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April 2024. pp. 161~191
Abstract
Foo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humans and is a cultural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has a specific meaning when it is located in the media. Among them,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the movie is noteworthy. The food in the movie has various meanings and conveys the story, but research to clarify this is still insufficient.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is approached in a socio-cultural context, but since the food in the movie is located in the movi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 using theories in that field. This study analyzed the hidden story value of food in the movie using the Charade technique, a theory of the movie.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that appears in the movie using the movie’s charade technique to find the hidden story value. Charade is a non-verbal expression technique that shows a character’s emotions, events, or background. The film in question is <The Hundred-Foot Journey>, which deals with the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a French restaurant and an Indian restaurant that operate opposite each other. Food appears as a major charade in this film.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in the movie <The Hundred-Foot Journey> by viewing the food as a single accessory charade. The first characteristic found here is that it expresses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 through food. The sea urchin, which is served as the food of a young chef Hasan, continues to appear in the movie, representing his natural talent, memories with his mother, social success, and longing for his hometown. In the movie, the meaning of sea urchins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protagonist, showing that the food is also related to the chronological growth of the protagonist.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food, and the food in the movie represents conflict and plays a role in helping reconciliation. Mrs. Mallory, who runs a French restaurant, and Hassan’s father, who runs an Indian restaurant, are the biggest pillars of the conflict, and they represent French and Indian food culture, respectively. Reconciling them is the food of Hassan and Margaret, who attempts to reconcile culture by welcoming strangers and mediating people’s relationships.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role of food as a place. Food itself represents society, country, and culture, and shows the time and space to which the characters belong. Croissants, baguettes, foie gras, and Nan, Curry, and Samosa of India appear intersectionally, showing their group and cul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od symb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harade’s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food in the movie represents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identity,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conflict and reconciliation, and the symbol of the place that reveals socio-cultural differences. In addition, the fact that food is involved in person-relationship-place impli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to characters-incident-setting, a key element of future stories,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orytelling using food.
음식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며 문화적인 표현인 동시에 미디어 안에 위치할 때는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그중에서도 영화와의 영향 관계가 주목된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스토리를 전달하고 있으나 아직 이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영화 속에 위치한 음식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의 숨겨진 스토리 가치를 찾기 위하여 영화의 비언어적인 표현 기법인 셔레이드 이론을 활용해 영화 <로맨틱 레시피>에 나타난 음식 셔레이드를 시간, 음식 장면, 내용, 사용목적 순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견된 첫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해 인물의 성격과 심리 상태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요리사 하산의 음식으로 나오는 성게는 영화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그의 천부적인 재능, 어머니와의 추억, 사회적 성공,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낸다. 이는 음식이 개인의 정체성 구축에 영향을 주며 주인공의 연대기적 성장과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한 관계의 표현으로 영화 속 음식은 갈등을 나타내고 화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프랑스 음식을 대표하는 말로리 여사와 인도 음식을 대표하는 하산의 아버지의 갈등을 봉합하는 건 하산의 음식으로 두 문화의 화해를 시도하며 관계를 매개한다. 세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한 장소의 표현이다. 음식은 그 자체로 사회, 국가, 문화를 나타내며 등장인물들이 속한 시공간을 보여준다. 셔레이드의 사용 목적에 따른 음식을 분석한 결과 영화 속 음식은 인물의 표현, 관계의 매개, 장소의 상징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식이 인물-관계-장소에 관여한다는 점은 향후 스토리의 핵심 요소인 인물-사건-배경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내포하며 이는 음식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에도 기여할 수 있다.
References
  1. 데버러 럽턴, (Food, the Body and the Self), 박형신 옮김,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 한울, 2015.
  2. 밥 애슬리․조안 홀로스․스티브 존스․벤 테일러, (Food and Cultural Studies), 박형신․이혜경 옮김, 『음식의 문화학』, 한울아카데미, 2014.
  3. 아라이 하지메, (新版シナリオの基礎技術), 나윤 옮김, 『시나리오 기초기술』, 시나리오 친구들, 2000.
  4. 앨런 비어즈워스․테레사 케일, (Sociology on the menu : an invitation to the study of food and society) 박형신․정헌주 옮김, 『메뉴의 사회학 : 음식 먹기와 연구로의 초대』, 한울아카데미, 2010.
  5. 이종승, 『미장센-영화 창작 논리의 해부』, 아모르문디, 2021.
  6. 주영하,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2011.
  7. 최상식, 『영상으로 말하기 : 셔레이드․몽타주․미장센의 해부』, 시각과 언어, 2001.
  8. 클로테르 라파이유, (The Culture Code: An Ingenious Way to Understand Why People Around the World Live and Buy as They Do), 김상철․김정수 옮김, 『컬처 코드』, 리더스북, 2007.
  9. 피에르 부르디외, (La Distinction),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상』, 새물결, 1995.
  10. 김광억,「음식: 문화융합의 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제10호,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5.
  11. 김성훈, 「셔레이드 기법이 인물의 성격구축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제2호), 한국콘텐츠학회, 2012.
  12. 김지선․김인형, 「영화 <4등>에서의 엘리트 체육 지도자와 선수 어머니의 셔레이드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30호,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7.
  13. 백민제, 「연출기법으로서의 셔레이드에 관한 연구」, 『연기예술연구』 제12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10.26764/jas.2018.12.7
  14. 백승국, 「미디어 속 음식 문화콘텐츠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프랑스학논집』 제30권, 프랑스학회, 2004.
  15. 손은하, 「색채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셔레이드: 영화<우먼 인 골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54호, 인문콘텐츠학회, 2019.10.18658/humancon.2019.09.54.231
  16. 양세욱, 「음식의 플롯, 미각의 미학: 음식과 미각의 시야로 다시 보는 영화 <기생충>」, 『영화연구』 제86호, 한국영화학회, 2020.10.17947/FS.2020.12.86.271
  17. 우남희, 「음식을 통한 트라우마 치유 –영화 「김씨표류기」에서 삶의 희망이 된 짜장면」, 『어문연구』 제4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18. 이명보, 「영화 <케빈에 대하여>의 셔레이드 연구」, 『씨네포럼』 제28호,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19. 이주리, 「바베트의 만찬 : 이방인 요리사의 식탁과 일상의 혁명」, 『외국문학연구』 제77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0.
  20. 정영선, 「음식영화의 장르문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21. 최윤영, 「작은 역사 속에 각인된 큰 역사 - 영화 <케이크메이커> 속의 음식, 사랑, 환대의 양상 분석」, 『독일문학』 제63호, 독어독문학회, 2022.
  22. Anne L. Bower, Reel Food, Routledge, 2004.
  23. Cherno, Melvin. “Feuerbach's “Man is what He Eats”: A Rectification”,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24(3), 1963.10.2307/2708215
  24. Faber, Pamela, and M. Carmen África Vidal Claramonte., “Food terminology as a system of cultural communication”, Terminology 23(1), 2017.10.1075/term.23.1.07fab
  25. Fischler, C., “Food, self and identity”, Social Science Information 27(2), 1988. 10.1177/053901888027002005
  26. Lockard, Paige. “Eating otherness: the unifying qualities of chocolate in Lasse Hallström's Chocolat.”, Artifacts, 12, 2015.
  27. Orgeron, D. A., & Orgeron, M. G., “Eating Their Words: Consuming Class a la Chaplin and Keaton”, College Literature 28(1), 2001.
  28.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70066&cid=40942&categoryId=32142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30
  • No :0
  • Pages :161~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