 행보를 연구하고자 한다. <딕 휘팅턴>은 영국에서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제작되어온 판토의 전통을 바탕으로 당시 코로나19로 급격하게 변화된 삶의 방식이 더해져 2020년 런던의 상황을 판토의 형식에 맞게 재해석한 보기 드문 공연 콘텐츠이다. 논문은 코로나19의 특수 상황이 <딕 휘팅턴> 공연 창작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동시대적 특수성에 주목하여 각색, 연출, 퍼포먼스를 아우르는 공연의 특성을 분석한다. 특히 작품 속 런던의 과거와 현재가 혼종되어 만들어낸 문화충돌과 양분된 반응을 2020년 영국이 처한 상황을 통해 이해한다. 이것을 통해 코로나19의 환경 속에서 <딕 휘팅턴> 공연이 온라인 스트리밍과 맞물려 기존의 판토와 비교 불가능한 확장성을 만들어낸 이유는 변화에 판토의 유연한 혼종성에 있음을 주장한다. 논문은 <딕 휘팅턴>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동시대 제작된 판토의 문화적 가치를 주목하고자 한다.
-
COVID-19 and the Royal National Theatre’s Countermeasure - Focus on the Panto Production of Dick Whittington -
-
-
Study of Korean Hero Stories Prototype - Through Comparison between Web Novel -
웹소설 <나 혼자만 레벨업>을 통해 본 한국형 영웅서사의 원형 - <주몽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Kim, Juong-Hee
김정희
-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at the aspect of hero, growth, and achievement that can be found in Jumong From can also …
본고에서는 <주몽신화>의 주몽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영웅으로서의 면모와 성장, 성취를 <나 혼자만 레벨업>의 성진우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
-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at the aspect of hero, growth, and achievement that can be found in Jumong From can also be found in Sung Jin-woo of web-novel . In Chapter 2, the story structure and motifeme of were analyz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Sung Jin-woo’s task and solution method. In Chapter 3, and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point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ow the story prototype of was implemented in .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two stories share the structure of ‘awakening-growth (preparation)-choice-success’. In addition, the following heroism is common in the deeds of Jumong and Sung Jin-woo; ∆Escape from problems such as being pushed out of the periphery due to the absence of a father or low social status ∆Reveal superior abilities and form force ∆Perform the task of constructing a new composition with actions suitable for noble bloodline and ability. is a work that modernizes the story of , and Sung Jin-woo can be seen as a Jumong-type hero.
- COLLAPSE
본고에서는 <주몽신화>의 주몽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영웅으로서의 면모와 성장, 성취를 <나 혼자만 레벨업>의 성진우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나혼렙>의 서사 구조와 각 단락소에서 나타나는 ‘성진우’의 과업과 해결 방식의 특징을 포착하였다. 3장에서는 <주몽신화>의 서사 구조와 ‘주몽’의 과업 및 해결 방식을 <나혼렙>과 견주어 보면서 <주몽신화>의 서사적 원형이 <나혼렙>에서 어떻게 현현되고 있는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 작품은 ‘각성-성장(준비)-선택-성공’이라는 서사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주몽과 성진우는 아버지의 부재나 낮은 사회적 지위, 주변부로 밀려나 배제되는 등의 문제 상황에서 벗어나, 월등한 힘을 드러내고 이로써 세력을 형성하며, 고귀한 혈통과 능력에 걸맞은 행적으로 새로운 판을 구성하는 과업을 수행하는 영웅임을 밝혔다. 이로써 <나혼렙>을 <주몽 신화>와 비교하여 <나혼렙>이 신화적 서사 구조와 등장인물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나혼렙>은 <주몽신화>의 서사를 현대적으로 소화하고 있는 작품으로, <나혼렙>의 성진우는 주몽형 영웅으로 볼 수 있는 단서가 마련되었다.
-
Study of Korean Hero Stories Prototype - Through Comparison between Web Novel -
-
-
A Study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ndicator Development for Online Media Arts Activities Support Project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의 성과측정 및 지표개발 연구
-
Lee, Byungmin
이병민
- As social distancing was prolonged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2020, the art community actively tried to communicate with …
2020년 감염병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면서 예술계는 온라인 콘텐츠를 통한 관객과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였으며 많은 관객과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으며 비대면 문화예술 콘텐츠의 …
- As social distancing was prolonged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2020, the art community actively tried to communicate with audiences through online contents, leading to a new trend of non-face-to-fac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by winning responses from many audiences and consumers. As audiences have started returning to concert halls and exhibition halls, the art world is rapidly reverting back to pre-COVID-19 daily life. In this study, it is examined the effects of the online media arts activity support project initiated during social distancing, including plans for improving existing performance indicators. It is proposed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subsidy project and adding meaning to public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online media arts activity support. It is considered the post-COVID-19 era policy projec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recent trends, keyword analysis, and a pilot model. In conclusion, it is created a test model for the performance and direction of policy support projects, going beyond simple output indicators and considering cultural values for each value chain.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support for online media art activities can be helpful to the art world and that support for online media art activities can be used as a tool for more diverse classes and generations to enjoy and develop.
