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1. pp. 67-100
Abstract
Recently, the festival’s operation has been chaotic due to the Pandemic. The existing offline festival was held as a non-face-to-face online festival in 2020, and is being held as a combined online and offline festival in 2021. Coronavirus 19 needs to be viewed from an opportunity perspective, not just as a festival crisis. In other words,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kind is turning into a hyper connected society. The festival also needs to try to switch to a hyper connected society, and I think Coronavirus 19 is an opportunity to advance that period. However, most festivals in Korea are holding hybrid festivals amid the paradigm of crisis. Hybrid festivals are concepts that use online space as needed. The hyper connected social festival is an era of convergence festivals that organically connects offline space and online space, not hybrid festivals, to recognize them as one space. Thus, this study recognized hybrid festivals as a preliminary step to the fusion festival and derived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convergence festival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addition, it analyzed the case of the 2021 Seoul Drum Festival, which was operated as a hybrid festival online and offline, and presented a strategy to move forward to a convergence festival. In other words, O2O platform and network construction, Making life into a festival and a festival into everyday life, convergence of contents utilizing metaverse technology, organic connection and inter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convergence festivals, which are future social festivals. In practice, it is expected to present a paradigm shift in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space of the festival in the festival business and the practical direction of the festival planning and operation strategy.
최근 팬데믹으로 인해 축제를 운영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축제는 2020년에 취소하거나, 비대면 온라인 축제로 개최되었으며, 2021년에는 취소하거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축제로 개최되고 있다. 코로나19는 축제의 위기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닌 기회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인류는 초연결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축제도 초연결 사회로의 특성인 오프라인과 온라인 융합을 시스템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코로나19는 축제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융합을 앞당기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지역축제는 대체로 취소하거나 단순한 오프라인과 온라인 결합형태인 하이브리드 축제형태로 개최되고 있는 실정이다. 초연결 사회에서의 지역축제는 오프라인 공간과 온라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축제로 나아가기 위한 전 단계로 하이브리드 축제를 인식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융합축제의 개념과 구조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하이브리드 축제로 운영된 2021년 서울드럼페스티벌 사례를 분석해 융합축제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을 4가지로 제시하였다. 즉, O2O플랫폼과 네트워크 구축, 일상의 축제화와 축제의 일상화, 메타버스 기술 활용 콘텐츠 융복합, 유기적 연결과 상호작용이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 축제로 부각될 수 있는 융합축제 연구의 방향성 고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실무적으로는 축제 업무에서 축제의 온라인 공간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과 축제 기획 및 운영 전략의 실무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김귀자‧이선경, 「한방축제의 장소마케팅이 지역축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 『MICE관광연구』제13권(제2호),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13.
  2. 김규찬‧이성민‧김현주‧윤주, 『4차 산업혁명과 문화‧관광 산업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7.
  3. 김서안, 「지역축제 장소성과 장소마케팅이 도시 이미지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4. 김성희‧이현우‧류원‧김광신, 「스마트공간과 메타버스 전시안내 기술개발 동향」,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5. 김영순, 「제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 그리고 사물인터넷 시대」.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7권(제3호), 한국콘텐츠학회, 2019, 14-19쪽.
  6. 김영현, 「온라인 축제프로그램, 웹사이트 품질이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 : 김제 지평선 온라인 축제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제45권(제4호),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7. 김향원‧남용현, 「'융합'개념의 이해와 디자인 환경에서의 의미」, 『한국디자인포럼』,제39,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8. 류정아, 『축제이론』, 커뮤니케인션북스(주), 2013.
  9.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축제 시행 현황 분석』, 2020.
  10.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 「한국축제, 위기에서 기회로」, 『비대면 시대 축제 실행방안 세미나 발표자료』, 2021.
  11. 박성주,「마음과 마음을 연결하는 두드림 : 2016 서울드럼페스티벌」, 『지방행정』제65권,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16, 78-79쪽.
  12. 삼정 KPMG, 「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 변화할 미래산업」, 『이슈모니터』 제68호, 2017.
  13. 서성은, 「메타버스 개발동향과 발전전망 연구」, 『한국HCI학회학술대회』, 한국HCI학회, 2008.
  14. 서울시청, 『2021 서울드럼페스티벌 평가보고서』, 2021.
  15. 성성종, 「영적 지도의 '반구조'(anti-structure)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빅터 터너(Victor W. Turner)의 의례이론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제50집,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16. 신현식,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융합축제 전략」, 『K-문화융합저널』, K-문화융합협회, 2021a.
  17. 신현식, 『초월성 축제』, 이야기담, 2021.
