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23. pp. 107-168
Abstrac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official narrative of cultural policy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challenges the cliché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established by the Roh Tae-woo government in 1990, represent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1987 democratization movement in cultural policy. In reality, during this period,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were both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abolition of censorship.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democratizing cultural policies within a political context during the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which saw Kim Dae-jung elected. Since Kim Dae-jung’s four presidential campaigns provided a significant platform to democratize cultural policy and eliminate censorship as key national-level policy goals, this paper examines Kim Dae-jung’s presidential campaigns as a constituent of the cultural policy history.
As a result,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first, the longing for a national cultural policy and the desire for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have been repeatedly expres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and that these aspirations erupted once again with the democratization of 1987. Second,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cy through the revival of the direct presidential system paradoxically led to the re-creation of a neo-military regime,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was reduced and refracted through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while intensifying government censorship. This strategy, which was both selective and deceptive, resulted in a paradoxical situation where one longstanding goal of democratization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reserved and frustrated another democratization aspiration (the abolition of censorship). Third, this ‘delay’ in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was resolved with the election of Kim Dae-jung as president in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who comprehensively pledged for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abolition of censorship. In this sense, the cliché of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starting with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1990) should be reconsidered in light of the historical introduction of the arm’s length principle in Korean cultural policy through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이 논문은 한국의 문화정책사에 관한 공식 서사, 즉 87년 민주화운동의 역동이 문화정책 차원에서 제도화되는 기점을 노태우 정부의 문화부 독립(1990)에서 찾아온 클리셰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 것이다. 87년 민주화 당시 문화정책의 민주화 과정에서 최대 쟁점은 문화부 독립뿐만이 아니라 검열 폐지였음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문화정책사 서술은 문화부 독립이라는 사건만을 제도적 민주화의 성취로 평가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정책의 민주화가 ‘문화부 독립’과 ‘검열제도 폐지’ 사이의 상호보완적 관계가 아니라 양자 사이의 긴장과 갈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정치적 맥락 속에서 전개되어 온 과정을, 해방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부터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이 당선되는 시기까지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김대중의 네 번의 대선 출마는 문화정책의 민주화와 검열 폐지를 국민적 차원의 정책공약으로 부상시키는 중요한 정치적 계기가 되었고, 네 번의 공약 내용은 거의 일관된 내용을 유지했던 만큼, 본 논문은 김대중의 대선 공약을 문화정책사와 교차시켜 검토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본 논문은 첫째, 국가 문화정책에 대한 숙원과 문화정책의 민주화에 대한 열망은 정부 수립 이래로 거듭 표출되었고, 이러한 열망이 87년 민주화를 계기로 다시 한번 거세게 분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통령 직선제를 부활시킨 민주주의의 제도화가 신군부 정권의 재창출로 이어지면서, 문화정책의 민주화가 문화부 독립이라는 행정조직의 개편만으로 환원·굴절되고, 정부의 검열은 오히려 강화되는 상황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3대 대통령선거에서 노태우는 검열 폐지는 제외하고 문화부 독립만을 대선 공약으로 추진하는 분열적 조치를 취했고, 문화부 설립을 추진하는 과정(1988-1990)에서도 문화부 독립이 내포하고 있던 핵심 정책의제인 검열 폐지는 도외시하고 이와 무관한 문화부의 역할과 방향을 새롭게 설정했다. 심지어 노태우 정부는 이전 군사정권의 검열체제를 강화하는 조치들을 추진하기까지 했다. 그럼으로써 문화부 독립은 더 이상 검열 폐지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민주화의 수단이 아니라, 기존의 검열체제를 온존시키고 은폐하고 정당화하는 반민주적 조치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선택적이고 위장된 전략은 오랜 민주화 열망(문화부 독립)이 또 다른 민주화 열망(검열 폐지)을 유보하고 좌절시키는 수단이 되는 역설적 사태, 즉 ‘문화부 독립’의 역습을 초래했다. 셋째, 문화부 독립과 검열 폐지가 분열·상충하는 사태는 제15대 대선(1997)에서 문화부 독립(및 공보처 폐지)과 검열 폐지를 종합적으로 공약한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해소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정책의 ‘지연된 민주화’는 87년 민주화 이후 10년, 김대중의 첫 대선 공약을 통해 국가정책의 과제로 정식화된 1971년 이후 26년, 나아가 제헌헌법에 예술의 자유와 문화예술인의 권리 보장을 새기고자 한 시점 이후 거의 50년이 되는 복합적인 시간 층위들을 아우르게 된다. 이러한 다층적 검토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부 독립(1990)이 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문화정책사의 민주적 전환 기조에 역행하여, 당시 문화정책의 민주화에서 핵심과제로 간주된 검열 폐지를 주변화하고 지연시키는 역설적 기제로 작동했음을 규명하였다.
