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0 April 2022. pp. 75-101
Abstract
As the number of seniors who pursue sensory experiences and have an active consumption tendency increases, the influence of senior consumers in the culture and arts market is grow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consumption, where more value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sharing experiences with other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seniors on cultural consumption.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hypotheses regarding the effects of family, acquaintance, and group networks on seniors’ cultural consump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achievement. and the data of 3,410 seniors aged 60 and over extracted from the 「2019 Social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nior’s family and group network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visits to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However, acquaintance based social network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consump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leisur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cultural visits of seniors increased and that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level, the higher the sense of achievement in life. In other words, the cultural consumption of seniors has a practical effect in improving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is study confirmed that social capital, which affects seniors’ cultural consumption, is discriminatory according to the type of relationship network and raised the need for further analysis. By confirming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on cultural consump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network, this study raised the need to define social capital not only in the quantitative dimension such as the size of the network but also in the qualitative dimension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Also, in order to promote the cultural consumption of seniors,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utilize the family network with high intimacy and the group network that gives a sense of belonging.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seniors to use social capital to enjoy a richer cultural life and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감각적 경험을 추구하고 적극적인 소비 성향을 지닌 시니어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예술 시장에서 시니어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타인과 함께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가치가 창출되는 문화예술 소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니어의 사회자본과 문화소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가족, 지인, 단체 관계망이 문화소비와 여가만족, 그리고 삶의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2019 사회조사」에서 추출한 60세 이상 시니어 3,41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니어의 가족 관계망과 단체 관계망은 문화예술 관람 빈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족과 친척을 제외한 지인 관계망은 문화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니어의 문화관람 횟수가 많을수록 전반적인 여가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 시니어가 지각하는 삶의 성취감이 유의하게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시니어의 사회자본은 문화소비와 여가만족,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하는 실제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관계망의 유형에 따라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이라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자본을 관계망의 크기와 같은 양적 차원뿐 아니라 관계의 특성 등 질적 차원으로 정의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시니어의 문화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친밀도와 유대감이 높은 가족 관계망과 소속감을 부여하는 단체 관계망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니어가 사회자본을 바탕으로 더욱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즐기고 여가만족과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ferences
  1. 강소랑․문상호, 「가족관계 사회자본이 중, 고령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46권(제3호), 한국행정학회, 2012.
  2. 강은나․김혜진․김영선,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제37권(제2호), 보건사회연구원, 2017.
  3. 고정현․박선주, 「사회적 지지가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활용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이용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제34권(제2호),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0.
  4. 권순재, 「여가활동으로서 SNS 이용동기가 여가만족과 여가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42권(제4호),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8. 10.26446/kjlrp.2018.12.42.4.83
  5. 권현정․박화옥,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 문화복지 관점에서」, 『한국노년학』, 제28권(제3호), 한국노년학회, 2008.
  6. 김도연․허식, 「문화예술의 직접관람과 디지털 뉴미디어를 통한 간접관람의 결정요인 비교연구」, 『문화경제연구』, 제23권, 한국문화경제학회, 2020.
  7. 김보은, 「노인의 사회적 연결망, 죽음불안, 주관적 건강상태 간의 관계」, 『Health & Nursing』, 제29권(제2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간호과학연구소, 2017.
  8. 남은영․이재열․김민혜,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6권(제5호), 한국사회학회, 2012.
  9. 문화체육관광부,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2020.
  10. 문화체육관광부, 『일상회복과 문화강국 도약을 위한 2022년 문체부 예산』, 문화체육관광부, 2021.
  11. 박주연․신형덕, 「문화자본론과 옴니보어 이론의 실증적 비교: Peterson(1992) 모델의 적용」, 『문화정책논총』, 제32권(제2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12. 백처라․허식,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 간 문화예술 향유격차에 관한 연구-Oaxaca-Ransom 분해 방식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제23권, 한국문화경제학회, 2018.
  13. 서문식․신미숙․하승범․이샛별, 「문화예술공연 관람 시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8권(제1호), 2015.
  14. 서재열․김나래, 「사회적 활동제한상황에서의 스포츠소비자의 문화소비성향, 소비만족, 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5권(제4호), 한국웰니스학회, 2020. 10.21097/ksw.2020.11.15.4.285
  15. 손용진,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자녀 관계망 및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제12권(제3호), 경기연구원, 2010.
  16. 유은영․진현정,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제27권(제6호), 한국소비자학회, 2016.
  17. 윤영근․박용순, 「도예활동의 진지한 여가특성과 몰입 및 주관적 행복감-대학교 도예 프로그램 수강생 인터뷰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8권(제9호), 한국관광학회, 2014.
