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22. pp. 145~175
Abstract
North Korea’s forest restoration and ecological conservation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ter-Korean peace and help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by linking the ecological axis between the Baekdu belts. For this purpose, a Glocal (global and local) cultural strategy of North-South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necessary in the multifaceted aspects of forest management. Recently, in light of North Korea’s tourism development trends and policies, the need for inter-Korean ecological tourism cooperation as such a strategic plan is increasing.
The Yusangi is a North-South forest cultural heritage with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A Yusangi-based forestry cooperation plan has yet to be attempted. The Yusangi is a record of ancestors’ mountain trips and excursions, and many related texts and pictures remain as forest cultural heritage. Records from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hen mountaineering was popular, predominate, and records of excursions to Mt. Geumgang predominate.
This research seeks a plan for inter-Korean ecological tourism cooper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ecological tourism content centered on the Geumgangsan Yusangi. This study presents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ecotourism contents development and forest ecotourism cooper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e Geumgangsan Yusangi.
Through a new paradigm shift in forestry cooperation and sustainable cooperation, inter-Korean ecotourism cooper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further ecological peace in Northeast Asia. Ecotourism cooperation will als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ultural content activities such as forest interpreters and forest tour experts by diversifying north-south forestry cooperation.
More intensive and practical follow-up research, such as detailed policies and on-site trends in North Korean ecotourism, as well as surveys and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and current status of Mt. Gumgang ecotourism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북한 산림복구와 생태보전은 남북평화에 기여하고 백두대간의 생태 축을 이어서 동북아의 자연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산림경영의 다각적 측면에서 남북협력과 국제협력의 글로컬문화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북한의 관광개발추세와 정책 등에 비추어 그러한 전략적 방안으로서의 남북 생태관광협력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남북 공동의 산림문화유산이자 전통문화콘텐츠로서 유산기를 활용하여 산림협력방안을 모색한 바는 아직 없다. 유산기(遊山記)는 선조들의 산행과 유람에 관한 기록으로, 이와 관련된 많은 글과 그림들이 산림문화유산으로 남아있다. 시대적으로는 유산이 성행했던 17~18세기 기록들이 가장 많이 남아 있으며, 그중에서 금강산 유람 기록이 가장 많다.
이 연구는 ‘금강산 유산기’를 중심으로 한 생태관광 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을 기초로 생태관광 협력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금강산 유산기의 내용분석을 통한 연구로 생태관광 콘텐츠 개발, 산림생태관광협력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했다.
남북 생태관광협력은 산림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과 지속가능한 협력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나아가 동북아의 생태평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생태관광 협력은 남북산림협력의 다원화를 통해서 숲해설가, 산림관광전문가 등의 문화콘텐츠 활동영역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북한의 생태관광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정책과 현장 동향, 금강산 생태관광지의 실태와 현황의 조사연구 등 밀도 있는 실용적인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단행본

     

  1.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편, 『조선 사람의 조선여행』, 2012.
  2. 박명규 외, 『녹색평화란 무엇인가?』, 아카넷, 2013.
  3. 산림청, 『2020 하반기 북한산림톺아보기(통권1호)』, 산림청 남북산림협력단, 2021.
  4. 이해정·김성환·강성현, 『북한의 관광정책추진동향과 남북 관광협력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5. FAO,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Main report, Rome: FAO, 2020.
  6. Ministry of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 DPRK (2012),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Outlook.
  7.  

    학술지논문

     

