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criteria for establishing National Park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s. A mixed research method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was employed. A qualitative study involving a focus group of experienced National Park field work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potential indicators.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to urban areas, proximity to existing ecological tour sites, local tourist volume, nearby convenience facilities, density of tourist resources, and local government finances were identified. Further classification resulted in six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icators. The final result wa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n AHP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 AHP analysis model consisting of six factors: park area, number of park visitors, regional balance, local population, number of local tourists, and tourism resource density. A total of 2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experts in forestry, recreation, healing, tourism, hotels, and ecotourism. After passing the overall reliability test,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item was derived using the AHP technique using 25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selecting an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 site were the number of park visitors, number of local tourists, density of tourism resources, number of local population, regional balance, and park area.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tting establishment sites for efficient creation of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s with limited budget and manpower through the weighting of indicators for selection of construction sites when introducing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s to national parks.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탐방원 조성지 선정 지표의 우선 순위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연계하는 혼합연구방법으로 설계되었다. FGI를 통해 지표를 도출하는 질적연구를 시행하였고 AHP분석 양적연구로 계량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먼저 FGI 질적연구는 포커스 그룹을 15년 이상된 실무자로 설정하였으며, 1차적으로 도출된 도시권과의 접근성, 기존 생태탐방원과의 거리, 지역 관광객수, 주변 편의시설 유무, 관광자원 밀도, 지자체 재정자립도, 코로나 전후 관광객 변동률, 지역 인구 수, 지역 균형, 탐방안내소 등의 해당공원 체험시설 수, 공원 탐방객 수, 지역사회 협력도, 공원 면적 평가지표 중에서 2차적으로 분류하고 3차적으로 6개 지표로 최종 도출하였다. AHP 양적연구는 기 도출된 공원면적, 공원탐방객수, 지역균형, 지역인구수, 지역관광객수, 관광자원밀도의 6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AHP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산림, 휴양, 치유, 관광, 호텔, 생태관광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총 25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전체 신뢰도 검증을 통과하여 25부의 자료를 가지고 AHP기법을 통해 각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탐방원 조성지 선정 지표는 공원탐방객수, 지역관광객수, 관광자원밀도, 지역인구수, 지역균형, 공원면적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탐방원을 도입하는 데 있어 조성지 선정 지표의 가중치를 통해 한정된 예산과 인력으로 생태탐방원을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강영은․김태린․김주현,「산림 휴양 관광목적지 경관 기대가 경관 만족도 및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국립공원공단 생태탐방원을 중심으로」, 『한국경관학회지』 제15권(제1호), 한국경관학회, 2023.10.36466/KLC.15.1.9
- 곽수범, 「다섯 문단 글쓰기 교육의 실제(2)-한국어 학습자 인식 연구」, 『리터러시연구』 제10권(제6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9.
- 고계성,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를 위한 제주 오름의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5권(제3호), 관광연구저널, 2011.
- 고준환, 「광역문화재단 경쟁력 강화요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화학과 박사학위논문, 2023.
- 권헌교․심규원․한상열,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이용 분산효과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6권(제1호), 한국산림휴양학회, 2012.
- 국립공원연구원, 『2021년 국립공원 여가․휴양 실태조사』, 2022.
- 국립공원공단, 『2022년 국립공원 중장기 발전전략』, 2022.
- 국립공원공단, 『2023년 국립공원 탐방 트렌드 전망 및 분석』, 2022.
- 국립공원공단, 『2023년 국립공원공단 생태탐방원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2022.
- 국립공원공단, 『2023년 국립공원 탐방트렌드 전망 및 분석』, 2023.
- 국립공원공단, 『2024년 국립공원 기본통계』, 2024.
- 기획재정부, 『2023년 공공기관 경영평가편람』, 2022.
- 김남영, 「농인의 생태관광 경험이 국립공원 탐방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국립공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 김동훈․강희지․한상열, 「북한산생태탐방원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전통적 IPA와 수정 IPA에의 적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6권(제12호), 한국산림휴양학회, 2022.
