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nse of Place Formation through Hosting of Friends and Relatives - The Case of Korean Migrants in Vietnam -

    친구 친지 방문 호스팅을 통한 장소감 형성 - 베트남 이주 한인을 중심으로 -

    Jang, Haeri · Lee, Joonyoung · Choi, Suh-hee

    장해리 · 이준영 · 최서희

    In the context of 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VFR), this paper explores how migrants’ hosting of friends and relatives affects the formation …

    본 논문은 이주민의 친구 및 친지 방문(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VFR) 호스팅이 이주 지역의 장소감 형성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주민이 …

    + READ MORE
    In the context of 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VFR), this paper explores how migrants’ hosting of friends and relatives affects the formation of a sense of place in the receiving count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bout the sense of place of migrants and VFR hosting, this study integrates these two research streams. Korean migrants in Ho Chi Minh City, Vietnam, are the study subject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place of the migrants through VFR hosting. Nar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terpret how the interviewees constructed their experiences that led them to form a sense of place.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mation of a sense of place is importantly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s in Vietnam that enable them to feel a sense of ‘home’ there. The hosting processes including preparing for hosting and spending time with the guests in Vietnam enable the hosts to build a sense of both ‘home’ and ‘away’ through experiencing new about Vietnam and rediscovering their everyday spa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overs the formation processes of a sense of place through the lens of VFR and in the context of Vietnam.


    본 논문은 이주민의 친구 및 친지 방문(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VFR) 호스팅이 이주 지역의 장소감 형성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주민이 이주 국가와 지역에서 형성하는 장소감에 집중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VFR 관광 호스팅을 통해서 형성되는 장소감을 탐구하였다. 베트남 호찌민에 거주 중인 한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이주민 호스트의 장소감을 중심으로 친구 및 친지 방문 호스팅에 따른 감정 및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개별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시공간적 요인과 동질감과 같은 감정, 편리함과 같은 경험이 이주민의 장소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VFR 관광 호스팅을 통한 장소감 형성은 공간, 감정, 경험의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 이주민은 호스팅을 위해 의도적으로 다양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이는 새로운 공간 인식으로 이어지며, 이주민들의 소비 및 여가 공간의 확장의 계기가 된다. VFR 관광객을 통해 느낀 ‘집’과 ‘멀리’, 이주 지역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과 같은 감정적 부분 또한 이주민의 장소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VFR 관광 호스팅을 통한 이주 지역에 대한 긍정적 기억 형성, 일상 공간에 대한 새로운 경험, 거주 지역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같은 경험들 역시 이주민의 장소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존 이주민 연구에서 개별적인 키워드로 다뤄지던 이주민의 장소감과 VFR 관광 호스팅 경험을 복합적으로 탐구함으로써 VFR과 장소감을 복합적으로 연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 한인으로 VFR 연구의 지역적 맥락을 확장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COLLAPSE
    31 August 2023
  • A Study on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Worldbuilding - Focusing on the Case of Zombie Content Kingdom -

    세계관 구축의 개념과 그 방법론에 관한 연구 - 좀비 콘텐츠 <킹덤>의 사례를 중심으로 -

    Seong, Minyoung · Bae, Sangjoon

    성민영 · 배상준

    The use of ‘universe’ or ‘world’ as brand names for media franchises can easily be found in recent times, as worldbuilding is …

    오늘날 문화콘텐츠 현장에서 세계관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라는 본래의 의미 대신 작품 속 시공간적 배경인 허구 세계(fictional world)를 나타내는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