References
  1. 구광모, 「대통령선거 문화정책공약 분석: 90년대를 중심으로」, 『중앙행정논집』 제14권 제1호,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00.
  2. 구광모,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목표와 특성-80년대와 90년대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제12권,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1998.
  3. 구상, 「전환기의 한국 문화예술: 문학」, 『문화정책논총』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88.
  4. 규제개혁위원회, 1998년도 규제개혁백서, 1999.
  5. 김규원·지금종·염신규·양혜원, 「담론 논쟁의 동학(dynamics)으로 바라본 문화정책 73년」, 『문화정책논총』 제32집 제2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6. 김대중, 『김대중 자서전 1~2』, 서울: 삼인, 2010.
  7. 김대중, 『김대중 행동하는 양심으로(원제: 독재와 나의 투쟁)』, 서울: 금문당, 1985/2009.
  8. 김여수, 「문화정책의 이념과 방향」, 『문화정책논총』 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98. 10.17068/lhc.1998.11.1.145
  9. 김정수, 『문화행정론』, 서울: 집문당, 2010.
  10. 김형수, 「한국 정부의 문화정책에 대한 비교 고찰: 정책목표와 기능을 중심으로」, 『서석사회과학논총』 제3권 제1호,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11. 문옥배, 『한국공연예술통제사』, 서울: 예솔, 2013.
  12. 문화부, 「文化發展10個年計劃 報告」, 1990.
  13. 미셸-롤프 트루요, 『과거 침묵시키기: 권력과 역사의 생산』, 김명혜 옮김, 서울: 그린비, 2019.
  14. 박광국·이종열·주효진, 「문화행정조직의 개편과정 분석: 비전-목표-하위목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7권 제1호, 한국정책과학학회, 2003.
  15. 박광무, 『한국문화정책론』, 서울: 김영사, 2010.
  16. 박소현, 「문화올림픽과 미술의 민주화: 1980년대 미술운동의 제도비판과 올림픽문화정책체제의 규정적 권력에 관한 고찰」,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36집,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8.
  17. 박연희, 「1950년대 한국 팬클럽과 아시아재단의 문화원조-세계작가회의 참관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40집, 2016.
  18. 박종국, 「문화정책의 기조와 과제」, 『문화정책논총』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88.
  19. 배관표·이민아, 「한국 문화정책의 대상과 전략의 변화 1988-2012」, 『한국정책학회보』 제22권(제1호), 한국정책학회, 2013.
  20. 새문화정책준비단·문화체육관광부,「문화비전2030 사람이 있는 문화」, 2018.
  21. 여석기 외, 「문화부의 기능과 조직: 토론」, 『문화정책논총』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88.
  22. 여석기 외, 「전환기의 한국 문화예술: 토론」, 『문화정책논총』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88.
  23. 염찬희, 「1990년대 이후 한국 문화정책의 ‘문화’ 이해 변화 과정」,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16호,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09.
  24. 오양열, 「한국의 문화행정체계 50년: 구조 및 기능의 변천과정과 그 과제」, 『문화정책논총』 제7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95.
  25. 원향미, 「한국 문화정책의 패러다임 변화와 문화의 사회적 역할 연구-문화적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민족미학』 제13권 제2호, 민족미학회, 2014.
