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April 2024. pp. 131~160
Abstract
Concepts such as “OSMU,” “transmedia storytelling,” and “content IP”, which are frequently discussed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can ultimately be said to be a type of rewriting. Rewriting is not only a phenomenon of 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but has been carried out regardless of time, place, and genre of expression.
Creativity means discovering differences and establishing criteria for differences. Therefore, rewriting can be said to be a creative activity that seeks to create new expressions and meanings through repetition and differences in the original or existing work. In particular, differences such as originality and differentiation are always emphasized in creative activities, but there has been no special research o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iscovery and occurrence of such differences.
Not only for creators of literature and movies, and for field creators who plan and develop content, but also in academic research, this “difference” and “rewriting” may be a critical concept and method. We looked at its value through the concept and meaning of “rewriting”, and looked at the theoretical context such as its types and methods.
As a core principle and method of rewriting strategy, we examin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rewriting through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based on this discussion, we examine the writing and rewriting of Camus’ The Stranger and Camel Daoud’s Meursault Murder Case as rewriting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ual intention’ and ‘resulting meaning’ of the differences and repetitions shown in this rewriting were revealed in various ways. By rewriting the ‘mythical mysticism’ of 『The Stranger』 into ‘historical realism’, the content was transformed into a new literary genre different from existing works. New values of postcolonial literature were created through the usurpation and overthrow of the authority and reputation of existing original texts.
Through the discussion and analysis process of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rewriting’ are very critical concepts not only for creators of content planning and development, but also in the study of our cultural contents.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OSMU’, ‘트렌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콘텐츠 IP’ 등의 개념들도 결국은 다시쓰기의 유형이라고 해도 좋다. 다시쓰기는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오늘날의 현상만이 아니라, 시대와 장소, 표현의 장르를 막론하고 이루어져 왔다.
창의성(creativity)이란 바로 차이의 발견과 차이의 기준(criteria)을 세우는 것이다. 다시쓰기는 원작 혹은 기존작의 반복과 차이를 통해 새로운 표현과 의미를 창출하려는 창의적 활동이다. 문학과 영화 등의 창작자들이나 콘텐츠 기획과 개발을 하는 현장 크리에이터들에게는 물론, 학술적 연구에서도 어쩌면 이 ‘차이’와 ‘다시쓰기’야 말로 어쩌면 결정적(Critical)인 개념이자 방법이 아닐까 하는 문제의식으로 다시쓰기의 개념과 의미를 통해 그 가치를 살펴보고, 유형과 방법 등의 이론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시쓰기의 철학적 토대로서 그리고 ‘다시쓰기 전략’의 핵심적 원리와 방법으로서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 논의를 기반으로 ‘다시쓰기 콘텐츠’로서 까뮈의 『이방인』과 카멜 다우드의 『뫼르소 살인사건』이 갖는 쓰기와 다시쓰기에서의 차이를 살폈다. 이속에서 보여주는 차이와 반복의 ‘과정적 의도’와 ‘결과적 의미’는 다양하게 드러남을 확인했다. 즉, 『이방인』의 ‘신화적 신비주의’를 ‘역사적 사실주의’로 다시쓰기 함으로써 기존의 작품과는 다른 새로운 문학 장르의 콘텐츠로 변모되었고 원전이 가지고 있는 권위와 명성의 찬탈과 전복을 통한 탈식민 문학의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었다.
본고의 논의와 분석 과정을 통해 ‘차이와 반복’으로서 ‘다시쓰기’는 콘텐츠 기획과 개발의 크리에이터들에게는 물론, 우리 문화콘텐츠 연구에서도 매우 결정적인 개념이라는 문제의식이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시쓰기의 성공적 전략은 새로운 배치와 접속의 ‘차이와 반복’이며, 동일성을 기반으로 하는 비교와 부정, 분할과 배제의 차이가 아니라, 반복 속에 생성하는 ‘긍정과 포용’으로서의 차이 전략이다. 이것은 챗GPT 등 인공지능의 기술적인 배치에 의한 반복과 복제와는 차원이 다른 ‘과정적 의도’를 통해, ‘결과적 의미’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인간적 특성의 다시쓰기 전략이기 때문이다. 차이와 반복, 다시쓰기는 문화콘텐츠학을 더욱 생기발랄하게 발전시켜나갈 학문적, 실용적 중추 개념으로서 손색이 없다고 여겨진다.