    + READ MORE
    The use of ‘universe’ or ‘world’ as brand names for media franchises can easily be found in recent times, as worldbuilding is recognized as a fundamental strategy in content branding.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worldbuilding and aims to establish its methodology. The current study presents the zombie content, specifically the drama series Kingdom (2019~), as a case study to validate this worldbuilding methodology. Theoretically, a fictional world includes many fictional facts that may also hold true in the real world. However, worldbuilding is the process of disregarding those facts and constructing a set of propositions that are considered false in reality. We designed a worldbuilding methodology that involves creating tables consisting of propositions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fictional world and determining their truth or falsehood individually. In conclusion, through the worldbuild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optimization process, which involves selecting important elements and incorporating propositions that are true in reality, is a fundamental aspect of worldbuilding. This provides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오늘날 문화콘텐츠 현장에서 세계관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라는 본래의 의미 대신 작품 속 시공간적 배경인 허구 세계(fictional world)를 나타내는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관을 나타내는 ‘유니버스’나 ‘월드’가 미디어 프랜차이즈의 브랜드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세계관 구축(worldbuilding)은 콘텐츠 브랜딩의 중심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세계관 구축의 개념을 검토하고 그 방법론의 정립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세계관 구축 방법론을 단순히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좀비 콘텐츠, 특히 드라마 <킹덤>(2019~) 시리즈를 사례로 채택하였다. 이론적으로 세계관은 현실에서 참으로 통용되는 많은 명제를 포함하지만, 세계관 구축은 이를 무시하고 현실에서 거짓으로 여겨지는 명제의 집합을 만들어내는 작업과 같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세계관의 내용과 관련된 명제로 구성된 표를 미리 만들고, 각각의 항목에 대해 일일이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방식의 세계관 구축 방법론을 설계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세계관 구축의 모델을 통해 중요한 부분을 선별하고 현실과 중복되는 부분을 그대로 가져오는 등의 최적화 작업이 세계관 구축 작업의 핵심임을 짚어봄으로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COLLAPSE
    31 August 2023
  • A study on the Second Self emerged in Cyberspace Media and Reality - For the suggestion of Glocal Cyberethics -

    미디어로서의 사이버공간에 드러난 제2자아와 현실 연구 - 글로컬 사이버윤리 제언을 위한 소고 -

    Kim, Soung Su

    김성수

    Cyberspace is a virtual space, but it is also a part of the real space. Cyberspace has become a part of modern …

    가상공간인 사이버공간(cyberspace)은 21세기 현대 사회의 한 부분이다. 이 사이버공간은 우리 현실 공간의 일부가 되었으며, 사이버문화는 현대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

    + READ MORE
    Cyberspace is a virtual space, but it is also a part of the real space. Cyberspace has become a part of modern society in the 21th century. Cyber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modern culture. Many people are users of cyberspace and are using their selves in cyberspace. Thi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our second selves.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our first selves and our second selves. The main cause lies in the fact that cyberspace is a kind of media. The cyberself, which is a second self emerged in cyberspace, is deeply affected by the media. The media incites users to have more desires that go far beyond their basic needs. The media is a device to enlarge human desires. Cyberself is enlarged and reconstituted and the exaggeration of desires is necessarily emphasized. This article examines cyberself, which is a second self formed in cyberspace and the ethical issues that it brings. It seems that “the crisis of self”, that is discussed as one of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human beings, is accelerated by cyberspace. Cyberspace forms and enlarges the second self, and magnifies the hidden desires. The second self in cyberspace in turn feeds back into the self in the real world. Active control and ethical consciousness over cyberspace is needed to ensure healthy freedom in cyberspace. The slogan of the ‘glocal’, which is to “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is needed in cyberspace as it is in cultural conten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가상공간인 사이버공간(cyberspace)은 21세기 현대 사회의 한 부분이다. 이 사이버공간은 우리 현실 공간의 일부가 되었으며, 사이버문화는 현대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사이버공간의 사용자들이 되어 자신들의 자아를 사이버공간 속에서 활동시키고 있다. 그러다 보니 사이버공간 속에서 우리의 제2자아가 출현되기에 이르렀다. 다만 문제는 투영된 사이버공간 속의 자아가 현실의 제1자아와 다르거나 과장된 모습을 보인다는 데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이버공간이 미디어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사이버공간 속에서 출현된 제2자아로서의 사이버자아 역시 미디어의 영향을 깊게 받는다. 본래 미디어는 사람들로 하여금 기본 욕구를 넘어 다양한 욕망을 새롭게 갖게 하고 키우게 하는 장치다. 이 견지에서 사이버공간 속의 제2자아로서의 사이버자아 또한 확대 재구성되게 되었으며, 인간의 욕망과 과장이 필연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현실에 착안하여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제2자아로서의 사이버자아 및 윤리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대인의 문제 중 하나로 널리 회자되고 있는 ‘자아의 위기’는 이러한 사이버공간에 의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듯하다. 사이버공간은 인간의 제2자아를 확대 형성하며 감추어져 있던 욕망을 증폭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버공간의 제2자아가 다시 현실의 자아와 세계에로 투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이버공간의 건전한 자유를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통제와 윤리 의식이 필요하다. 사이버공간 역시 문화콘텐츠나 환경보호 문제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는 ‘글로컬(glocal)’의 슬로건을 생각할 때인 것 같다.

