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April 2024. pp. 295~339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narrative self-understanding process through the researcher’s experience with Etude performance.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application of performative execution method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s an Etude performer, as an audience member, communication with other participants, and performance diaries.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their past experiences of ‘the dramatic’ into a text with a beginning, middle, and end according to the Etude grammar, and performed this improvisation in front of an audience. Through a solo non-verbal Etude performance titled “Gift”, the researcher expressed and perceived suppressed sorrow due to the loss of her mother, discovering that the mourning process was prolonged and difficult due to a clos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her mother. During a two-person verbal Etude performance titled “Letter”, the researcher understood that a traumatic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her father at the age of nine intensified the identification with her mother. The self-narratives constructed through the performances of “Gift” and “Letter” were newly incorporated and connected to the researcher’s self-story, allowing for narrative self-understanding over time and communication with reality.
Parts of the self-narrative discoursed through the Etude performance expand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participants, filling in gaps and expanding the self-narrative. The Etude performan
이 논문은 연구자의 에쮸드(Etude) 연행 체험을 통해 서사적 자기이해 과정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에쮸드 연행자로서의 경험, 관객으로서의 경험, 참여자들과의 소통 경험, 그리고 연행 일지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수행성의 실행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했다.
연구자는 과거의 ‘극적인 것’에 대한 경험을 시작-중간-끝이 있는 에쮸드 문법의 텍스트로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관객들 앞에서 즉흥적으로 연행했다. 1인 비언어 에쮸드 <선물> 연행을 통하여 어머니 상실로 인한 억눌렸던 슬픔을 몸으로 표현하고 지각하는 과정에서, 어머니와 정서적으로 밀착된 관계로 인하여 애도가 오래 걸렸고 힘들었음을 발견했다. 2인 언어 에쮸드 <편지>를 연행하는 과정에서 9살 때 아버지와의 이별로 인한 외상 경험이 어머니를 동일시하는 경험을 강화하였음을 이해했다. 에쮸드 <선물>과 <편지>의 연행에서 구성되었던 자기서사가 새롭게 연구자의 자기이야기에 편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자기서사가 현실과 소통하게 되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합되어 자기이해에 이를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자기이야기는 에쮸드 연행을 통해 담화화 되어 참여자들과 소통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사적 채워넣기를 통하여 자기서사를 확장할 수 있었다. 에쮸드 연행 공간은 신체적 공동현존의 전이 공간으로서 연행자와 참여자들이 서로 감정적으로 반응하며 관계를 맺게 되는 수행적 공간이다. 체현의 전이 공간에서 참여자들은 서사적 진실을 공유하며 친밀감을 증진시키며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이 연구는 에쮸드 연행 체험이 자기이야기의 일부를 담화화하여 참여자들과 소통함으로써 자신의 과거 경험을 재해석하고 의미를 창출하여 서사적 자기이해를 촉진하는데 효과적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예비치료사 및 치료사의 전문적 역량 함양을 위해 자기 탐색방법의 하나로 에쮸드 연행 체험을 제안한다.
References
  1. 가브리엘레 푸치우스-회네․아르눌프 데퍼만, (Rekonstruktion narrativer interviews), 박용익, 『이야기 분석: 서사적 정체성의 재구성과 서사 인터뷰의 분석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 서울: 역락, 2011.
  2. 김유석․이승하, 「서사적 정체성의 현대적 의의」, 『인문과학연구』 제29호, 강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1.
  3. 도널드 위니코트, 레슬리 칼드웰․안젤라 조이스 편저, (Transitional Objects And Transitional Phenomena), 한국정신분석학회, 「과도 대상과 과도 현상」, 『리딩 위니코트』, 서울: NUN, 2015.
  4. 레실 S. 그린버그, (Emotion-focused therapy), 한기백, 『정서중심치료』, 서울: 학지사, 2023.
  5. 린다 시거, (Writing subtext: what lies beneath), 김창수․조현경, 『서브텍스트』, 서울: 비즈앤비즈, 2014.
  6. 박미리, 「자기 이야기 활용 연극치료 방법론」, 『문학치료연구』 제 31권,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7. 쇼샤 다이아나, (The healing power of emotion), 노경선․김경선, 『감정의 치유력』, 경기도: NUN, 2017.
  8. 시모어 채트먼,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홍재범, 『이야기와 담화』, 고양:호모루덴스, 2019.
  9. 에리카 피셔-리히테, (Asthetik des Performativen), 김정숙, 『수행성의 미학–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7.
  10. 여영주․홍재범, 「에쮸드 연행 체험과 치료적 자기이해」, 『한국연극학』 제69호, 한국연극학회, 2019.
  11. 제롬 브루너, (Making stories: law, literature, life), 강현석․김경수, 『이야기 만들기: 법,문학,인간의 삶을 말하다』, 경기도: 교육과학사, 2010.
  12. 조은상, 「문학치료에서 자기이해의 필요성과 방법」, 『문학치료연구』 제45권, 문학치료학회, 2017.
  13. 지그문트 프로이트, (Abriss der Psychoanalyse), 한승완, 「정신분석학 개요」, 『과학과 정신분석학』, 경기도: 열린책들, 2020.
  14. 지그문트 프로이트, (Trauer und Melancholie), 윤희기, 「슬픔과 멜랑콜리」,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경기도: 열린책들, 2020.
  15. 지그문트 프로이트, (Über Psychoanalyse), 임진수, 「정신분석에 대하여」, 『끝이 있는 분석과 끝이 없는 분석』, 파주: 열린책들, 2014.
  16. 폴 리쾨르, (Temps et récit I: Intrigue et récit historique), 김한식․이경래, 『시간과 이야기 1: 줄거리와 역사 이야기』,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1.
  17. 폴 리쾨르, (Temps et Re'cit III: Le temps raconté), 김한식, 『시간과 이야기 3: 이야기된 시간』,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1.
  18. 홍재범, 「에쮸드 연행의 자기치료 과정과 문학적 상상력」, 『겨레어문학』 제48권, 겨레어문학회, 2012.
  19. 홍재범,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 그리고 치료작업」, 『겨레어문학』 제65집, 겨레어문학회, 2020.10.35421/KNLL.65.4
  20. 홍재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한국 극예술의 접점』, 연극과인간:서울, 2022.
  21. Peter Brooks, Psychoanaysis and Storytelling, England: Blackwell, 1994.
  22. Winnicott, D. W. Playing and reality, England: Routledge, 2005.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30
  • No :0
  • Pages :295~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