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23. pp. 245-272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ssence of the collage technique, rooted in Cubism and Dadaism, which involves the selection of materials through chance discovery, the juxtaposi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rejecting traditional relationships, and the creation of new compositions through fragment assembly. Within the discourse of collage aesthetics, the cinematic world of Agnès Varda, a pioneer of the nouvelle vague, is explored. Varda’s distinctive cinematic style and experimental journey find expression through the collage technique, connecting diverse materials in a chain. Through the analysis of two documentaries, “Les Plages d’Agnès” (2008) and “Varda by Agnès” (2019), detailing the director’s personal film history and life, the paper delves into how Varda’s film collages generate meaning. Drawing inspiration from painterly collage, Varda’s collage strategy involves the painterly juxtaposition of materials gathered through the director’s chain of mnemic associations.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Varda’s collage technique assembles disparate materials to create a collage space, superimposing time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images emerging from different spatiotemporal contexts and layering past, present, and future times.
이 논문은 입체주의와 다다이즘에 뿌리를 둔 콜라주 기법의 본질을 우연한 발견, 이질적인 요소의 병치, 파편들의 조립을 통한 새로운 구성의 창조에서 찾고, 콜라주 미학의 담론 안에서 아녜스 바르다(A. Varda)의 영화 세계를 탐구한다. 누벨바그의 선구자인 바르다의 독특한 영화적 형식과 실험적 여정은 작가가 수집한 다양한 이미지 질료들을 연쇄적으로 엮어내는 콜라주 기법을 통해 표현된다. 감독의 사적 영화사와 지난 삶을 서술하는 두 편의 다큐멘터리 <아녜스 바르다의 해변(Les Plages d'Agnès)>(2008)과 <아녜스가 말하는 바르다(Varda by Agnès)>(2019)는 바르다의 영화 콜라주가 의미를 창출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다. 회화적 콜라주에서 영감을 얻은 바르다의 콜라주 전략은 감독의 연쇄적 연상을 통해 수집된 질료들의 회화적 병치에 있다. 분석을 통해 바르다의 콜라주 기법이 서로 다른 시공간적 맥락에서 돌출한 이미지들의 병치를 통해 시간을 중첩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그리고 다가올 미래의 시간을 중층화하는 콜라주 공간을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가스통 바슐라르, Le droit de rêver, 김웅권 역, 『꿈꿀 권리』, 동문선, 2008.
  2. 김호영, 『영화이미지학』, 문학동네, 2018.
  3. 닐 콕스, Cubism, 천수원 옮김, 『입체주의』, 한길아트, 2003.
  4. 로버트 윌리암스, Art history, 『서양미술: 역사와 이론의 만남』, 명인문화사, 2011.
  5. 로잘린드 크라우스, Passages in modern sculpture, 윤난지 옮김, 『현대조각의 흐름』, 예경, 1997.
  6. 매슈 게일, Dada & Surrealism, 오진경 옮김, 『다다와 초현실주의』, 한길아트, 2001.
  7. 메를로 퐁티,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류의근 옮김,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8. 발터 벤야민, Arcades Project, 조형준 옮김, 『아케이드 프로젝트』, 2005 참조.
  9. 발터 벤야민, 반성완 편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4.
  10. 배상준, 「알렉산더 클루게의 영화적 사실주의」, 『인문콘텐츠』 제13호, 2008.
  11. 아녜스 바르다, Agnès Varda: Interviews, 제퍼슨 클라인 엮음, 오세인 옮김, 『아녜스 바르다의 말』, 마음 산책, 2020.
  12. 앙리 베르그손, L'Évolution créatrice, 황수영 옮김,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05.
  13. 여금미, 「유토피아적 글쓰기로서의 자화상 영화-아녜스 바르다의 2000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제49호, 2017. 10.37981/hjhrisu.2017.08.49.155
  14. 이선주, 「아녜스 바르다의 21세기 작품에서의 씨네크뤼튀르와 상호미디어성」, 『인문사회21』 제1권(제3호), 2020.
  15. 이예은, 「다중원근법과 창안 기법으로 분석한 아녜스 바르다 작품의 상호매체성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45호, 2020.
  16. 이종오, 『문체론』, 살림출판사, 2006.
  17. 자크 오몽, Les théories des cinéastes, 곽동준 옮김, 『영화감독들의 영화 이론』, 동문선, 2005.
  18. 장미화, 「아녜스 바르다의 디지털 에세이 영화에 나타나는 촉각성, 상호작용성」, 『문학과영상』 제20권(제2호), 2019. 10.36114/JLF.2019.09.20.2.321
  19.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Images malgré tout, 오윤성 옮김, 『모든 것을 무릅쓴 이미지들 : 아우슈비츠에서 온 네장의 사진』, 도서출판 레베카, 2017.
  20.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Survivance des lucioles, 김홍기 옮김, 『반딧불의 잔존 : 이미지의 정치학』, 2020.
  21. 질 들뢰즈, Cinema 1: The movement-Image, 유진상 옮김, 『시네마 :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2.
  22. 질 들뢰즈, Cinema 2: The Time-Image, 이정하 옮김, 『시네마 II : 시간-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5.
  23. 페터 뷔르거, Theorie der Avantgarde, 최성만 옮김, 『아방가르드의 이론』,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24. Ágnes Pethő, ‘Intermediality as metalepsis in the “cinécriture” of Agnès Varda.’, Film and Media Studies 03, Acta Universitatis Sapientiae, 2010.
  25. Bridgitte Peuker, The Material Image : Art and the Real in Film, Stanford UP, California, 2007.
  26. Daviad Banash, Collage Culture : Readymades, Meaning, and the Age of Consumption, Brill AcademyPub, 2013. 10.1163/9789401209427
  27. Elza Adamowicz, ‘Collage’, Natalya Lusty, Surrealism, Cambridge UP, 2021. 10.1017/9781108862639.010
  28. Max Erenst, Beyond Painting: And Other Writings, Wittenborn, Schultz, 1948.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9
  • No :0
  • Pages :245-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