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23. pp. 169-209
Abstract
Digital inclusion is being emerged as an important keyword for social policy. In South Korea, digital inclusion policies are mostly for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4 digital disadvantaged class(the aged / the disabled / low-income class / farmers and fishermen). However, as the multiculturalism of Korean society progresses, the government’s inclusion policy also needs to expand its frame to embrace racial minoriti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2019 Digital Divide Survey」 data from NIA, this study explored the digital divide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which are the major groups of multicultural population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one-way ANOVA results, digital access & skill & usage divide exists between general population and multicultural groups of South Korea,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 group’s PC-oriented digital skill and usage levels were even lowered than those of North Korean refugees. After exploring each group’s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to capital-enhancing/recreational use of PC and Mobile devic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we found that PC skill and device diversity level is the key factor of enhancing people’s digital use. In addition, North Korean refugees’ mobile device use is affected by income level,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capital-enhancing use and PC use is affected by education level. This study helps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and contributes to finding implicit point of digital inclusion support.
이 연구는 디지털소외계층을 다문화 이주민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자료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한국에서는 디지털 격차 정책의 일환으로 4대 정보소외계층(장노년·장애인·저소득층·농어민) 위주의 지원정책이 있어 왔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다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정보격차 정책 역시 이주민에 대한 수용을 반영하는 프레임 확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통해 국내 다문화 인구를 구성하는 주요한 집단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과 일반국민간의 비교를 통해 디지털 격차 실태를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일반국민 집단과 다문화 집단 사이에는 디지털 정보 접근·역량·활용 격차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특히 결혼이주민은 PC 위주의 자본향상적 정보 역량 및 활용과 관련해서는 북한이탈주민보다 낮은 모습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로 PC/모바일 기기를 통한 자본향상적/여가적 정보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PC 이용 역량과 디지털 접근 기기 다양성이 모든 회귀 모델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은 소득이 증가하면 모바일 기기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결혼이주민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PC 활용 및 모바일 기기의 자본향상적 활용이 증가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주민 집단인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주민의 디지털 격차 발생을 이해하고, 추후 디지털 격차 해소 지원에 대한 함의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강기봉, 「디지털 포용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 제32권(2호), 한양법학회, 2021.
  2. 강혜정·김석주, 「다문화 정보격차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4권(2호), 한국정책과학학회, 2020.
  3. 고재훈, 「결혼이민자의 정보격차 결정요인 분석」, 『한국이민학』 제3권(제2호), 한국이민학회, 2012.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관계부처합동,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 2020.
  5. 권금상, 「대중매체가 생산하는 ‘이주여성’ 재현의 사회적 의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 TV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제6권(제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6. 김미나, 「다문화 사회의 진행 단계와 정책의 관점: 주요국과 한국의 다문화정책 비교 연구」, 『행정논총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제47권(제4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9.
  7. 김상찬·김유정,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한 법적 과제」, 『법학연구』 제43집, 한국법학회, 2011.
  8. 김세현,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디지털 기기 이용과 사회적 지지의 형성」, 『문화와 융합』 제41권(제3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9. 김세현, 「한국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 탐색: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적용」, 『한국사회학회 2019년 정기사회학대회』, 서울: 고려대학교, 2019.
  10. 김세현·이혜수,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기기 사용과 한국사회 적응: 사회적 지지와 한국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20권(제1호), 한국정보사회학회, 2019.
  11. 김영미,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 역량과 활용에 관한 연구: 일상생활 만족도와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21권(제3호), 한국정보사회학회, 2020.
  12. 김현숙,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와 사회통합과정에 대한 연구」, 『2006 전국사회학 대회』, 서울: 서울대학교, 2006.
  13.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지지 체계로서의 인터넷 활용에 관한 질적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제1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14. 김효정, 「결혼이민자 여성소비자의 디지털정보격차지수 결정 요인: 연령별 차이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6권(제3호), 대한가정학회, 2018.
  15. 두문영·조진경, 「중국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여성학연구』 제27권(제1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7.
  16. 박지혜, 「이주여성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결혼이주여성과 북한이탈주민여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서울: 서울대학교, 2012.
