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22. pp. 249~272
Abstract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which began in 2019, has thrown our society into chaos. The transition to a resilient city in the post-COVID-19 era is being discussed, and the role of ‘city parks’ is being actively review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iscuss the enhancement of urban resilience through city parks, focusing on Seoul Forest, Children's Grand Park, and Bukseoul Dream Forest, which are major city parks in Seoul. To this end, first, we looked at how major city parks in Seoul responded to COVID-19 through operational management methods, and second, we looked at users' perceptions and usage patterns of city parks in the post-COVID-19 era. Examining the response and role of city parks in the era of COVID-19 suggests that proper maintenance and sustainable operation of parks is necessary in our society, which may face another disaster. City parks need to be used as a space that can be actively utilized and participated in to promote urban resilience beyond a green space that can no longer be viewed.
2019년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의 장기화는 우리 사회 전반을 혼란에 빠트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회복력 있는 도시로 전환이 논의되며, ‘도시공원’의 역할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주요 도시공원인 서울숲, 어린이대공원, 북서울꿈의숲을 중심으로 도시공원을 통한 도시회복력 증진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서울시 주요 도시공원은 어떠한 운영관리 방식을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였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도시공원에 대한 이용객의 인식과, 이용행태를 살펴보았다. 코로나 시대 도시공원의 대응과 역할을 검토하는 것은 또 다른 재난을 맞이할지 모르는 우리 사회에 공원의 적절한 유지관리와 지속가능한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시공원이 더이상 바라만 보는 녹색 공간을 넘어 도시회복력 증진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고하정, 「도시공원을 둘러싼 사회현상 및 담론변화 연구 –서울을 중심으로-」, 재단법인 숲과나눔. 2020.
  2. 김묵한, 「회복탄력성 도시」, 『세계와 도시』 제7호, 서울연구원, 2015.
  3. 김용국·조상규·권오규·유예슬·최가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권 공원녹지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기본 연구보고서. 2021.
  4. 김학열, 「회복력 있는 도시로 가는 길」,『도시정보』, 제487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2.
  5. 박인경.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생활권공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서울.
  6. 박인권·정이레·오다원·정예림. 「COVID-19 확산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자 수의 변화 - 시계열 빅데이터 분석 -」,『지역연구』 제37권(제2호). 2021.
  7. 서지영·박병원·이성호·조규진·윤정현, 「미래위험과 회복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8. 송인주, 「서울시 민간기여 공원녹지 현황과 활성화 방안」,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2013.
  9. 홍성득·우수영·민경택·박승규·배재수·사득환·양세훈·오수길·유정모·윤종한·허태욱·황태연, 「산림정책의 쟁점과 과제」, 대영문화사. 2022.
  10. 최남희. 「새로운 지역개발전략으로서의 회복탄력성의 요소와 인과순환적 원형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16권(제4호). 2015.
  11. 최용준·이주영·이동섭·이상호, 「환경시설 재난대응 전문가시스템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3권(제3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12. Arup, “City Resilience Index”, Ove Arup & Partners International Limitied 2014, The Rockefeller Foundation·Arup, 2014.
  13. Walker, B., C. S. Holling, S. R. Carpenter, and A. Kinzig, “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in social–ecological systems”, Ecology and Society, 9(2), 2004. 10.5751/ES-00650-090205
  14. 서울시공원통계, http://data.seoul.go.kr/dataList/10052/S/2/datasetView.do.
  15. 서울시설공단, 서울어린이대공원 종합현황. 2020.
  16. 통계청, 2020, 「한국의 사회동향 2020」.
  17. ICLEI, https://iclei.org/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6
  • No :0
  • Pages :249~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