    - COLLAPSE
    31 August 2023
  • A Study on the Popular Factors of Shandong Zibo Barbecue in China as a Urban Tourism Content

    도시관광콘텐츠로 부상하게 된 중국 산둥 쯔보(淄博) 바비큐의 인기요인에 관한 고찰

    LI DONGBEI

    이동배

    China’s tourism industry has not recovered to the level before the COVID-19 epidemic. In this difficult situation, the barbecue content in Zibo …

    중국의 관광산업은 아직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오히려 잘 알려지지 않았던 중국 산둥 쯔보(淄博)시의 바비큐는 …

    + READ MORE
    China’s tourism industry has not recovered to the level before the COVID-19 epidemic. In this difficult situation, the barbecue content in Zibo City, Shandong, China has become a hot topic on social media, attracting tourists from all over the country. For a period of time, over 100000 tourists have come to Zibao City every day for barbecue, and Zibao City has become a holy land for barbecue. Zibo City is an inland city located in northeast China, near the capital of Shandong Province, Jinan. As a third tier city with low visibility in China, it is still an industrial city centered around state-owned enterprises and relying on natural resource development. Especially after 2018, cities with more population outflow than inflow have experienced a decrease in population. But now, Zibo has become a successful tourism city of China. Therefore,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barbecue content in Zibo City. The reason why the barbecue become popular is that under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strong zero COVID-19 policy leading to the pent up tourism desire. unique food and low price, the warm story combined with the barbecue has raised people’s attention and curiosity about the buffet generated by a positive image. This includes the desire to experience the barbecue atmosphere together, a sense of expectation for the tourism services guaranteed by the Zibao Municipal Government, and the desire to experience the urban atmosphere created by the enthusiasm of citizens. It can be seen that the Chinese people still have a strong desire for tourism consumption, especially with the MZ generation as the center. They want to be respected more than before and prefer valuable tourism content. Therefore, this should be fully considered when developing urban tourism content.


    중국의 관광산업은 아직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오히려 잘 알려지지 않았던 중국 산둥 쯔보(淄博)시의 바비큐는 소셜미디어에서 화제가 되어 전국의 관광객들이 몰려들게 되었다. 한동안 쯔보시에는 하루 1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찾아와 바비큐를 주문했고, 쯔보시는 중국의 대표적인 바비큐의 성지(聖地)가 됐다. 쯔보시는 중국 동북에 위치한 산둥의 성도(首府) 지난(濟南)과 가까이 있는 내륙 도시이다. 중국 내 인지도가 높지 않는 3선 도시로서 여전히 국유기업 중심의 자원개발에 의지하고 있는 공업도시이다. 특히 2018년 이후에는 인구 유출이 유입보다 많아 인구가 감소하던 도시였다. 그러나 이제 쯔보시는 바비큐라는 콘텐츠로 중국 내 유명한 관광도시로 재탄생하였다. 이 글에서는 관광객들이 쯔보시의 대표적인 도시관광콘텐츠으로 부상하게 된 바비큐 콘텐츠의 인기요인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쯔보 바비큐가 인기를 얻을 수 있는 요인으로는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억눌렸던 관광 욕구가 분출되는 사회적 배경하에, 독특한 미식과 저렴한 가격, 바비큐와 결합된 따뜻한 스토리로 높아진 관심도, 긍적적인 이미지로 생성된 쯔보시에 대한 호기심, 바비큐를 즐기는 분위기를 함께 경험하고 싶은 욕구, 쯔보시 정부로부터 보장된 관광서비스에 대한 기대감, 시민의 열정으로 만든 도시 분위기를 체험하고 싶은 욕구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처럼 중국인의 관광소비욕구는 아직도 강하고,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는 이전에 비해 더 존중받고 싶고, 더 가치 있는 관광콘텐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관광콘텐츠를 개발할 때에 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COLLAPSE
    31 August 2023
  • Preservation and Coexistence in the Urban Heritage - A Case Study of Heungin-dong Grain Market in Seoul -