  26. 이병량, 「한국 문화정책의 변화 추이와 내용에 관한 분석: 문화예산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8권 제3호, 한국정책과학학회, 2004.
  27. 이병준, 「1963년 5대 대통령 선거에 나타난 특성과 그 원인」, 『사림』 제36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2010.
  28. 이봉범, 「1960년대 검열체제와 민간검열기구」, 『대동문화연구』 제75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29. 이봉범, 「1980년대 검열과 제도적 민주화」, 『구보학보』 제20호, 구보학회, 2018.
  30. 이봉범, 「검열국가 대한민국과 표현의 자유」, 『내일을 여는 역사』 제79호, 재단법인 역사와 책임, 2020.
  31. 이상만, 「전환기의 한국 문화예술: 음악」, 『문화정책논총』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88.
  32. 이선향, 「한국의 민주화와 문화정책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담론 201』 제16권 제3호,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33. 이승희, 「예륜의 역사적 추이와 제도적 임계」, 『민족문학사연구』 제63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34. 이종인, 「문화부의 기능과 조직에 관한 토론회를 개최하면서」, 『문화정책논총』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88.
  35. 이중한, 「전환기의 한국 문화예술: 문화일반」, 『문화정책논총』 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88.
  36. 이태주, 「전환기의 한국 문화예술: 연극」, 『문화정책논총』 제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88.
  37.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이념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5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93.
  38. 정현경, 「1970년대 연극 검열 양상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조현연, 「‘87년 체제’의 정치적 등장 배경과 한국 민주주의 연구-‘87년 9차 개헌과 13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제16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40. 채원호·허만용, 「지방정부의 문화정책과 문화행정조직의 역사적 변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5권(제1호), 서울행정학회, 2004.
  41. 최영진, 「민주화 이후 한국의 대통령 선거: 역사와 경쟁의 원리」,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45집(제1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23.
  42. 홍석률, 「1971년 대통령선거의 양상-근대화 정치의 가능성과 위험성」, 『역사비평』제87호, 역사비평사, 2009.
  43. 홍석률, 「1971년의 선거와 민주화운동 세력의 대응」, 『역사비평』 제98호, 역사비평사, 2012.
  44. 황설화, 「김영삼 정부 이후 한국의 문화정책 이념에 관한 연구: 문화적 민주주의인가, 문화의 민주화인가?」, 『한국정책연구』 제19권 제1호, 경인행정학회, 2019. 10.46330/jkps.2019.03.19.1.69
  45. Sohyun Park & Hang Kim, “Democratization and museum policy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 25, No. 1, Routledge, 2019. 10.1080/10286632.2018.1557650
  46. 「각부처 문화기능 통합해야」, 『경향신문』, 1988년 2월 4일자.
  47. 「각종 출판물 단속 강화」, 『동아일보』, 1968년 7월 25일자.
  48. 「갈림길 예총」, 『조선일보』, 1971년 2월 20일자.
  49. 「갑오년 문화계의 회고(上)」, 『경향신문』, 1954년 12월 16일자.
  50. 강인구, 「고쳐야 할 것들」, 『조선일보』, 1987년 7월 16일자.
  51. 「“검열보다 사회 자율기능에 맡겨야”」, 『조선일보』, 1987년 8월 11일자.
  52. 「경계해야 할 조직 비대화」, 『매일경제』, 1989년 5월 8일자.
  53. 「고루 잘사는 자유경제로」, 『조선일보』, 1970년 10월 17일자.
  54. 「공보부를 문화부로」, 『동아일보』, 1968년 5월 13일자.
  55. 「공보부를 문화부로」, 『경향신문』, 1968년 5월 13일자.
  56. 「공보부를 문화부로」, 『조선일보』, 1968년 5월 14일자.
  57. 「공보부장 담화」, 『동아일보』, 1961년 5월 24일자.
  58. 「“공연예술 민간서 사후심의해야”」, 『동아일보』, 1987년 8월 21일자.
