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1. pp. 35-65
Abstract
The interest in story value has persisted for a long time in the field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However, it seems like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that specifically clarified the concept and detailed the categories. Thus, this study finds the identity of ‘story value’ from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narrative human beings, and further, categorizes the very classification system. Among the terms defining narrative human beings, declaration of ‘Homo narraticus’ was used to explain the competence of storytelling within human memory, experience system, consciousness and essential mindset. On the other hand, ‘Homo narrans’ has been defined as the terminology for ‘talking human’ by paying attention to the action and behavior of human beings that use story through their lives. This article defines that the story value has formed with the connection between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human beings as Homo narraticus and the story application method of human beings living as Homo narrans.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the formalized convention of narrative styles humans have shared for a long time contained important clues about the story value system. Ultimately, this study presents 24 story value systems by combining the theory of popular narrative genre and the plot typology eclectically. The 24 classification systems are the result that I got by keeping an eye on the process of general values that cause dramatic tension fight, conflict, and rival. Also, it could be said that those are the conclusion reflecting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narration, also known as the quality of expectation and prediction of the recipient, changes while the conflicting values compromise, reconcile, and mediate.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systematize the meanings of terms that have been abused with lack of academic rigidity, inside and outside of the field of culture contents. Even though those 24 story values could not be the ultimate criteria, nor could be grammar for the creators and the enjoyers, hopefully it could be a useful frame of reference. Through follow-up research in the future, we will continue to have more sophisticated and effective discussions about story values.
스토리밸류(story value)에 대한 관심은 문화콘텐츠 산업 현장에서 오래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그 개념을 밝히고 범주를 세부화한 국내 연구는 아직 제출된 바 없다. 그래서 본 연구는 ‘스토리밸류’의 성격을 서사적 인간의 본원적인 특징에서 찾아낸 후, 그 분류 체계를 범주화하고자 한다. 서사적 인간을 규정하는 용어 중 ‘호모 내러티쿠스’라는 용어는 스토리텔링의 역능을 인간의 기억과 경험체계, 의식과 본질적인 사고방식 안에서 해명하는 자리에서 언급되어 왔다. 반면 ‘호모 나랜스’는 스토리를 활용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행위‧행동에 주목하여 ‘이야기하는 인간’을 뜻하는 용어로 규정되어 왔다. 이 글은 호모 내러티쿠스로서 인간의 근본적 필요와 호모 나랜스로 살아가는 인간의 스토리 활용 방식이 서로 연결되면서 스토리밸류가 보편적 체계를 형성해 왔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스토리밸류 체계가 당대의 유력한 서사양식들 사이에 자리잡은 공식(formular)화 된 관습(convention)에 영향을 받지만, 변화 가능성을 안고 있다고 본다. 그 연장선에서 대중서사 장르이론과 플롯유형론을 서로 절충적으로 결합하여 동시대적 효용을 갖는 24개의 스토리밸류 체계를 제시한다. 24개의 스토리밸류 체계는 극적 긴장을 자아내는 대별적 가치들이 대결‧갈등‧길항하는 과정에 유념한 결과다. 또한 충돌하는 가치들이 타협‧화해‧조정되는 과정에서 서사의 질, 곧 수용자의 기대와 예측의 질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반영한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문화콘텐츠 진영 안팎에서 학술적 엄밀성을 갖추지 못한 채 오남용되어온 용어의 의미를 체계화해보려는 시도다. 24개의 스토리밸류가 창작자‧향유자에게 절대적 기준이나 문법이 될 순 없겠지만, 현상황에서 유용한 준거틀이 될 수 있길 바란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스토리밸류를 둘러싼 더 정교하고 실효적인 논의를 이어나가도록 하겠다.
References
  1. 강현석,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내러티브학 탐구』, 한국문화사, 2016.
  2. 그래엄 터너, (Film as social practice), 임재철 외 역, 『대중영화의 이해』, 한나래, 2004.
  3. 김만수, 「한국 근대 희곡의 플롯 유형에 대한 기초 연구- 작품 행위소의 주제어 분류, 검색, 활용을 통하여」, 『한국극예술학회』 제16집, 2002.