    흥인동 양곡시장이 가진 보존과 공존의 특성

    Song, Myung Hee · Song, Ho Sang

    송명희 · 송호상

    Heungin-dong Grain Market, known as the largest grain market in Korea in the 1950s, has been called “Hipdang-dong” in recent years with …

    1950년대 국내 최대 규모의 양곡시장으로 알려진 흥인동 양곡시장은 최근 뉴트로 스타일의 카페와 식당, 술집 등이 들어서며 ‘힙당동’으로 불린다. 흥인동 양곡시장의 역사와 현황을 …

    + READ MORE
    Heungin-dong Grain Market, known as the largest grain market in Korea in the 1950s, has been called “Hipdang-dong” in recent years with newtro-style cafes, restaurants, and ba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survey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Heungin-dong grain marke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how the grain market was transformed into a hot place visited by the young generation. Heungin-dong Grain Market was once responsible for 70% of Seoul’s grain consumption, but its role in the grain distribution process has been reduced due to the government’s policy to stabilize rice prices, and the number of grain stores once exceeded 100 has decreased to 15. Stores targeting the younger generation are filling the spot where the grain dealer left, revitalizing the alley. As a result of the study, newly opened stores maintained the appearance and internal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s, preserving the atmosphere of the grain market, and many industries share narrow back roads but coexist without conflict with different business hours. These characteristics are in line with the newtro style, which transforms past familiarity with the times to create new values, and it was analyzed as a source of making Heungin-dong grain market into Hipdang-dong. In addition, through the individual cases of stores in Hipdang-dong, the place and historicity of the alleys of the Grain Market are being actively preserved, bu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ocial capital, such as the formation of a consultative body, in order to preserve the sustainable urban heritage.


    1950년대 국내 최대 규모의 양곡시장으로 알려진 흥인동 양곡시장은 최근 뉴트로 스타일의 카페와 식당, 술집 등이 들어서며 ‘힙당동’으로 불린다. 흥인동 양곡시장의 역사와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때 서울시 양곡 소비량의 70%를 담당하는 시장이었으나 정부의 쌀값 안정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양곡 유통과정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축소되며 100여 개가 넘었던 양곡상은 현재 15개로 감소했다. 양곡상이 떠난 자리들이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점포들로 채워지면서 골목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연구 결과, 새롭게 오픈한 점포들이 기존 건물의 외관과 내부 구조를 유지해 양곡시장의 정취가 보존되었고, 여러 업종이 좁은 이면도로를 공유하면서도 서로 엇갈린 영업시간으로 갈등 없이 공존하고 있다는 특성을 발견했다. 이러한 특성은 과거의 익숙함을 시대에 맞게 변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뉴트로 스타일과 일맥상통하고 있어 흥인동 양곡시장을 힙당동으로 만드는 원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힙당동 점포들의 개별 사례들을 통해 양곡시장 골목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적극적으로 보존되고 있지만, 지속 가능한 도시 유산 보존을 위해서는 협의체 구성 등 사회적 자본을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COLLAPSE
    31 Augus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