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0 April 2021. pp. 41-7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how war memories are de/re-contextualized in popular 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Taiwanese fans of the Japanese online PC game Kantai Collection (Kankore). First, the article theoretically examines the de-contextualizing of war memories in popular cultural contents and re-contextualizing at the consumption level. After that, the article briefly introduces the game’s settings and content. Two Taiwanese cases that observed participants in 2018–2019 were selected for this survey because they carry little political influence and contain relevant places, events, and multi-dimensional consumption patterns among the fandom. This survey found that World War II memories sit between forgetting and succession. Furthermore, it also appears through consumption patterns. In particular, the Taiwanese cases mentioned above show how de-contextualized war memory content is consumed non-contextually and given context in an area with little political preconception. Finally, by expanding the research target region, a future task was drawn to reveal how each region’s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affect the forgetting, succession, and consumption of war memories based on East Asia’s popular cultural contents.
이 글에서는 대중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쟁 기억이 탈맥락적으로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경향,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다시 맥락이 부여되는 과정에 대해 2013년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의 온라인 PC게임 <함대 컬렉션>(줄여서 <간코레>)의 대만 팬들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먼저, 탈맥락화하는 전쟁 기억 콘텐츠와 비맥락적 소비, 재맥락화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이어서, 제2차 세계 대전 시 사용된 군함을 여성 캐릭터로 만든 게임인 <간코레>의 설정, 내용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구체적인 조사로는, <간코레>팬덤 중 적은 정치적 영향, 관련 장소의 존재, 이벤트 실시 및 입체적 소비 패턴을 보이는 대만을 대상 지역으로 선정해 2018-2019년 참여 관찰을 실시한 두 가지 사례를 분석한다. 첫째, 일본 해군 함장을 신으로 모시고 있는 가오슝 홍모항보안당의 추모 이벤트 및 여기에 참가한 대만 <간코레> 팬들의 행동을 살펴본다. 둘째, <간코레> 동인 작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창작자 A士(에이스)씨의 작품을 분석한다. 조사 결과, 제2차 세계 대전의 기억이 캐주얼한 오락 콘텐츠로 만들어지고 나아가 이러한 콘텐츠를 둘러싼 비맥락적 소비와 재맥락화의 시도가 이어지는 것은, 2차 대전의 기억이 풍화와 계승의 한 가운데에 있는 것을 배경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차 대전에 대한 선입관이 상대적으로 적은 대만 <간코레> 팬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일방적인 수용이나 거부가 아닌, 의도하지 않은 맥락의 강화, 표백된 맥락을 결합한 비맥락적 소비 등 다양한 형태의 소비 패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끝으로, 연구 대상 지역 확대를 통해 각 지역의 사회적, 정치적 환경 차이가 동아시아에서 콘텐츠를 바탕으로 한 전쟁 기억의 풍화, 계승,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는 과제를 도출했다.
References
  1. 西崎信夫著, 小川万海子編 『雪風に乗った少年 15歳で出征した 「海軍特別少年兵」』, 藤原書店, 2019.
  2. 前川正名, 「鳳山区紅毛港保安堂について」, 『中国研究集刊』 60, 2014.
  3. 山田義裕, 岡本亮輔編, 『いま私たちをつなぐもの:拡張現実時代の観光とメディア』, 弘文堂, 2021.
  4. A士, FUKA, 『台湾の陽々(タイワンノヒビ)1』, 景美仙姫巌, 2014.
  5. A士, 『台湾の陽々(タイワンノヒビ)7』, 景美仙姫巌, 2019.
  6. 東 浩紀,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オタクから見た日本社会』, 講談社,2001.
  7. 大澤真幸, 『不可能性の時代』, 岩波書店, 2008.
  8. 宇野常寛, 『リトル‧ピープルの時代』, 幻冬舎, 2011.
  9. 장경재, 「콘텐츠 관광에서 코스프레의 의의와 지역발전에서의 역할」, 『문화콘텐츠연구』 제6호, 2015. 10.34227/tjocc.2015..6.7
  10. 정수희‧이병민, 「콘텐츠 투어리즘의 구성요소와 한국형 모델 연구」, 『문화콘텐츠연구』제18호, 2020.
  11. 이영아, 「한류 확산과 국내 문화관광 양상 연구- 왜 한류와 문화관광인가?」, 『문화콘텐츠연구』제14호, 2018.
  12. Foley, M. and Lennon, J., John. "JFK and dark tourism: A fascination with assass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2(4), 1996. 10.1080/13527259608722175
  13. Frost, M. R.,Vickers, E., and Schuhmacher, D., "Locating Asia's war memory boom: A new temporal and geopolitical perspective." In M. R. Frost, D. Schumacher, and E. Vickers (Eds.), Remembering Asia's World War Two. London: Routledge, 2019. 10.4324/9780367111335-101
  14. Halbwachs, M., La mémoire collective, 小関藤一郎, 集合的記憶,行路社, 1989.
  15. Lennon, J. J. and Foley, M., Dark Tourism: The attraction of death and disaster. Cengage Learning Business Pr, 2001.
  16. Seaton, P., Yamamura, T., Sugawa-Shimada, A., & Jang, K., Contents tourism in Japan : Pilgrimages to "sacred sites" of popular culture, New York: Cambria Press, 2017.
  17. Winter, J, "The memory boom in contemporary historical studies", Raritan 21(1), 2001.
  18. 「小英激似霧島艦娘 「霧島蔡英文」爆紅」, 『自由時報』, 2015년 11월 20일자.
  19. 「「少女兵器」、「鋼鉄少女」作者 皇宇(ZECO)氏特別インタビュー 日本に衝撃を与えた"美少女戦艦"はどのような経緯から生まれたのか!?」, 『Game Watch』, 2013년 2월 4일자.
  20. Ruliweb, "국내에 칸코레 온리전 계획중", https://bbs.ruliweb.com/mobile/ board/182589/read/8849753.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1
  • No :0
  • Pages :4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