  17.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2021년 5월호)」, 2021.
  18. 배영임, 「기술혁신 관점의 포용적 성장 정책 연구 : 디지털 포용을 중심으로」, 『정책연구』, 경기연구원, 2022.
  19. 손현진, 「북한 탈북자의 법적지위에 관한 고찰-난민인정과 보호를 중심으로」, 『법제연구』 제53호, 한국법제연구원, 2017.
  20. 송미영, 「결혼이주여성과 북한이탈여성의 멤버십 (Membership) 에 관한 비교연구: 충남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3집,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21. 송은희, 「탈북자의 남한사회에서의 경제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제72호, 한국동북아학회, 2014.
  22. 신승윤, 「신 (新) 소외계층의 정보화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23. 신승윤·엄석진, 「국내 결혼이민자의 모바일인터넷 이용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22권(제2호),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9.
  24. 심승우, 「이주민의 포용과 다문화 정치통합의 전략」, 『디아스포라연구』 제6권(제2호),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2.
  25. 엄태완, 「이주민으로서의 북한이탈주민 경험 연구: 생존과 일상의 경계를 넘어」,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8권(제1호),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6.
  26. 오대영, 「여성결혼이민자의 미디어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인구사회학적 요인, 한국어 능력, 미디어 이용 요인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4권(제2호), 문화방송, 2013.
  27. 윤인진, 「북한 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 지원 정책」, 파주: 집문당, 2009.
  28. 이민상·김동욱·조영민, 「결혼이민자의 디지털 적응이 한국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1권 2호, 2020.
  29. 이홍재, 「결혼이민자의 모바일 정보격차가 한국 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2차 정보격차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8권(제1호), 한국정책학회, 2019.
  30. 임광현, 「결혼이주여성들의 정보격차 해소전망에 대한 사회적 배경에 따른 인식차이분석」, 『한국정책연구』 제13권(제3호), 경인행정학회, 2013.
  31. 장명선·김선욱, 「이주여성의 취업지원정책 개선방안 연구: 결혼이민여성과 북한이탈주민여성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제7권(제1호), 한국공공사회학회, 2017. 10.21286/jps.2017.02.7.1.164
  32. 정다운, 「스마트폰 이용이 북한이탈주민의 이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9.
  33. 정준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 영향요인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26권(제1호), 한국정책학회, 2017.
  34. 최두진·김지희, 「정보격차 패러다임의 전환과 생산적 정보활용 방안」,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35. 최한용, 「스마트 격차와 정보 격차의 생태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5권(제6호),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4.
  3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보고서」, 대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37. 황용석·이현주·박남수·이원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격차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6권(제2호), 한국언론학회, 2012.
  38. Alam, K., & Imran, S., “The digital divide and social inclusion among refugee migrants”, Information Technology & People 28(2), 2015. 10.1108/ITP-04-2014-0083
  39. Caidi, N., & Allard, D., “Social inclusion of newcomers to Canada: An information problem?”,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7(3), 2005. 10.1016/j.lisr.2005.04.003
  40. Churchill, S. A., & Smyth, R., “Ethnic diversity, energy poverty and the mediating role of trust: Evidence from household panel data for Australia”, Energy Economics 86, 2020. 10.1016/j.eneco.2020.104663
  41. Correa, T., “Digital skills and social media use: how Internet skills are related to different types of Facebook use among ‘digital natives’”,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19(8), 2016. 10.1080/1369118X.2015.1084023
  42. Correa, T., Pavez, I., & Contreras, J., “Digital inclusion through mobile phones?: A comparison between mobile-only and computer users in internet access, skills and use.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23(7), 2020. 10.1080/1369118X.2018.1555270
  43. DiMaggio, P., Hargittai, E., Celeste, C., & Shafer, S., “From unequal access to differentiated use: A literature review and agenda for research on digital inequality”, Social inequality 1, 2004.
