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22. pp. 177~210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individuals can express their tastes, conditions, and status to others by posting pictures or text beyond simply recording their daily lives. As previous studies on social media have said, social media is becoming a new means of self-expression, and they are more actively expressing their tastes or lifestyles by posting the results of their daily lives or consumption. Not only consuming products but also revealing to others that they have visited a particular space appears as an act of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the symbolism or image of space and is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their taste or condition.
In particular, visiting cafes among the spaces in the city has begun to become a daily leisure that gains satisfaction by visiting the surrounding space in daily life. If the existing cafe analysis studies focused on the function of the cafe as a “third space” and the purpose of people’s visit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what expressions appear in posts left after consumption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and posted image analysis on social media.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four areas that are in the spotlight as hot places in downtown Seoul and have their own imag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s self-expression, the characteristics of cafes appearing in cafe posts on Instagram are expressed as spaces that are good for taking pictures and have distinctive images, and where one can express one’s tastes more actively. In previous studies, if visitors to cafes viewed the cafe as a “third space,” cafes located in hot places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are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image they want to show others due to the local image or space’s unique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cafes in hot places can be seen as performing their functions as products, and they have become one of the cultural capital that represents their taste and status.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개인은 단순히 자신의 일상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서 사진이나 텍스트를 게시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이나 상태, 지위 등을 남들에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소셜미디어에 관한 연구들에서 이야기하고 있듯이 소셜미디어는 자기표현의 새로운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자신의 일상이나 소비의 결과물을 게시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이나 라이프스타일을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상품을 소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남들에게 자신이 특정 공간을 방문했다는 것을 드러내는 행위는, 공간이 가진 상징성이나 이미지를 통해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행위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서 자신의 취향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도시 내 공간 중 카페를 방문하는 행위는 일상에서 자신의 주변 공간을 방문함으로써 만족감을 얻는 하나의 일상적인 여가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기존 카페를 분석한 연구들은 카페의 ‘제 3의 공간’으로서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그 안에서 일어나는 행위나 사람들의 방문목적 등에 대한 연구였다면, 본 연구는 공간소비의 대상으로서 카페를 바라보고 소비 후에 남기는 게시물에 어떠한 표현들이 나타나는지 소셜미디어 상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게시된 이미지 분석을 통해서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핫 플레이스로 각광받고 있고, 고유의 이미지를 가진 네 지역을 대상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소셜미디어의 자기표현의 특성과 더불어서 인스타그램 내 카페 게시물들에 나타나는 카페의 특징은 사진 찍기 좋고, 특색 있는 이미지를 가진 공간으로 자신의 취향을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현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 카페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카페라는 공간을 ‘제3의 공간’으로 바라보았다면, 소셜미디어의 특성과 결합하여 핫 플레이스 내에 위치하고 있는 카페들은 그 지역의 이미지나 공간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서 사람들이 자신이 타인에게 보여주고 싶은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핫 플레이스 내 카페는 상품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으며, 자신의 취향과 지위를 나타내는 문화자본의 하나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볼 수 있다.
References
  1. 강보라, 「SNS상의 이미지 생산과 의미에 관한 연구 : ‘먹스타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영상문화』 제33호, 2018.
  2. 김덕수, 권준범, 「카페 이용의 리듬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31권(제6호), 2015.
  3. 김미영, 김지희, 「인스타그램(Instagram)을 통해 본 과시적 자기표현 공간으로서 서울 고급호텔」, 『서울도시연구』 제19권(제1호), 2018.
  4. 김선욱, 배금광, 「브런치 카페의 업종에 따른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격민감성을 조절변수로」, 『한국조리학회지』 제25권(제6호), 2019. 10.20878/cshr.2019.25.6.011
  5. 김은택·김정빈·금경조, 「인스타그램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을지로 3,4가 지역 활성화의 실증분석」, 『서울도시연구』 제20권(제2호), 2019.
  6. 김필호,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의 사례연구」,『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제14호, 2015.
  7. 레이 올덴버그, 『제3의 장소』, 김보영 역, 풀빛, 2019.
  8. 박가람·이인재,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을 적용한 도시여가공간의 소비에 관한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제14권(제4호), 2018.
  9. 박한우, Loet Leydesdorff,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6권(제5호), 2004.
  10. 소스타인 베블렌, 『유한계급론』, 이종익 역, 현대지성, 2018.
  11. 신현준·이기웅,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푸른숲, 2016.
  12. 심승희, 한지은,「 압구정동 ᆞ청담동 지역의 소비문화경관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9권(제1호), 2006.
  13. 오세진,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공간소비와 공간의 이미지 형성 -인스타그램의 서울시 내 카페 관련 게시물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2021.
  14. 이병준·석영미, 「카페, 연행적 공간, 그리고 한국인의 일상학습: 문화 인지적 논의」, 『인문학 논총』 제35호, 2014.
  15.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3.
  16. 이애리·이주원, 「소셜 빅 데이터를 이용한 상권 확장 트렌드 및 소비 트렌드 분석」, 『e-비즈니스연구』 제19(제6호), 2018.
  17. 전해은·이기춘, 「현대소비공간과 소비행동:동대문 쇼핑몰의 소비문화적 의미분석」, 『소비자학연구』 제13권(제2호), 2002.
  18. 조성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블록체인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제5호), 2018.
  19. 조윤설·조택연,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 분석」,『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5권(제1호), 2019. 10.18208/ksdc.2019.25.1.413
  20. 크리스토프 르페뷔르, 『카페를 사랑한 그들』, 강주헌 역, 효형출판, 2008.
  21. 피터 코리건, 『소비의 사회학』, 이성룡 외 역, 그린, 2000.
  22. Freeman, L.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 Social Networks, vol.1, 1979. 10.1016/0378-8733(78)90021-7
  23. Wasserman, S., and K. Faus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994. 10.1017/CBO9780511815478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6
  • No :0
  • Pages :177~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