  59. 「공화당 총재 의중의 ‘친정포석’」, 『조선일보』, 1971년 5월 7일자.
  60. 「공화 전국구 40명선」, 『경향신문』, 1971년 4월 30일자.
  61. 「공화 중앙위원 발표」, 『조선일보』, 1971년 2월 20일자.
  62. 「官과 숫자와 문화」, 『조선일보』, 1990년 6월 27일자.
  63. 「교각살우가 되지 않도록-행정공약 실천요강을 보고」, 『경향신문』, 1965년 8월 9일자.
  64. 「문화부의 독립」, 『경향신문』, 1981년 8월 21일자.
  65. 「“90년대를 우리문화 르네상스기로”」, 『조선일보』, 1989년 10월 28일자.
  66. 구상, 「문화부의 독립」, 『경향신문』, 1981년 8월 21일자.
  67. 「국가발전의 새 동력 박대통령 치사」, 『동아일보』, 1968년 7월 25일자.
  68. 「국가보안법 ‘민주제도수호법’으로 개정, 지자제 전면실시…노동자단체 활동 보장」, 『조선일보』, 1992년 10월 15일자.
  69. 「국력과 문화」, 『경향신문』, 1948년 7월 15일자.
  70. 「군정의 문화정책 비판」, 『동아일보』, 1963년 12월 16일자.
  71. 「“규제 最少化…文化활동 領域 넓혀야”」, 『조선일보』, 1987년 7월 11일자.
  72. 「극작가 오학영씨가 진단해본 문제점 한국연극 어디까지 왔나」, 『경향신문』, 1980년 5월 24일자.
  73. 「금년에도 역작 드물어」, 『조선일보』, 1961년 10월 29일자.
  74. 「禁書 이달중 대폭 解禁」, 『조선일보』, 1987년 8월 9일자.
  75. 「禁止가요 千여곡 再審査 體制비판 販禁書도 완화」, 『동아일보』, 1987년 8월 8일자.
  76. 「김대중 의원 입건 대통령 명예훼손」, 『경향신문』, 1969년 9월 4일자.
  77. 「김대중 후보 인천‧광주 유세 “균형발전 위해 세법 개정”」, 『동아일보』, 1970년 11월 2일자.
  78. 「김대중 신민당 대통령 후보 회견 요지」, 『조선일보』, 1970년 10월 17일자.
  79. 「김총리 치사 재질 키워 국력신장」, 『매일경제』, 1972년 11월 17일자.
  80. 「당정, 문화부 신설 합의」, 『매일경제』, 1989년 9월 7일자.
  81. 「대권 4후보, “공륜 폐지하겠다”」, 『조선일보』, 1987년 11월 28일자.
  82. 「대권 4후보, 공륜(公倫) 필요없다」, 『매일경제』, 1987년 11월 30일자.
  83. 「‘대외개방·내부통제’ 이원성 뚜렷」, 『한겨레』, 1989년 1월 26일자.
  84. 「등록령의 모순」, 『경향신문』, 1954년 4월 18일자.
  85. 「만물상」, 『조선일보』, 1968년 7월 23일자.
  86. 「매스콤 윤리선언」, 『경향신문』, 1965년 5월 7일자.
  87. 「“명실상부한 문예활동 지원기구 돼야”」, 『조선일보』, 1987년 11월 26일자.
  88. 「문공부, 공륜검열 심의위서 선정 우수영화 심사제도 폐지」, 『조선일보』, 1980년 2월 22일자.
  89. 「문공부, 문화부로 개편」, 『경향신문』, 1987년 10월 10일자.
  90. 「문교-공보부의 개편안」, 『조선일보』, 1968년 6월 23일자.
  91. 「문교부 개편안 검토」, 『경향신문』, 1965년 2월 3일자.
  92. 「문교부에 이관 공연단체 등록사무」, 『조선일보』, 1957년 6월 1일자.
  93. 「문예단체 새 출발」, 『동아일보』, 1962년 1월 6일자.