  44. Dobransky, K., & Hargittai, E., “The disability divide in internet access and use”,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9(3), 2006. 10.1080/13691180600751298
  45. Gómez, D. C., “The three levels of the digital divide: barriers in access, use and utility of internet among young people in Spain”, Interações: Sociedade e as novas modernidades 34, 2018. 10.31211/interacoes.n34.2018.a4
  46. Hargittai, E., & Hinnant, A.,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35(5), 2008. 10.1177/0093650208321782
  47. Hong, S., Malik, M. L., & Lee, M. K.,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2003. 10.1177/0013164403251332
  48. Hyde-Clarke, N., & Van Tonder, T., “Revisiting the'Leapfrog'debate in light of current trends of mobile phone Internet usage in the Greater Johannesburg area, South Africa”, Journal of African Media Studies 3(2), 2011. 10.1386/jams.3.2.263_1
  49. Liao, S. C., Chou, T. C., & Huang, C. H., “Revisiting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the digital divide: A main path analysis approach”,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79, 2022. 10.1016/j.techfore.2022.121607
  50. Scheerder, A., van Deursen, A., & van Dijk, J., “Determinants of Internet skills, uses and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second-and third-level digital divide”, Telematics and informatics 34(8), 2017. 10.1016/j.tele.2017.07.007
  51. Shah, S. F. A., Hess, J. M., & Goodkind, J. R., “Family separation and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the mental health of refugee families in the United States: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1(9), e14171, 2019. 10.2196/14171 31482853 PMC6751097
  52. Tsetsi, E., & Rains, S. A., “Smartphone Internet access and use: Extending the digital divide and usage gap”, Mobile Media & Communication 5(3), 2017. 10.1177/2050157917708329
  53. Lee, H.J., Park, N.S., & Hwang, Y.S.,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band connection, smartphone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elematics and Informatics 32(1), 2014. 10.1016/j.tele.2014.02.001
  54. Liao, S. C., Chou, T. C., & Huang, C. H, “Revisiting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the digital divide: A main path analysis approach”,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79, 2022. 10.1016/j.techfore.2022.121607
  55. Lythreatis, S., Singh, S. K., & El-Kassar, A. N., “The digital divide: A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21359, 2021. 10.1016/j.techfore.2021.121359
  56. Molnár, S., “The explanation frame of the digital divide”, 2003.
  57. Pearce, K. E., & Rice, R. E., “Somewhat separate and unequal: Digital divides, social networking sites, and capital-enhancing activities”, Social Media+ Society 3(2), 2017. 10.1177/2056305117716272
  58. Van Deursen, A. J., & Van Dijk, J. A., “The digital divide shifts to differences in usage”, New media & society 16(3), 2014. 10.1177/1461444813487959
  59. Van Deursen, A. J., & Helsper, E. J.,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Who benefits most from being onlin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annual.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15. 10.1108/S2050-206020150000010002
  60. Van Deursen, A. J., Van Dijk, J. A., & Peter, M., “Increasing inequalities in what we do online: A longitudinal cross sectional analysis of Internet activities among the Dutch population (2010 to 2013) over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Telematics and informatics 32(2), 2015. 10.1016/j.tele.2014.09.003
  61. Van Deursen, A. J., Helsper, E. J., & Eynon, 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net Skills Scale (ISS)”,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19(6), 2016. 10.1080/1369118X.2015.1078834
  62. Van Deursen, A. J., Helsper, E., Eynon, R., & Van Dijk, J. A., “The compoundness and sequentiality of digital ine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1, 2017.
  63. Van Deursen, A. J., & Van Dijk, J. A., “The first-level digital divide shifts from inequalities in physical access to inequalities in material access”, New media & society 21(2), 2019. 10.1177/1461444818797082 30886536 PMC6380454
  64. Van Dijk, J. A., “Digital divide: Impact of acces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effects, 2017. 10.1002/9781118783764.wbieme0043
  65. Wei, K. K., Teo, H. H., Chan, H. C., & Tan, B. C., “Conceptualizing and testing a social cognitive model of the digital divid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2(1), 2011. 10.1287/isre.1090.0273
  66. 「‘이주민’이라서 차별받는 사람들」, 『이로운넷』, 2021년 03월 03일자.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9
  • No :0
  • Pages :169-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