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llness Storytelling and Narrative Identity in YouTube Vlogs
브이로그에 나타난 질병 스토리텔링과 이야기 정체성
-
Lee, Hae Soo
이해수
- This study explores how the storytelling of the ill body and its embodied experiences is represented in young women’s vlogs about their …
본 연구는 젊은 여성들의 투병 브이로그에서 아픈 몸과 체현의 언어가 발화되는 양상을 쫓아 이를 통해 자아가 재구성되는 측면을 살핀다. 질병으로 인한 몸의 …
- This study explores how the storytelling of the ill body and its embodied experiences is represented in young women’s vlogs about their illnesses, and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self is reconstructed through the performances. The plight of the body through illness threatens the continuity and unity of life. The sensations, pains and incomprehensible suffering of the body, to which they pay no attention when they are healthy, overwhelm their lives. However, ill bodies (re)organize their lives into stories, giving order and meaning to the unpredictable events that illness brings. Vloggers recall past experiences of living with the illness and reinterpret these experiences in the present to create meaning and direction in their lives. Their stories are not linear or structured. The story is often interrupted by the constant discord with the ill body, and it is fragmentary. Nevertheless, the vloggers try to understand more about their bodies and lives, which have been changed and transformed by the illness. They also struggle to find figurative words and metaphors to adequately express their experiences. Vloggers plan, shoot, and edit their own videos and use their vlogs as a space for self-expression and authenticity. They gain self-esteem through their efforts to tell their audiences about their ordinary lives and life orientation with the illness and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stories. This study analyzes these processes as performative practices in which vloggers actively construct their identities in order to live in symbiosis with their ill bodies.
- COLLAPSE
본 연구는 젊은 여성들의 투병 브이로그에서 아픈 몸과 체현의 언어가 발화되는 양상을 쫓아 이를 통해 자아가 재구성되는 측면을 살핀다. 질병으로 인한 몸의 곤경과 변화된 일상은 삶의 지속성과 통일성에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건강할 때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몸의 감각과 통증, 불가해한 고통은 때때로 삶 전체를 압도한다. 그러나 아픈 몸들은 질병이 가져오는 예측 불가능한 사건들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며 자신의 삶을 이야기로 구성해나간다. 브이로거들은 ‘이야기하기(stoytelling)’를 통해 질병과 함께 살아온 과거의 경험을 회고하고, 현재의 시점에서 그 경험을 재해석하며 삶의 의미와 방향을 만들어 나간다. 이들의 이야기는 선형적이거나 구조적이지 않다. 계속되는 몸과의 불화로 이야기는 종종 중단되고 내용은 파편적이다. 그럼에도 브이로거들은 질병으로 인한 변화된/변화 중인 몸과 삶을 응시하며 그 경험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비유의 언어를 발굴한다. 또한 브이로거들은 영상 기획과 촬영, 편집 등을 직접 수행하며 브이로그를 자기표현의 공간으로 의미화한다. 시청자들에게 질병과 살아가는 보통의 일상과 삶의 지향을 이야기하고, 그 이야기에 대해 책임지려는 노력을 통해 자기 존중감을 획득해나간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브이로거들이 아픈 몸과 공생하기 위해 자신의 정체성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수행적 실천으로 분석한다.
-
Illness Storytelling and Narrative Identity in YouTube Vlogs
-
-
A ‘Capitalocene’ Interpretation of the Symbolism of the Worm Motif in Ecological Science Fiction Narratives - Focusing on the Novel “Dune”-
생태주의 SF 서사의 벌레 모티프의 상징성에 대한 ‘자본세’적 해석 - 소설 『듄』을 중심으로 -
-
Kim, Ki Hong
김기홍
- This paper examine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worm motif in Frank Herbert’s novel Dune, interpreting it through the lens of the …
이 논문은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 『듄』에 등장하는 벌레 모티프의 상징적 의미를 환경문제와 관련된 자본세 개념과 연계하여 해석한 것이다. 먼저, 선행연구로서 생태주의 SF …
- This paper examine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worm motif in Frank Herbert’s novel Dune, interpreting it through the lens of the ‘Capitalocene’ concept as it relates to environmental issues. The study begins by reviewing the symbolism of the worm motif in eco-critical science fiction narratives, drawing upon mythological research, and considering its application within the narrative framework of Dune. Subsequently, the research explores the foregrounded academic approach to environmental issues in science fiction narratives, namely the ‘Anthropocene’ discourse and its alternative, the ‘Capitalocene.’ Within this context, the symbolism of the giant worm is scrutinized.