  94. 「문총 건의 정부에 문화부 설치하라」, 『경향신문』, 1948년 7월 10일자.
  95. 「문협, 불미스런 장선거에 해명 “예총구조에 모순있다”」, 『동아일보』, 1971년 2월 15일자.
  96. 「문화·예술 수혜층 확대 중점 수용자 입장서 정책 세워야」, 『매일경제』, 1988년 5월 21일자.
  97. 「‘문화’라는 나무」, 『조선일보』, 1988년 1월 27일자.
  98. 「문화공보부 개청」, 『매일경제』, 1968년 7월 25일자.
  99. 「문화공보부 설치」, 『경향신문』, 1968년 6월 22일자.
  100. 「문화공보부 출범」, 『경향신문』, 1968년 7월 24일자.
  101. 「문화는 ‘홍보’가 아니다」, 『경향신문』, 1990년 6월 27일자.
  102. 「문화단체의 정치성 배격」, 『경향신문』, 1961년 6월 7일자.
  103. 「문화단체통합 막바지에」, 『동아일보』, 1961년 12월 13일자.
  104. 「文化團體總聯서 문화정책을 건의」, 『조선일보』, 1948년 7월 10일자.
  105. 「“문화부, 내년 6월 분리·신설”」, 『조선일보』, 1988년 6월 14일자.
  106. 「문화부 체육업무 관장 ‘문제’ 많다」, 『동아일보』, 1989년 7월 10일자.
  107. 「문화부, 폭넓은 사회교육 기능을. 창설 앞두고 오가는 의견들」, 『조선일보』, 1988년 2월 10일자.
  108. 「문화부 독립되면 무슨일 해야하나」, 『동아일보』, 1988년 2월 10일자.
  109. 「문화 및 예술행정 일원화」, 『경향신문』, 1968년 6월 26일자.
  110. 「문화부 독립은 불가능한가? 예총 세미나」, 『동아일보』, 1967년 12월 21일자.
  111. 「‘문화부’ 독립 사전 포석 문공부, 15일 문화예술국 분리 개편」, 『조선일보』, 1987년 12월 13일자.
  112. 「문화부 설치 文聯서 국회에 건의」, 『동아일보』, 1948년 7월 9일자.
  113. 「문화부 신설 쟁점과 방향‘ 대화모임」, 『한겨레』, 1989년 7월 11일자.
  114. 「문화부 원년 ‘새집짓기’ 한창」, 『경향신문』, 1990년 1월 9일자.
  115. 「문화부와 문화헌장」, 『조선일보』, 1988년 2월 5일자.
  116. 「문화예술 궁금한 ‘해금의 폭’」, 『동아일보』, 1987년 8월 10일자.
  117. 「문화예술 단체의 연합체 형성」, 『조선일보』, 1962년 1월 6일자.
  118. 「문화·예술 수혜층 확대 중점 수용자 입장서 정책 세워야」, 『매일경제』, 1988년 5월 21일자.
  119. 「문화예술인대회 문예중흥선언문 채택」, 『매일경제』, 1972년 11월 17일자.
  120. 「문화예술진흥 계기 기대」, 『동아일보』, 1989년 9월 11일자.
  121. 「문화예술 향상에 최선」, 『조선일보』, 1961년 10월 13일자.
  122. 「‘문화예술’ 管掌에 吳 공보부장관 담화」, 『동아일보』, 1961년 10월 13일자.
  123. 「문화인 권익옹호」, 『경향신문』, 1968년 7월 25일자.
  124. 「“문화재관리국 기구 확대”」, 『경향신문』, 1988년 2월 11일자.
  125. 「문화정책과 문화부」, 『동아일보』, 1989년 12월 25일자.
  126. 「문화정책에 요망 있다」, 『조선일보』, 1961년 10월 17일자.
  127. 「문화정책의 재고려 문총서 국회에 건의」, 『조선일보』, 1948년 7월 9일자.
  128. 「문화청의 필요성」, 『동아일보』, 1968년 6월 24일자.
  129. 「‘문화체육부’ 어떻게 되나」, 『동아일보』, 1989년 7월 13일자.