- 김사영, 「AHP 기법을 활용한 지역관광개발사업 특화계획 우선 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3권(제3호), 한국관광연구학회, 2009.
- 김영재․권진욱, 「AHP 기법을 활용한 정원문화지수 개발 연구」,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제9권(제2호), 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 김용구, 「지속가능한 농촌체험마을 서비스 자체평가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21권(제6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 김유경․최창원, 「지난 25년간 브랜드 관리 연구 동향과 미래과제에 대한 탐색: 광고학연구에 나타난 브랜드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5권(제8호), 광고학연구, 2014.
- 김태린․강영은․박선규․강병선․김남영, 「생태 문화 소비의 기대-경험 일치 및 불일치에 따른 만족 차이 분석: 국립공원 생태탐방원을 사례로」, 『관광학연구』 제47권(제3호), 한국관광학회, 2023.
- 민종우․지윤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캠핑레저산업 서비스 고도화 방안」, 『관광레저연구』 제34권(제1호), 한국관광레저학회, 2022.10.31336/JTLR.2022.1.34.1.469
-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생태탐방로 조성․운영 가이드북』, 2012.
- 손세인․이충기, 「AHP를 활용한 관광두레사업 요인 도출과 우선 순위 분석」, 『관광레저연구』 제34권(제2호), 한국관광레저학회, 2022.10.31336/JTLR.2022.2.34.2.119
- 심규원․권헌교․송동주․도기호․김인수, 「우리나라 국립공원 생태관광 현황 및 탐방객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6권(제2호), 한국산림휴양학회, 2012.
- 왕캐․명민식․정나리․조상희, 「AHP를 활용한 중국 황하 연안 생태관광지 가중치 분석」, 『관광레저연구』 제34권(제8호), 한국관광레저학회, 2022.10.31336/JTLR.2022.8.34.8.67
- 유창호․이왕무․박성현․신승식, 「공공 시설물의 적정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9권(제3호),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10.46416/JKCIA.2017.12.19.3.151
- 윤철호, 「클라우드 기반의 사회과학연구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경영정보학연구』 제17권(제1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5.
- 이승훈,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상호작용 교수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경험품질 연구」-관광 관련 교과목 수강생을 중심으로」, 『호텔리조트연구』 제22권(제1호),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3.
- 이주희, 「국립공원 생태탐방원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가야산국립공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4권(제4호), 한국산림휴양학회, 2020.
- 이진형, 「생태관광 자원해설의 효과-자연해설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국립공원 방문객의 인지, 태도, 행동의 변화」, 『관광학연구』 제36권(제5호), 한국관광학회, 2012.
- 이충기․김남현, 「AHP를 활용한 복합리조트 카지노의 개발전략 요인과 우선 순위 분석」, 『관광학연구』 제39권(제2호), 한국관광학회, 2015.
- 정헌영․이하원․김장규, 「지하철 역사의 상하이동 편의시설 설치를 위한 우선 순위 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5권(제3호), 대한토목학회, 2005.
- 현병관, 「한국 국립공원 제도 도입과 초기 공원 지정 과정 연구」, 상지대학교 국립공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 환경부, 『생태관광 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연구』, 2019.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타당성조사 내 문화의 사회적 가치 반영방안』, 2022.
- 한국환경연구원, 『생태탐방로 조성․운영 가이드북전략 연구』, 2012.
- Celik, D., “Determination of the most suitable ecotourism activities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 case study of Balamba natural park, Turkey”,
Applied Ecology and Environmental Research 16(4), Applied Ecolog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8.10.15666/aeer/1604_43294355 - Nazanin Fekrizad․Leila Vossoughi, “Prioritization of Appropriate Areas for Developing Ecotourism in Talesh County, Using GIS & AHP”,
Journal of spatial planning 6(4), University of Isfahan, 2017. - Thomas L. Saaty,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 Pittsburge USA:RWS Publications, 2001. -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30
- No :0
- Pages :225~253
- DOI :https://doi.org/10.34227/tjocc.2024..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