Utilizing this theoretical framework, the paper interprets the symbolism of the giant worm Shai-Hulud in Dune, examining its dual representation as both an object of extractivism, symbolizing ‘death,’ and as an embodiment of ‘life,’ symbolizing the earth and nature.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giant worm motif, in relation to eco-criticism, possesses symbolic power that calls for a re-evaluation of reason and rationality, a reflective examination of modernity, a recognition of the self-destructiv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m and ecosystems, and an acknowledgment of the necessity for respect towards nature and plant ecosystems.
- COLLAPSE
이 논문은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 『듄』에 등장하는 벌레 모티프의 상징적 의미를 환경문제와 관련된 자본세 개념과 연계하여 해석한 것이다. 먼저, 선행연구로서 생태주의 SF 서사의 벌레 모티프의 상징성을 신화연구를 원용하여 검토하고, 『듄』의 서사와 결부해 고찰했다. 다음 단계에서 생태주의적 환경문제와 관련된 SF 서사의 전경화된 학술적 접근의 지평인 ‘인류세’와 그 대안으로서의 ‘자본세’ 담론을 검토하면서, 거대벌레의 상징을 고찰했다. 그리고 이 틀을 활용하여 『듄』의 거대벌레 샤이 훌루드가 가진 추출주의의 대상으로서의 ‘죽음’과, ‘생명’으로서의 대지와 자연의 상징을 해석했다. 연구 결과, 거대벌레는 생태주의와 관련하여 이성과 합리에 대한 재검토와 근대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 자본주의와 생태계가 맺는 관계의 자기파괴성에 대한 재인식, 자연과 식물 생태계에 대한 존중의 필요성을 요청하는 상징적 힘이 있었다.
-
A ‘Capitalocene’ Interpretation of the Symbolism of the Worm Motif in Ecological Science Fiction Narratives - Focusing on the Novel “Dune”-
-
-
A Meta-Analysis of Zombie Studies -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after 2010s -
좀비물 연구의 메타 분석 - 2010년대 이후 국내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
Kang, Bora
강보라
- The 2016 film Train to Busan, the 2019 Netflix series Kingdom, and the 2022 series All of Us Are Dead have demonstrated …
2016년 영화 <부산행>, 2019년 넷플릭스 시리즈 <킹덤>과 2022년 <지금 우리 학교는>은 서구 영상문화의 대표적인 장르이자 콘텐츠로 여겨졌던 좀비물이 한국 사회 고유의 특수성을 …
- The 2016 film Train to Busan, the 2019 Netflix series Kingdom, and the 2022 series All of Us Are Dead have demonstrated that the zombie genre,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quintessential genre of Western visual culture, can encapsulate the unique particularities of Korean society while also connecting with global universality. Zombies, as characters, worldviews, and narratives, have frequently been used to depict otherness or to portray disaster scenarios. They resonate with contemporary realities such as war, economic crises, and pandemics, thereby amplifying their influence.
The commercial success of Korean zombie content has led to discourses emphasizing the distinctiveness of ‘Korean-style zombies’ and so-called ‘K-zombie’ genres, driving a quantitative expansion in related research. This study posits that domestic zombie genre research, which is relatively short in comparison to Western research, has seen a rapid expansion since 2010. It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of how zombie content has been received within Korean society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f related research.