  130. 「문화행정 일원화돼야 한다」, 『조선일보』, 1968년 2월 18일자.
  131. 「문화헌장과 겉치레」, 『조선일보』, 1988년 2월 2일자.
  132. 「“미술행정은 전문가에게 맡겨야”」, 『경향신문』, 1989년 3월 11일자.
  133. 「민정당 선거공약 마련」, 『경향신문』, 1987년 9월 4일.
  134. 「민족문화를 선양」, 『조선일보』, 1961년 6월 7일자.
  135. 「민주당 대통령선거 세부 공약」, 『한겨레』, 1992년 11월 8일자.
  136. 「민주당 대선 1백대 공약」, 『조선일보』, 1992년 11월 3일자.
  137. 박종화, 「내가 느낀 광복 1년의 민심과 희망」, 『경향신문』, 1949년 8월 14일자.
  138. 「방송연예계도 민주화돼야 한다 각계인사의 새로운 구상도」, 『동아일보』, 1960년 5월 12일자.
  139. 백철, 「교육문화면의 군정2년 혁명은 어느 만큼」, 『경향신문』, 1963년 5월 16일자.
  140. 「복지, 조화, 민족, 개방, 통일 5대 ‘문화의 틀’ 지속적 추구」, 『조선일보』, 1990년 6월 26일자.
  141. 「부질없는 반목을 지양」, 『조선일보』, 1962년 1월 5일자.
  142. 「분파 지양한 예총의 통합」, 『조선일보』, 1962년 1월 7일자.
  143. 「불량서적 단속」, 『매일경제』, 1968년 7월 19일자.
  144. 「불량출판업자 단속 관계 법규 개정키로」, 『동아일보』, 1968년 7월 20일자.
  145. 「비준 뒤에 오는 것(2) 주체성 확립」, 『동아일보』, 1965년 8월 17일자.
  146. 「3당 후보 “지역개발” 공약」, 『경향신문』, 1992년 11월 3일자.
  147. 「3선폐지 헌법개정-김대중 신민당 후보 첫 회견」, 『동아일보』, 1970년 10월 16일자.
  148. 「선전에 이용 말라 예술을 망치지 않도록」, 『동아일보』, 1961년 10월 24일자.
  149. 「성숙한 예술문화단체 통합」, 『조선일보』, 1961년 12월 28일자.
  150. 「성의있는 문화행정을」, 『조선일보』, 1961년 10월 14일자.
  151. 「10월까지 행정개혁완료」, 『경향신문』, 1961년 8월 27일자.
  152. 「신문용지 관세인하토록 주선」, 『경향신문』, 1962년 2월 7일자.
  153. 「신민 공약 20일 발표」, 『동아일보』, 1971년 3월 16일자.
  154. 「신민당안 요지」, 『경향신문』, 1980년 2월 11일자.
  155. 「‘신설방향’ 토론요지 “문화부에 문예인 참여해야”」, 『경향신문』, 1989년 7월 10일자.
  156. 「심의규정 대폭 강화키로 예술문화윤위 간담회」, 『경향신문』, 1972년 11월 20일자.
  157. 「‘10·17’ 선언 지지 각 단체 성명 발표」, 『동아일보』, 1972년 10월 20일자.
  158. 「10.17지지성명」, 『경향신문』, 1972년 10월 25일자.
  159. 「악단은 통합되었다 좌담회」, 『경향신문』, 1961년 10월 13일자.
  160. 안병섭, 「한국영화 이대로 좋은가」, 『경향신문』, 1980년 1월 25일자.
  161. 「양당 선거정책‧쟁점 대비책 마련」, 『동아일보』, 1971년 3월 19일자.
  162. 「어문·출판·국제문화교류 등 총괄 정부홍보 배제 새 미디어 정책 펴야」, 『동아일보』, 1988년 5월 20일자.
  163. 「여성 인기 끌면 일류 외교관」, 『조선일보』, 1961년 12월 19일자.