  4. 김정희,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5. 노스럽 프라이, (Anatomy of criticism : four essays), 임철규 역,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4.
  6. 노시훈,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위한 36가지 극적 플롯 2』, 동인, 2004.
  7. 데이비드 보드웰‧크리스틴 톰슨, (Film Art), 주진숙‧이용관 역, 『영화예술』, 지필미디어, 2011.
  8. 도널드 E. 폴킹혼,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강현석 외 역,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학지사, 2016.
  9. 로널드 B. 토비야스, (20 Master plots : and how to build them), 김석만 역,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 풀빛, 2011.
  10. 로버트 쇼울즈‧로버트 켈록, (the theory of modern fiction), 최상규 역, 「설화의 전통」, 『현대소설의 이론』, 대방출판사, 1983.
  11. 로버트 맥키, (STORY), 고영범‧이승민 역, 『STORY: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민음인, 2002.
  12. 로저 C, 생크, (Dynamic memory revisited), 신현정 역, 『역동적 기억: 학습과 교육에 주는 함의』, 시그마프레스, 2002.
  13. 류은영, 「담화의 논리: 구술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까지」, 『외국문학연구』 제39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14. 미케 발, (Narratology: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한용환 강덕화 역,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1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Finding flow :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이희재 역, 『몰입의 즐거움』, 해냄출판사, 2010.
  16. 박문호, 『박문호 박사의 뇌과학 공부』, 김영사, 2020.
  17. 박유희, 「대중서사장르 연구 시론」, 『우리어문연구』 제26권, 우리어문학회, 2006.
  18. 배상준, 『장르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9. 송민령,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동아시아, 2018.
  20. 안숭범, 「길항서사 기획‧분석 방법론으로서 '스토리 밸런스 모델'에 대한 연구- 일본 영화에 나타난 설녀 캐릭터의 변용과 상징적 함의」, 『인문콘텐츠』 제49호, 인문콘텐츠학회, 2018.
  21. 안숭범, 「스토리텔링 기획‧분석 방법론으로서 '캐릭터 동기화 이론' 연구」, 『인문콘텐츠』 제51호, 인문콘텐츠학회, 2018.
  22. 안숭범, 「스토리텔링 기획‧분석을 위한 '플롯적층' 방법론 연구」, 『대중서사연구』 제26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20.
  23. 안영순 외,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위한 36가지 극적 플롯 1』, 동인, 2009.
  24. 에릭 캔델, 래리 스콰이어, (Memory, 2/e : From Mind to Molecules), 전대호 역, 『기억의 비밀』, 해나무, 2018.
  25. 이대영, 『스토리텔링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26. 정영권, 『영화 장르의 이해』, 아모르문디, 2019.
  27. 제임스 스콧 벨, (Plot & Structure), 김진아 역, 『소설쓰기의 모든 것』, 다른, 2018.
  28. 최기숙, 『환상』, 연세대학교출판부, 2010.
  29. 최혜실, 『스토리텔링, 그 매혹의 과학』, 한울아카데미, 2011.
  30. 토마스 샤츠, (Hollywood genres), 한창호‧허문영 역,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1996.
  31. 폴 리쾨르, (Temps et recit), 김한식 역, 『시간과 이야기 1』, 문학과지성사, 2012.
  32. 폴 코블리, (Narrative), 윤혜준 역, 『내러티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33. Christopher Booker, The Seven Basic Plots: Why we tell stories, continuum, 2010.
  34. Claude Bremond and Elaine D. Cancalon, "The Logic of Narrative Possibilities", New Literary History, Spring, 1980 Vol. 11, No. 3, On Narrative and Narratives: II, 1980. 10.2307/468934
  35. Georges Polti, Thirty-Six Dramatic Situations, The Editor Company, 1916.
  36. Roland Barthes, "An Introduction to the Structural Analysis of Narrative", Lionel Duisit. New Literary History, Vol. 6, No. 2, On Narrative and Narratives. 1975. 10.2307/468419
  37. Sarbin, T. R., The narrative as a root metaphor for psychology. In T. R. Sarbin (Ed.), Narrative psychology: The storied nature of human conduct. New York: Praeger, 1986.
  38. IMDB, https://www.imdb.com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2
  • No :0
  • Pages :3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