  8. 고태규, 「조선시대 금강산 유람기에 대한 여행사(史)적 고찰」, 『관광연구저널』, 제32권(제9호), 2018.
  9. 문예찬·이현출, 「남북 산림협력의 방향과 과제」, 『분쟁해설연구』, 제19권(제1호), 2020.
  10. 10.52427/KSSP.19.2.1
  11. 민윤숙, 「금강산 유람의 통시적 고찰을 위한 시론」, 『민속학연구』, 제27호, 2010.
  12. 박영민, 「유산기(遊山記)의 시공간적 추이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 제40호, 2004.
  13. 오은선·류태호, 「등산의 재해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23권(제1호), 2018.
  14. 유동환, 「한국전통 문화유산 콘텐츠 개발 현황과 과제」, 『국학연구』, 제12호, 2008.
  15. 이상균, 「조선시대 관동유람의 유행배경」, 『인문과학연구』, 제31호, 2011.
  16. _______, 「조선시대 사대부의 유람 양상」, 『정신문화연구』, 제34권(제4호), 2011.
  17. _______, 「조선시대 유람의 유행에 따른 문화촉진 양상」, 『大東文化硏究』, 제80호, 2012.
  18. 이영숙, 「경로를 통한 금강산 유람의 변천 고찰」, 『한국한문학연구』, 제77호, 한국한문학회 2020.
  19. 이 욱, 「조선시대 풍류와 유산(遊山)」, 『내일을 여는 역사』, 제28호, 2007.
  20. 이종묵, 「조선시대 臥遊 文化 硏究」, 『진단학보』, 제98호, 2004.
  21. 이혜순·정하영·호승희·김경미, 『조선중기의 유산기 문학』, 집문당, 1997.
  22. 정치영, 「금강산 유산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여행 관행」, 『문화역사지리』, 제15권(제3호), 2003.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_______,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람 중의 활동」, 『역사민속학』, 제42호, 2013.
  24. 주영환, 「북한 관광산업의 현재와 전망」, 『통일문제연구』, 제1권(제1호), 2018.
  25. 최현아, 「남북한 산림협력 방향과 과제: 국제사회 지원사업을 바탕으로」, 『통일정책연구』제27권(제2호), 2018.
  26. 홍성민, 「退溪의 遊山記에 나타난 성리학적 삶의 이상- 有我와 無我의 융합적 경계를 중심으로」, 『동서철학』, 제41호, 2014.
  27. S.O. 쿠르바노프, 「국제정세와 한반도 통일 : 과거와 현재(새로운 접근법의 주요방향)」, 『KINU통일+』, 제2권(제4호), 2016.
  28.  

    학위논문 및 연구보고서

     

  29. 강혜규, 「농재 홍백창의 동유기실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0. (사)남북역사학자협의회, 「순천시 남북교류협력추진을 위한 연구」, 2019.
  31. 호남대학교, 「문화원형관련기술 로드맵(문화콘텐츠기술 로드맵 및 중장기계획 수립사업 최종 연구개발결과보고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32. 최인화, 「VR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 콘텐츠 자원화 연구」, 문화재청, 2020.
  33.  

    고전 DB자료

     

  34. 徐淇修, 『篠齋集』 卷3.
  35. 李珥, 『栗谷全書』 券13.
  36. 李滉, 『退溪集』 卷3.
  37. 『中宗實錄』 37년(1542) 7월 乙亥.
  38.  

    북한자료

     

  39. 김찬숙, 『기행문 선집』,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4.
  40. 고철명, 「생태관광자원의 관상적 가치평가지표체계와 평가방법」, 『김일성종합대학학보-자연과학』, 2017.
  41. 김상학,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의 특징」, 『경제연구』 제4호, 2016.
  42. 김창하, 「리광혁. 생태관광과 그 구성요소에 대하여」, 『지질 및 지리과학』, 제1호, 2018.
  43. 리금별, 「생태관광의 발전추세」, 『경제연구』, 제3호, 2018.
  44. _______, 「생태관광자원을 합리적으로 개발하는데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경제연구』, 제4호, 2018.
  45. _______, 「현시기 생태관광을 발전시키는 것은 관광업발전의 필수적요구」, 『경제연구』, 제2호, 2018.
  46. 리옥숙, 「생태관광자원의 자료기지화방법」, 『김일성종합대학학보-자연과학』, 제3호, 2010.
  47. 주성진, 「생태관광과 그 발전동향에 대하여」, 『지질 및 지리과학』, 제2호. 2018.
  48.  

    인터넷 자료

     

  49. http://www.ecotourism.org 세계생태관광협회
  50. http://www.nkscholar.com 학술지논문서비스
  51. http://www.tour-kumgangsan.com 금강산 조선국제여행사 홈페이지
  52. https://korea.hss.de 한스자이델 재단
  53. https://lnt.org LNT단체 홈페이지
  54. https://nkinfo.unikorea.go.kr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55. https://voyant-tools.org 온라인텍스트 분석기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6
  • No :0
  • Pages :145~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