To this end, the study sampl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index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over approximately 14 years and 6 months from 2010 to the present, and analyzed them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omestic zombie genre research achieved contextualization within Korean society through intensive analysis of Korean zombie content. Second, a significant portion of domestic zombie genre research performed a political-economic critique function, identifying issues arising within the current economic system through the lens of zombie content. Third, domestic zombie genre research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unique aspects of humanity and otherness by interpreting complex storytelling and character traits that are considered distinct from Western zombie genres.
Despite these academic achievements, the concentrated scope of research and the limited research methodologies present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future studies.
- COLLAPSE
2016년 영화 <부산행>, 2019년 넷플릭스 시리즈 <킹덤>과 2022년 <지금 우리 학교는>은 서구 영상문화의 대표적인 장르이자 콘텐츠로 여겨졌던 좀비물이 한국 사회 고유의 특수성을 담보하면서도 글로벌 층위의 보편성과 맞닿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캐릭터, 세계관, 그리고 서사로서 좀비는 타자적 존재를 표현하거나 재난상황을 구현할 때 단골소재로 활용되었으며 전쟁, 경제 위기, 팬데믹 등 당대의 현실과 공명하며 그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한국 좀비물의 상업적 성공은 ‘한국형 좀비’와 일명 ‘K-좀비물’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담론을 이끌어내며 관련 연구의 양적 팽창을 낳았다. 이 연구는 서구에 비해 비교적 짧은 국내 좀비물 연구가 2010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 관련 연구를 메타 분석하여 한국사회 내에서 좀비물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입체적으로 바라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현재까지 약 14년 6개월 동안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을 표집하여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좀비물 연구의 성과와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국내 좀비물 연구는 한국 좀비물에 관한 집중적인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 내 맥락화를 달성했다. 둘째, 국내 좀비물 연구 중 상당수가 좀비물을 통해 현재 사회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발굴하는 등 사회비판적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좀비물 연구는 서구 좀비물과 차별화된다고 판단되는 복합적인 스토리텔링과 캐릭터성을 독해함으로써 고유한 인간성과 타자성을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와 같은 학문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치중된 연구 범위와 한정된 연구 방법은 후속 연구를 통해 새롭게 모색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
A Meta-Analysis of Zombie Studies -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after 2010s -
-
-
Is Revenge Possible? - The Revenge in The Glory is Not Subversion
그 복수는 가능한가 - <더 글로리>의 복수(도착)는 전복이 아니다
-
Kang, Sunhwa · Baek, Moonyi · Ahn, Soongbeom
강선화 · 백무늬 · 안숭범
-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Korean drama The Glory as an exposé of the oppression and violence structurally embedded in Korean …
본 연구는 <더 글로리>를 한국 사회에 구조적으로 존재하는 억압과 폭력에 대한 고발로 놓고, 주인공의 여정을 정신분석학·사회학적 시선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더 글로리>의 복수 …
-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Korean drama The Glory as an exposé of the oppression and violence structurally embedded in Korean society, analyzing the protagonist's journey through psychoanalytic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To microscopically examine the revenge plot in The Glory,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 of exclusive class formation, which sustains relational permanence. This class structure intensifies the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motives and methods of reveng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issue of exclusive class formation will clarify the development and inherent meaning of the revenge plot.
The discussion begins by defining the protagonist, Moon Dong-eun’s revenge as fundamentally sadomasochistic, characterized by a challenge toward an inherently impossible target. Specifically, Dong-eun positions herself as an object of impulse, a tool for the jouissance of the Other. While she attempts direct and ruthless retribution against her perpetrators, this endeavor presupposes her own extreme self-destruction. In this way, Dong-eun strives to regulate her entire life through her own law of revenge.
