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23. pp. 77-105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think narrativity in transmedia content.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the concept of transmedia storytelling was introduced by Henry Jenkins in 2003, and in that time it has garnered considerable attention as the new normal of the multimedia age. The first decade of transmedia content, both large-scale asynchronous and small-scale synchronous, generated global buzz, and scholars scrambled to find meaning in these new narrative experiences. However, over the past 10 years, it has been difficult to find even remotely successful works in the field of transmedia contents. This article attributes this declining trend to changes in the transmedia content creation environment. Based on this, it found that the narrativity of transmedia content lies in the world and characters, not the plot-driven narrative, and analyzed K-pop group 'asepa's use of worldview and PD Na Young-seok's character-driven storyworld expansion strategy as examples.
본고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을 새롭게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2003년 헨리 젠킨스에 의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지도 어언 20년이 지났다. 그동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다매체 시대 뉴노멀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초반 10년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대형·비동기식과 소형·동기식 유형을 막론하고 글로벌한 화제를 일으켰으며, 학계에서는 이 새로운 서사 경험의 의미를 찾기 위해 분주했다. 그러나 최근 10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관련 걸출한 후속작을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감소 추세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창작 환경의 변화에 있음을 주목하고 그 원인을 진단했다. 이를 토대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이 플롯 중심의 내러티브가 아닌 세계관과 캐릭터에 있음을 규명하고, 그 사례로서 케이팝 그룹 ‘에스파’의 세계관 활용과 나영석 PD의 캐릭터 중심 스토리월드 확장 전략을 분석했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에 관한 재고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창작·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강은원, 『스핀오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21.
  2. 김나경, 「케이팝 수용자의 세계관 수용 현상 연구: 그룹 에스파의 세계관 사례를 중심으로」, 『trans-』 제12집, 2022.
  3. 김유나, 『브랜드 유니버스 플랫폼 전략』, 서울: 학지사, 2021.
  4. 머레이, 자넷 H., 『사이버 서사의 미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한용환·변지연 옮김, 서울: 안그라픽스, 2001.
  5. 박근서, 『게임하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6. 박기수,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7. 서성은,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 개념과 유형」, 류철균·한혜원 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8.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15.
  9. 아즈마 히로키,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장이지 옮김, 서울: 현실문화, 2012.
  10. 원용진·강신규, 「게임화로 구축된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게임적 리얼리즘」, 『대중서사연구』 제30집, 2019.
  11. 이동은, 「메타이야기적 상상력과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 모델」,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42집, 2016.
  12.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창작론」, 고욱·이인화 엮음, 『디지털 스토리텔링』, 서울: 황금가지, 2003.
  13. 젠킨스, 헨리, 『컨버전스 컬처』, 김정희원·김동신 옮김, 서울: 비즈앤비즈, 2006.
  14. 조은하, 『게임 시나리오 쓰기』,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2008.
  15. 하위징아, 요한, 『호모 루덴스: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김윤수 옮김, 서울: 까치글방, 1993.
  16. 한혜원,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 스토리를 통한 생성적 융합」, 류철균·한혜원 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17. Aarseth, Espen, “The Culture and Business of Cross-Media Productions, Popular Communic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and Culture, Vol. 4, No. 3, 2006. 10.1207/s15405710pc0403_4
  18. Dowd, Tom, Michael Niederman, Michael Fry and Josef Steiff, Storytelling Across Worlds: Transmedia for Creatives and Producers, Boston: Focal Press, 2013.
  19. Evans, Elizabeth, Transmedia television: Audiences, new media, and daily life, Oxfordshir: Taylor & Francis, 2011.
  20. Jenkins, H. “Transmedia Storytelling”(online article). MIT Technology Review, http://www.technologyreview.com/biomedicine/13052/
  21. Philips, Andrea, A Creator’s guide to Transmedia Storytelling: how to captivate and engage audiences across multiple platforms, New York: Mc Graw Hill, 2012.
  22. Pratten, Robert, Getting Started in Transmedia Storytelling: A Practical Guide for Beginners, South Carolina: CreateSpace, 2011.
  23. Ryan, Marie-Laure, “Transmedia Storytelling: Industry Buzzword or New Narrative Experience?”, Storyworlds: A Journal of Narrative Studies Vol. 7, No. 2, 2015. 10.5250/storyworlds.7.2.0001
  24. Sánchez-Mesa Martínez, Domingo, Espen Aarseth, Robert Pratten, Carlos Scolari, “Transmedia(Storytelling?): A polyphonic critical review”, Artnodes, Num. 18, 2016. https://doi.org/10.7238/a.v0i18.3064 10.7238/a.v0i18.3064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9
  • No :0
  • Pages :77-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