  18. 신현식‧오훈성, 「장소자산을 통한 지역축제의 장소마케팅 전략 연구」, 『호텔관광연구』 제18권(제2호), 한국호텔관광학회, 2016.
  19. 안성혜,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획 방안의 모색」『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8권(제12호), 한국콘텐츠학회, 2008.
  20. 양연경, 「뉴노멀 시대의 문화 접근성 취약계층을 위한 온라인 전시 감상 서비스의 효과적인 융합 다이내믹스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제39권(제1호),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21. 10.17548/ksaf.2021.01.30.269
  21. 오훈성, 『한국지역축제 실태조사Ⅱ』, 문화체육관광부, 2016.
  22. 오훈성, 「로제 카이와의 놀이이론을 적용한 강릉단오제의 분석: 미미크리와 일링크스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1), 한국관광연구학회, 2021. 10.21298/IJTHR.2021.1.35.1.5
  23. 우운택 , 『한류NOW 2020년 9+10월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24. 윤정구, 『황금수도꼭지』, 쌤앤파커스, 2018.
  25. 이경택, 「XR(eXtended Reality) 융합 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7(10), 2020, 17-22쪽.
  26. 이혜경, 「극장 밖으로 나간 커뮤니티 연극의 실천적 사례 - 월월축제: 마을공간과 스토리텔링의 융합을 통한 공감공동체를 향하여」, 『한국연극학』 제60호, 한국연극학회, 2016.
  27. 임종인, 「초연결사회를 대비한 사이버 보안 정책 제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4.
  28. 임재해, 「구비문학의 축제성과 축제에서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연구』제24집, 한국구비문학회, 2007.
  29. 전소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역축제의 장소마케팅 적용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30. 정혜영‧김경수,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와 지역축제의 연관성 연구-리옹, 삿포로, 린츠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제24권, 2016.
  31. 조해진, 「콘텐츠플랫폼으로서 지역축제 발전방안 연구: '강릉문화재 야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제19집.
  32. 주대영‧김종기,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2014.
  33. 최동희, 「온라인축제 평가속성, 축제만족, 방문의도 간의 영향 관계 연구」, 『Tourism Research』제46권(제2호),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34. 최재영 ‧조윤애‧정성균, 『특허자료를 이용한 기술융합 측정 및 확산 트렌드 분석』, 산업연구원, 2013.
  35. 최필식, 「가상 공간을 활용해 대규모 컨퍼런스와 문화 축제를 열다」, 한국인터넷진흥원, 2021.
  36. 한국정보화진흥원, 「"창조적 가치연결, 초연결사회의 도래"」, 『IT & Future Strategy』 제10호, 2013.
  37. 한양명, 「일생의례의 축제성 : 장례의 경우」, 『2009년도 비교민속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아시아 일생일례의 비교연구』, 비교민속학회, 2009.
  38. 한재경, 「축제에서의 공간 이미지 연구: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석사학위논문, 2014.
  39. 홍규덕‧조수영‧조관행, 「초연결사회 보안환경 변화에 따른 취약요인 및 대응방안. 전략연구」, 제26권(제3호),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9. 10.46226/jss.2019.11.26.3.103
  40. Anabel Quan-Haase and Barry Wellman, "Networks of Distance and Media: A Case Study of a High Tech Firm." Trust and Communities conference, Bielefeld, Germany, July, 2003.
  41. Barry Wellman, "Physical Place and Cyberplace: The Rise of Personalized Networ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Volume25.2., 2001. 10.1111/1468-2427.00309
  42. Curran, C.-S., & Leker, J., "Patent indicators for monitoring convergence -examples from NFF and IC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8(2), 2011. 10.1016/j.techfore.2010.06.021
  43. Hacklin, F., Management of convergence in innovation: strategies and capabilities for value creation beyond blurring industry boundaries: Contributions to management science, Springer, 2008.
  44. J. M. Smart, J. Cascio, and J. Paffendorf, "Metaverse Roadmap Overview,"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2007.
  45. 국무조정실, 「정보통신 최상위 의결기구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출범」, 보도자료, 2014.5.8.
  46. 「"2020 시흥갯골축제, 현장이 아닌 일상에서 만나요"」, 『시흥신문』, 2020년 07월 28일자.
  47. 「28-29일 장충체육관서 '서울 드럼페스티벌'」, 『연합뉴스』, 2021년 05월 24일자.
  48. 「재46회 정선아리랑제 10월 14일부터 4일간 개최」, 『중도일보』, 2021년 06월 15일자.
  49. The World Economic Forum, https://www.weforum.org/great-reset/.
  50. Cisco Systems, https://www.cisco.com/.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2
  • No :0
  • Pages :67-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