The significance of revenge in The Glory lies in the coherent implications embedded within its process. The execution of revenge is intertwined with the class structure, progressing logically and consistently at each stage. The protagonist’s retribution reflects a social resonance by reversing the hierarchy of class order and returning the violence and oppression she endured. Nevertheless, The Glory stops short of achieving legal subversion grounded in public restitution, focusing instead on personal vengeance. The protagonist is unable to exact fundamental revenge on the class order behind the perpetrators—the entrenched social structures that breed violence, discrimination, and hatred. This study interprets the narrative outcome as the visualization of the anticipated “impossibility of revenge.”
- COLLAPSE
본 연구는 <더 글로리>를 한국 사회에 구조적으로 존재하는 억압과 폭력에 대한 고발로 놓고, 주인공의 여정을 정신분석학·사회학적 시선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더 글로리>의 복수 플롯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관계의 항상성을 유지하며 형성된 배타적 계급 문제를 살펴본다. 이 계급 구조는 캐릭터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복수의 동기와 실행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배타적 계급 문제를 통해 복수 플롯의 전개 양상과 내재적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주인공 문동은의 복수는 근원적으로 불가능한 대상을 향한 도전이라는 점에서 사도마조히즘적인 도착의 성격을 지닌다고 규정하며 논의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동은은 자신을 충동의 대상으로, 타자의 주이상스의 도구로 위치시킨다. 실제로 동은은 가해자를 향한 직접적이고 처절한 응징을 시도하지만 이는 자기 자신의 극단적 파괴를 전제한다. 그렇게 동은은 자기만의 법(복수)을 만들면서 인생 전체를 완벽하게 규율하려 한다. <더 글로리> 복수가 유의미한 이유는, 그러한 복수의 실천이 과정적으로 정합적인 함의를 갖기 때문이다. 복수의 실행 과정은 계급 구조와 맞물려 있으며, 복수의 각 단계가 논리적으로 일관된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자신이 입은 폭력과 억압을 계급 질서의 위계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그대로 되돌려준다는 점에서 사회적 공명점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더 글로리>는 사적인 노력을 통한 보복이 있을 뿐, 공적인 회복을 전제한 합법적 전복에는 이르지 못한다. 가해자들의 배후에 있는 계급 질서, 곧 폭력과 차별, 혐오를 낳는 고착화된 사회 구조에 근본적인 복수를 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서사적 귀결을 두고, 예견되었던 ‘복수의 불가능성’이 가시화된 것으로 파악한다.
-
Is Revenge Possible? - The Revenge in The Glory is Not Subversion
-
-
The Subject of Space Production in the Web Fiction Platform
- Based on Henri Lefebvre’s The Production of Space -
웹소설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주체 -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
-
Park, Sung Jun
박성준
- This paper focuses on examples of the social practices and appropriation of space by th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that appear in …
본고는 웹소설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주체들의 사회적 실천과 공간의 전유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3 …
- This paper focuses on examples of the social practices and appropriation of space by th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that appear in the web fiction platform. Through this, we discuss who the thre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that appear on the platform are specifically and how they intervene in social space. This paper reveals how the spatial patterns and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that appear in Lefebvre’s production of space appear in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ample of a web novel platform, we discuss the subjects of virtual space in the current global network and the meaning of ‘production of space’ they create.
According to Lefebvre, space is produced dialectically through three moments: spatial practice, spatial representation, and represented space. And th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such as the ruling class, space planners, and individuals, are involved in this space product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presented by Lefebvre appear on the platform and how space is ‘produced’ through their intervention. In space production, the ruling class that forces space planners to build space and lays the foundation can be seen as a global company that owns various access networks to the global network in virtual space and a platform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to those connected. You can. And these global companies build the foundation that contains their ideology through space planners (IT experts). And individuals who access the foundation (platform) constructed in this way create a multifaceted space on that foundation and appropriate the space. In other words, the three entities that produce space do not disappear in virtual space. This reveals that virtual space does not present a new spatial production model that escapes the state capitalism and technocratic political knowledge structure criticized by Lefebvre, but rather is a spatial production that has only been replaced by global market capitalism and technology-centered knowledge structure. In this respect, the three entities that produce the space of the web novel platform are platform operators (ruling class), writers (urban planners), and users (individuals).