  18. 윤혜진․김영문․김은희,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제28권(제12호), 한국관광레저학회, 2016.
  19. 이민석․강희엽․이철원,「진지한 여가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56권(제1호), 한국체육학회, 2017.
  20. 이영라․이숙종,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다문화사회연구』 제12권(제3호),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21. 이영선․신은주,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제12권(제4호), 한국마케팅학회, 2011. 10.53728/2765-6500.1268
  22. 이용관․김혜인, 「연령별 사회관계망과 문화관람 활동의 관계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제46권(제3호), 한국소비자원, 2015.
  23. 이정훈․이희연, 「도시-농촌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비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2권(제3호),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24. 장세길, 「옴니보어 문화향유의 특성과 영향요인: 전라북도 사례」,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0권(제4호),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25. 정혜은, 「1인 가구의 사회관계 만족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8권(제1호), 한국생활과학회, 2019. 10.5934/kjhe.2019.28.1.1
  26. Arai, S. M., “Typology of volunteers for a changing sociopolitical context: The impact on social capital, citizenship and civil society”, Society and Leisure, 23(2), 2000. 10.1080/07053436.2000.10707534
  27. Bagozzi, R. P. &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1988. 10.1007/BF02723327
  28. Burch, W. R., “The social circles of leisure: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1(3), 2009. 10.1080/00222216.2009.11950176
  29. Chan, T. W. & Goldthorpe, J., “Social stratification and cultural consumption: The visual arts in England”, Poetics, 35(2-3), 2016. 10.1016/j.poetic.2007.05.002
  30. Chen, S. & Fu, Y., “Leisure participation and enjoyment among the elder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bility”, Educational Gerontology, 34(10), 2008. 10.1080/03601270802115382
  31. Cohen, S., “Psychosocial models of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tiology of physical disease”, Health Psychology, 7(3), 1988. 10.1037/0278-6133.7.3.269 3289916
  32.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1988. 10.1086/228943
  33. DiMaggio, P.,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2), 1982. 10.2307/2094962
  34. Emmison, M., “Social class and cultural mobility: Reconfiguring the cultural omnivore”, Journal of Sociology, 39(3), 2003. 10.1177/00048690030393001
  35. Glover, T. D. & Hemingway, J. L., “Locating leisure in the social capital literat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7(4), 2005. 10.1080/00222216.2005.11950059
  36. Kelly, C. M., Strauss, K., Arnold, J., & Stride, C.,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resources that support a sustainable career: The role of leisure seriousness and work-leisure similar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17, 2020. 10.1016/j.jvb.2019.103340
  37. Litwin, H., “Social network type and morale in old age”, The Gerontologist, 41(4), 2001. 10.1093/geront/41.4.516 11490050
  38. Litwin, H. & Shiovitz-Ezra, S., “Social network typ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 national sample of older Americans”, The Gerontologist, 51(3), 2011. 10.1093/geront/gnq094 21097553 PMC3095651
  39. Peterson, R. A., “Understanding audience segmentation: From elite and mass to omnivore and univore”, Poetics, 21(4), 1992. 10.1016/0304-422X(92)90008-Q
  40. Putnam, R. D., “Tuning in, tuning out: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Political Science & Politics, 28(4), 1995. 10.2307/420517
  41. Peterson, R. A. & Simkus, A., “How musical tastes mark occupational status groups”, Cultivating Differences, 1992.
  42. Raymore, L. A., “Facilitators to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4(1), 2002. 10.1080/00222216.2002.11949959
  43. Schwarzer, R. & Leppin, A., “Social support and health: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8(1), 1991. 10.1177/0265407591081005
  44. Stebbins, R. A., “The costs and benefits of hedonism: Some consequences of taking casual leisure seriously”, Leisure Studies, 20(4), 2001. 10.1080/02614360110086561
  45. Wenger, G. C., “A network typology: From theory to practice”, Journal of Aging Studies, 5(2), 1991. 10.1016/0890-4065(91)90003-B
  46. 「자살률 OECD 1위 한국 VS G7 1위 일본...같은듯 다른 실상」, 『매경프리미엄』, 2020년 7월 18일자.
  47. 「한국, 고령화 속도 OECD 중 가장 빨라…5년 뒤 ‘초고령사회’ 진입」, 『이투데이』, 2021년 3월 13일자.
  48.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2020~2022년 공연통계, https://www.kopis.or.kr/ (검색일 2022년 3월 22일).
  49. 한국능률컨설팅(KMAC), https://blog.naver.com/kmacforever/222657406312(검색일 2022년 3월 23일).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4
  • No :0
  • Pages :75-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