  164. 「여야 선거공약 대결 <5> 교육‧문화‧언론 (끝)」, 『동아일보』, 1971년 4월 22일자.
  165. 「영화법 개정을 종용한다」, 『동아일보』, 1980년 1월 12일자.
  166. 「영화악법 개폐 “3당합당으로 실종 위기”」, 『한겨레』, 1990년 3월 16일자.
  167. 「예산 없어 허덕이는 ‘예총’」, 『조선일보』, 1962년 7월 5일자.
  168. 「예술과 새 가치관 ‘예륜’ 제1회 토론에서」, 『조선일보』, 1972년 6월 21일자.
  169. 「예술문화단체의 통합을 보고」, 『동아일보』, 1962년 1월 8일자.
  170. 「예술문화윤리위 발족」, 『조선일보』, 1965년 11월 28일자.
  171. 「예총, 개헌지지」, 『경향신문』, 1969년 8월 25일자.
  172. 「예총문화윤리위 26일 발기대회 개최」, 『동아일보』, 1965년 11월 27일자.
  173. 「예총의 정풍」, 『동아일보』, 1971년 2월 16일자.
  174. 「예총의 존재의의를 재인식하라」, 『조선일보』, 1971년 2월 18일자.
  175. 「예총창립 10주년 전국예술인대회」, 『경향신문』, 1972년 11월 14일자.
  176. 「예총회장 이해랑씨」, 『매일경제』, 1971년 2월 19일자.
  177. 「“예총회장 사퇴않겠다”」, 『동아일보』, 1971년 7월 2일자.
  178. 「예총 총회 이해랑씨 오선」, 『동아일보』, 1971년 2월 19일자.
  179. 「오늘 문공부 발족」, 『경향신문』, 1968년 7월 25일자.
  180. 「6공 1년(5) 규제해제 늘어 예술영역 확대」, 『조선일보』, 1989년 2월 26일자.
  181. 「6국 3실…도서관 업무도 전담」, 『한겨레』, 1989년 11월 19일자.
  182. 「위기의 예총」, 『경향신문』, 1971년 2월 17일자.
  183. 「위원장에 박종화씨 예술문화윤위 발족」, 『동아일보』, 1966년 1월 29일자.
  184. 「음반법 정부안 시장개방 가속 우려」, 『한겨레』, 1990년 6월 26일자.
  185. 「음악단체 통합」, 『조선일보』, 1961년 10월 13일자.
  186. 「이러한 문화정책을 문화는 마음, 정치는 행동」, 『경향신문』, 1960년 8월 7일자.
  187. 이만갑·여석기·김환기, 「문화계는 전환기에 섰다 문화인 정담」, 『동아일보』, 1962년 1월 1일자.
  188. 이방원, 「빗나간 구상 ‘문화체육부’」, 『경향신문』, 1989년 7월 19일자.
  189. 이봉상, 「62년 화단에 바란다」, 『동아일보』, 1962년 1월 6일자.
  190. 「이사 모두 바꾼 예륜 총회 임원개선 문제가 체질개선으로 클로스업」, 『경향신문』, 1971년 3월 6일자.
  191. 이상우, 「예술과 가위」, 『동아일보』, 1987년 7월 3일자.
  192. 「29일 ‘예총’ 창립대회 7개 분야 이미 개편완료」, 『동아일보』, 1961년 12월 21일자.
  193. 이성삼, 「첫 과제는 국제음협 가입」, 『조선일보』, 1962년 1월 10일자.
  194. 「이제는 문화입국을… 문화의 전환기를 맞아」, 『조선일보』, 1988년 1월 9일자.
  195. 이헌구, 「혁명 제2년의 과제 각계의 제언」, 『조선일보』, 1962년 5월 16일자.
  196. 「‘일하는 예총’의 구호는 좋으나」, 『조선일보』, 1963년 2월 1일자.
  197. 「자신있는 문화정책을」, 『동아일보』, 1960년 8월 27일자.
  198. 「자양소 되도록 범국민운동 일으키라」, 『동아일보』, 1961년 10월 24일자.