Through a case study, this paper was able to see that the situation changed as numerous readers of the web novel platform quickly moved and crossed platforms. The virtual space called the platform ‘space exists in plural form, not singular’ and includes the spatial principle of coexistence. In other words, in that individuals in virtual space can cross and overlap spaces, unlike individuals in physical space, it can be seen that virtual space is a guerrilla space production that is constantly ‘appropriated’ by ‘individuals’. However, this is nothing more than a guerilla-like diversified space being ‘appropriated’ at the same level as existing space production, rather than a space being produced through an individual’s practice space. In this respect, the platform does not ultimately escape Lefebvre’s discussion. However, we originate from the ‘possibility’ that spatial politics advocating the ideology of autonomy and appropriation can be realized within the ‘affirmation’ of guerrilla space production.
- COLLAPSE
본고는 웹소설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주체들의 사회적 실천과 공간의 전유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3 주체가 구체적으로 누구이고, 이들의 사회적 공간에 어떻게 개입하는지 논의한다. 본고는 가상 공간에서 르페브르의 공간 양식과 공간 생산의 주체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밝힌다. 또한 본고는 웹소설 플랫폼의 사례를 바탕으로 현재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공간의 주체들과 이들이 만들어내는 ‘공간의 생산’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르페브르에 따르면, 공간은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이라는 3 계기를 통해 변증법적으로 생산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생산에는 지배계급, 공간 기획자, 개인이라는 공간 생산의 주체들이 개입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르페브르가 제시한 공간 생산의 주체가 플랫폼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이들의 개입을 통해 공간이 어떻게 ‘생산’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공간 생산에서 공간 기획자에게 공간 구축을 강요하고 토대를 마련하는 지배계급은 가상 공간에서 글로벌 네트워크에 다양한 접속망을 소유하고 있고, 접속한 이들에게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소유한 글로벌 기업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글로벌 기업은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 토대를 공간 기획자(IT 전문가)를 통해 구축한다. 그리고 이렇게 구축된 토대(플랫폼)에 접속한 개인들은 그 토대 위에서 다각화된 공간을 만들어내며 공간을 전유한다. 다시 말해 공간을 생산하는 3 주체는 가상 공간 속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이는 가상 공간이 르페브르가 비판한 국가자본주의와 기술관료정치적 지식구조를 벗어난 새로운 독립된 공간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 자본주의와 기술 중심의 지식구조로 대체되었을 뿐인 공간 생산임을 드러낸다. 이런 점에서 웹소설 플랫폼의 공간을 생산하는 3 주체는 플랫폼 사업자(지배계급), 작가(도시기획자), 이용자(개인)이다. 본고는 사례를 통해 웹소설 플랫폼의 수많은 독자들이 빠르게 플랫폼을 이동하고, 넘나들면서 사태가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랫폼이라는 가상 공간은 ‘공간이 단수가 아니라 복수 형태로 존재’하고, 병존이라는 공간적 원리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가상 공간에서 개인들이 물리적 공간에서의 개인들과 달리 공간을 넘나들고 중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상 공간은 ‘개인’에 의해 끊임 없이 ‘전유’되는 게릴라적 공간 생산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이는 게릴라적인 다각화된 공간이 개인의 실천 공간에 의해 공간이 생산되는 것이라기보다 기존의 공간 생산과 같은 층위로서 ‘전유’되는 것에 지나지 않다. 이런 점에서 플랫폼은 결국 르페브르의 논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게릴라적 공간 생산이라는 ‘긍정’ 속에서 자치와 전유의 이념을 표방하는 공간정치가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
The Subject of Space Production in the Web Fiction Platform
- Based on Henri Lefebvre’s The Production of Spa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