- COLLAPSE
2020년 감염병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면서 예술계는 온라인 콘텐츠를 통한 관객과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였으며 많은 관객과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으며 비대면 문화예술 콘텐츠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갔다. 이후 상황이 나아지면서 다시 관객들이 공연장과 전시장으로 돌아오면서 예술계는 빠르게 코로나 이전 일상으로 복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시작된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이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 기존의 성과지표 개선안을 포함하여 성과측정 모델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국고 보조사업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공공성의 의미를 더해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려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최근 트렌드, 키워드분석, 시범적인 성과지표 제안 등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 정책사업의 방향성을 고민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정책지원사업의 성과와 지향점에 대해 성과지표 개선을 포함한 시험적인 모델을 제안해볼 수 있었으며, 단순 산출(output) 지표에서 나아가 가치사슬별로 문화적 가치를 고려, 가능한 성과지표와 보조사업의 개선방향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 앞으로 더욱 예술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과 다양한 계층과 세대들이 더 많이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로서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이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 Study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ndicator Development for Online Media Arts Activities Support Project
-
-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Public Arts Organization - A Case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
공공 문화예술 조직 운영 자율성에 관한 제도론적 분석 - 국립극단 사례를 중심으로 -
-
Jung, Yong Sung · Chang, WoongJo
정용성 · 장웅조
- In the promotion of creative art production and cultural content creation, the autonomy of arts organizations is critical. Nevertheless, the autonomy of …
문화콘텐츠 창제작을 비롯한 핵심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민간 조직의 장점을 반영하여 법인화된 조직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자율성 제고에 따른 …
- In the promotion of creative art production and cultural content creation, the autonomy of arts organizations is critical. Nevertheless, the autonomy of Korean art organizations is jeopardized by the impact of governmental control.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as a case study, utilizing a new institutional theory framework to analyze both external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policies and regulations, as well as internal norms and culture-cognitive institu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despite attempts to establish autonomy,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has not effectively secured full operational autonomy. In particular, the analysis reveals that short-term performance evaluation is a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in the infringement of autonomy in arts organizations.
- COLLAPSE
문화콘텐츠 창제작을 비롯한 핵심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민간 조직의 장점을 반영하여 법인화된 조직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자율성 제고에 따른 예술성과 운영효율성의 확보를 위해 공공 문화예술 기관의 상당수가 법인화되었으나, 그 효과를 명확히 확인하기는 힘들다. 이러한 상황을 톺아보기 위한 사례연구로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제도분석 연구에서 주목한 정책, 법률 등 외부적 제도뿐만 아니라 사회학적 신제도론 관점에서 조직 내부의 규범과 문화 인지적 제도를 분석의 주요 대상에 포함하여 조직의 자율성이 어떻게 확보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설립 초기부터 법인화된 현재까지 지속적인 자율성의 확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립극단은 여전히 운영 전반의 자율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직 평가 측면에서 재원 확보 등 조직의 장기적인 자율성 확보를 유도하기보다는 단기적 성과와 실적 중심의 평가가 문화예술 기관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함을 확인하였다.
-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Public Arts Organization - A Case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
-
-
The Direction of Xi Jinping’s 3rd Term Cultural Arts through Chinese Opera
중국 가극을 통해서 본 시진핑 3기 문화예술의 방향성
-
Sohn, Sooyeoun
손수연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irection of cultural arts pursued by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nd the government, …
본 연구는 세 번째 임기를 맞이한 시진핑 중국 주석과 정부가 추구하는 문화 예술의 방향성을 중국 가극을 통해서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irection of cultural arts pursued by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nd the government, who are in the third term, through Chinese opera. Since 2012, when Xi Jinping took office as supreme leader, China’s cultural politic pattern of using culture and art as a political means is increasingly strengthened. It also can be found that opera is used as a useful tool for cultural politics. National opera, creat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1945 with the aim of effectively conveying socialist ideology and ideas to the people, has developed with the inherent limitation of political purpose, and is still recognized as playing the same role in Chinese society. This trend is getting stronger under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Since 2017, the Chinese government has announced that they will support the entire process of creation and performance by selecting national operas with excellent quality and value,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s selected and supported nearly 30 work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aterial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works on how the Chinese government uses national operas to strengthen the ruling power and political propaganda, and analyzed three of them in terms of content criticis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used opera to promote the realization of a “Xiaokang” society, attempted to change the situation by wrapping the unexpected sudden spread of the COVID-19 virus with people’s unity and sacrifice, and emphasize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National opera can be assessed as an interesting performing arts content that re-appropriated Western opera. If Chinese opera and cultural arts avoid being excessive political tools and focus on improving artistry, they will be able to contribute more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East Asian performing arts.
- COLLAPSE
본 연구는 세 번째 임기를 맞이한 시진핑 중국 주석과 정부가 추구하는 문화 예술의 방향성을 중국 가극을 통해서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진핑이 중국 최고지도자에 취임한 2012년 이후, 문화 예술을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중국의 문화정치 양상은 갈수록 강화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문화정치의 유용한 도구로서 가극이 활용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1945년 중국 공산당이 인민들에게 사회주의 이념과 사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작한 민족가극은 정치적 목적성을 수반했다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발전해 왔고, 오늘날도 중국 사회에서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 같은 경향은 시진핑 정권에서 더욱 강해지고 있는데 중국 정부는 지난 2017년부터 작품성과 가치가 뛰어난 민족가극을 선정하여 창작과 공연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한다고 발표하고 현재까지 약 30여 편에 가까운 작품을 선정하여 지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작들을 대상으로 중국 정부가 민족가극을 집권세력 강화와 정치적 선전에 어떻게 이용하는지 작품의 소재와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중 특기할 만한 작품 세 편을 골라 콘텐츠 비평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시진핑 정부는 가극을 활용해, 목표로 했던 ‘샤오캉’ 사회의 전면적인 실현을 홍보하고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이라는 돌발변수를 인민의 단결과 희생으로 포장해 국면전환을 시도했으며,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보다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족가극은 서양 오페라를 재전유 시킨 흥미로운 공연예술콘텐츠로 평가할 수 있다. 중국 가극과 문화 예술이 지나친 정치도구화를 지양하고 예술성 향상에 치중한다면 동시대 동아시아 공연예술 발전에 보다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
The Direction of Xi Jinping’s 3rd Term Cultural Arts through Chinese Op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