  199. 「전국구 후보의 공천에 관한 우리의 견해」, 『조선일보』, 1971년 5월 2일자.
  200. 「전국 문화예술인대회」, 『조선일보』, 1972년 11월 17일자.
  201. 「전국문화총련 발족」, 『동아일보』, 1947년 2월 9일자.
  202. 「정부기구 대규모 개편 단행」, 『조선일보』, 1961년 10월 2일자.
  203. 「정부기구의 개편에 앞서」, 『조선일보』, 1968년 7월 23일자.
  204. 「정부주도 문화발전 못박아」, 『한겨레』, 1990년 6월 28일자.
  205. 「정신문화 재건을 심기일전의 아량 갖자」, 『동아일보』, 1961년 10월 24일자.
  206. 「정원 안 밝힌 정부 새 직제」, 『동아일보』, 1961년 10월 3일자.
  207. 정한숙, 「자유의 보장만을」, 『경향신문』, 1961년 9월 1일자.
  208. 「준비위원 47명 선정 ‘예술문화윤리위’」, 『경향신문』, 1965년 11월 27일자.
  209. 「‘지원은 하되 간섭은 않는다’ 대선공약을 통해 본 새정부 문화정책」, 『경향신문』, 1997년 12월 23일자.
  210. 「차기정부 아래 문화정책 어떻게 바뀔까 창작자유·문화부 독립 ‘변화 바람’」, 『한겨레』, 1997년 12월 22일자.
  211. 「1961년 연예계 20대 뉴스」, 『경향신문』, 1961년 12월 10일자.
  212. 「체육부 당분간 존속 문화-공보부만 분리 당정방침」, 『조선일보』, 1989년 9월 8일자.
  213. 「체통, 초조, 野望苦 겹친 신민」, 『경향신문』, 1968년 5월 15일자.
  214. 「<최선의 방법으로> 혁명정신 반영」, 『조선일보』, 1961년 6월 28일자.
  215. 「친정(親政)으로 다룬 ‘정치색 배제’ 공화 전국구 인선의 저변」, 『동아일보』, 1971년 5월 6일자.
  216. 「탈관급문화와 자율성」, 『경향신문』, 1988년 1월 21일자.
  217. 「통일민주당 정강정책 <요지>」, 『동아일보』, 1987년 4월 29일자.
  218. 「통일 지향 ‘문화 탄력성’ 확보를」, 『한겨레』, 1989년 10월 31일자.
  219. 「통합기운 도는 국악계」, 『경향신문』, 1961년 8월 1일자.
  220. 「평가교수단의 문화정책종합분석을 알아본다 문화행정의 자율화 시급」, 『경향신문』, 1980년 3월 10일자.
  221. 「평민당 정강정책 요지」, 『매일경제』, 1987년 11월 11일자.
  222.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연내로 결성」, 『경향신문』, 1961년 12월 20일자.
  223. 「한국의 문화정책 방향-본보 창간 70주년 기념 ‘문화, 기업과 외교전략’ 한불세미나 제2분과 ‘문화와 기업」, 『동아일보』, 1990년 12월 5일자.
  224. 「행정공약실천요강 내용」, 『조선일보』, 1965년 8월 7일자.
  225. 「헌법초안 유씨안 원문(일)」, 『조선일보』, 1948년 6월 12일자.
  226. 「혁명내각 구성」, 『조선일보』, 1961년 5월 21일자.
  227. 「혁명 1년의 시정비판 (완) 문화」, 『경향신문』, 1962년 5월 14일자.
  228. 「혁명2년의 문화백서」, 『조선일보』, 1963년 5월 16일자.
  229. 「혁명정부에 대한 200자 제언」, 『조선일보』, 1962년 1월 1일자.
  230. 「현행 영화법 개정해야 한다」, 『조선일보』, 1980년 1월 19일자.
  231. 「활기띠울 ‘예총’」, 『조선일보』, 1962년 2월 13일자.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9
  • No :0
  • Pages :107-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