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22. pp. 211~24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suggest the topography of fandom’s enjoyment activities by attempting to categorize K-Pop fandom contents in YouTube. Fandom contents that are currently active on YouTube includes both top-down contents derived from a higher-level structure and bottom-up contents generated by fandom, but bottom-up contents are predominant, showing dynamic and subjective fandom enjoyment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ductive aspects of fandom and sought a standard for systematically classifying fandom contents.
Using the inductive principle, 130 K-Pop fandom content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nd tex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reation structure format and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rm of ‘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 in which fandom contents were transformed based on primary contents and the form of ‘new contents creation’ newly composed by the fandom were structurally revealed. In addition, two characteristics of contents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knowledge information’ and ‘sensory inform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as ➀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knowledge information ➁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sensory information ➂creation of new contents-knowledge information ➃creation of new content-sensory information, and this was exemplified through the case of fandom contents.
본 연구는 유튜브 속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팬덤의 향유 활동의 지형을 구조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유튜브에서 활성화된 팬덤 콘텐츠는 상위구조에서 파생되는 하향식 콘텐츠와 팬덤이 생성한 상향식 콘텐츠가 모두 존재하나, 상향식 콘텐츠가 주를 이루며 역동적이고 주체적인 팬덤 향유 활동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팬덤의 생산적 양상에 주목하였으며 팬덤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모색하였다.
귀납적 원리를 이용하여 K-Pop 팬덤 콘텐츠 130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팬덤 콘텐츠의 ‘생성 구조 형식’과 ‘생성 요소’를 기준으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팬덤 콘텐츠는 1차 콘텐츠를 기반으로 변형된 ‘1차 콘텐츠 기반 생성’의 형태와 팬덤이 새롭게 구성하여 만든 ‘새로운 콘텐츠 생성’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팬덤 콘텐츠의 생성 요소는 ‘지식적 정보’와 ‘감각적 정보’라는 두 가지 특징이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➀1차 콘텐츠 기반 생성-지식적 정보 ➁1차 콘텐츠 기반 생성-감각적 정보 ➂새로운 콘텐츠 생성-지식적 정보 ➃새로운 콘텐츠 생성-감각적 정보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팬덤 콘텐츠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 K-Pop 팬덤 콘텐츠의 지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지닌다.
References
  1. 김광웅, 『기초, 원리, 응용 방법론 강의』, ㈜ 박영사, 2006.
  2. 김수철, 강정수,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 『언론정보연구』 제50권(제1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10.22174/jcr.2013.50.1.84
  3. 김유나, 「팬픽션의 생성 요소 연구: <스타트렉(Star Trek)>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3호(제2호), 2017. 10.18856/jpn.2017.23.2.005
  4. 김지원, 「K팝 팬덤, 정서적 공동체의 이해: 방탄소년단 팬덤 아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5. 김현진,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K-Pop)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유튜브 콘텐츠 SNA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 노경민·이홍식, 「K-Pop의 수출효과: YouTube를 이용한 분석」, 『국제통상연구』 제26권(제2호), 한국국제통상학회, 2021.
  7. 노성산·박진경·김태홍, 『뉴미디어 트렌드 2022』, ㈜ 샌드박스네트워크, 2021.
  8. 류철균 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9. 마크더핏, (Understanding Fandom), 김수정, 곽현자, 김수아, 박지영, 『팬덤 이해하기』, 한울아카데미, 2016.
  10. 박영은, 『엔터테인먼트 경영 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2021.
  11. 박진, 「채트먼의 서사이론」, 『현대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12. 범림, 「아이돌 공식 영상과 ‘밈’ 영상의 시청동기 차이에 대한 연구: 중국인의 유튜브 K-Pop 시청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13. 이동배, 「피스크의 팬덤 논의를 바탕으로 하는 글로벌 팬덤의 공동체성 연구: 방탄소년단(BTS)의 아미(ARMY)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55호), 인문콘텐츠학회, 2019.
  14. 이지영, 「‘집단 지성’과 그 저항적 역할을 통해 형성되는 팬덤 정체성: 방탄소년단 아미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63호), 인문콘텐츠학회 2021. 10.18658/humancon.2021.12.213
  15.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 (제58호), 인문콘텐츠학회 2020.
  16. 임세희,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팬덤 연구: 엑소 팬 카페 10대 회원들과의 질적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17. 자크 라캉(Jacques Lacan), 권택영, 『욕망이론』, 문예출판서, 2001.
  18. 장혜선, 「방탄소년단 콘텐츠 팬자막의 번역 전략」, 『인문콘텐츠』 (제63호), 인문콘텐츠학회, 2021. 10.18658/humancon.2021.12.189
  19. 정창수, 『사회과학 방법론』, 대영문화사, 1996.
  20. 조성은·조원석, 「방탄소년단 팬덤 ‘아미(ARMY)’와 팬번역」, 『번역학연구』 제22권(제1호), 한국번역학회, 2021.
  21. 조이진, 「RPS 창작 문화로 보는 팬덤 참여 문화의 사회·문화적 맥락」, 『미디어, 젠더&문화』 제36권(제3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22. 존 피스크·박명진·정준영·이영욱·양은경·김용호·손병우·김연종·김창남, 「팬덤의 문화 경제학」,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한나래출판사, 2012.
  23. 최유찬, 「게임의 장르와 역사」, 『문학교육학 5권』, 한국문학교육학회, 2000.
  24. 홍석경, 「세계화 과정 속 디지털 문화 형상으로서의 한류: 프랑스에서 바라본 한류의 세계적 소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 『언론정보연구』제50권(제1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25.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2021.
  26.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2022.
  27.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2 해외한류 실태조사』, 2022.
  28. Henry Jenkins, Textual Poachers, Routledge, 2012. 10.4324/9780203114339
  29. Matthew Hills, Fan Cultures, Talylor & Francis Group, 2002. 10.4324/9780203361337
  30. Rutherford-Morrison, L, Where did the word “fandom” come from?, Retrieved August 3, 2019, https://www.bustle.com/articles/144396-where-did-the-word-fandom-come-from-behind-the-term-that-changed-the-internet-forever.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6
  • No :0
  • Pages :211~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