References
  1. 박치완 외, 『키워드로 읽는 문화콘텐츠 입문사전』, 꿈꿀권리, 2013.
  2. 린다 허천, (A theory of adaptation), 김상구 외 옮김,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8.
  3. 알베르 까뮈, (L'Étranger), 김화영 옮김, 『이방인』, 민음사, 2011.
  4.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 (Process and Reality), 오영환 옮김, 『과정과 실재』, 민음사, 2003.
  5. 윤구병, 『있음과 없음 – 윤구병의 존재론 강의』, 보리, 2003.
  6. 질 들뢰즈, (Difference et Repetition), 김성환 옮김,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7. 카멜 다우드, (Meursault contre-enquête), 조현실 옮김 『뫼르소 살인사건- 카뮈의 이방인, 살아남은 자의 이야기』, 문예출판사, 2017.
  8. 고현철, 「탈식민주의 문화전략과 패러디의 상관성 연구」, 『한국문학논총』 제36호, 한국문학회, 2004.
  9. 김계영, 「투르니에 소설의 탈민족화와 보편성-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제25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10. 박여성, 「간텍스트성의 문제: 현대 독일어의 실용텍스트를 중심으로」, 『텍스트 언어학』 제3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5.
  11. 박영은, 「‘패스티쉬’의 미학: 안나 카레니나에 대한 메타 텍스트로서의 루진방어」, 『노어노문학』 제18권(제2호),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12. 서성은, 「린다 허천의 각색담론」, 『우리어문연구』 제48호, 우리어문연구, 2014.
  13. 송지연, 「로빈슨 크루소 다시 쓰기- 투르니에의 『방드르디』와 쿳시의 『포우』의 탈식민주의적 읽기」, 『불어불문학연구』 제114권, 한국불어불문학회, 2018.10.18824/ELLF.114.07
  14. 오세종, 「김시종의 시와 ‘자서전’, 조선과 일본을 살아가다-제주도에서 이카이노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39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15. 이봉욱, 「탈식민주의 예술의 정치적 전복가능성으로서 다시쓰기」, 『예술과 미디어』 제18권(제2호), 예술과미디어학회, 2017.
  16. 이선화, 「프랑스 현대극에 나타난 다시쓰기의 미학: 메테를링크의 조아젤과 세제르의 어떤 태풍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33집,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0.
  17. 이은주, 「미셸 투르니에와 읽기의 문제」, 『프랑스어문교육』 제27호,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8. 이재준, 「술이부작과 온고지신의 교육학적 해석」, 『인격교육』 제5권(제2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
  19. 장재일․박윤희, 「르페브르의 ‘다시쓰기’와 번역가의 과제- 충실성(Fidelity)과 충실성(Loyalty)의 딜레마」, 『철학․사상․문화』 제25호,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20. 지영래, 「카멜 다우드의 ‘뫼르소, 살인사건’ 속에 나타난 다시쓰기 전략」,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64집,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8.
  21. 허병식, 「차이와 반복, 2000년대 한국문학장의 표절과 문학권력」, 『사이間SAI』 제20권,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22. 최수빈, 이소은 「콘텐츠IP 속성이 콘텐츠IP 연계 이용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 충성도의 매개효과 및 이용자 특성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방송학보』, 37(5), 2023.
  23. 황혜영, 「다시쓰기와 사고의 전이-『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중심으로」,『사고와 표현』 제8권(제1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5.
  24. 金時鐘․鄭仁他, 『在日朝鮮人と文学-詩誌 「チンダレ」, 「カリオン」他-』, 犬飼, 福中編, 『座談 関西戦 後詩史 大阪篇』, ポエトリー․センター, 1975.
  25. 네오룩 since 1999, https://neolook.com/archives/20000208a
  26. 시사IN,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932
  27. 존재와 사유, https://blog.naver.com/mdpsjk/20023305129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30
  • No :0
  • Pages :131~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