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ssembling Fan Activism - Fandom Identity as Material Assemblage and Strategies of Identity Maintenance -

    팬 행동주의를 재회집하기 - 물질적 배치로서의 팬덤 정체성과 정체성 유지의 전략들 -

    Lee, Jiyoung · Ahn, Heejeh

    이지영 · 안희제

    Through the case of BTS’s fandom “A.R.M.Y.,” this study reconfigures the existing linear discussion of fandom identity and fan activism by centering …

    방탄소년단의 팬덤 ‘아미’의 사례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팬덤 정체성과 팬 행동주의에 대한 기존의 단선적인 논의를 비일관성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팬덤 …

    + READ MORE
    Through the case of BTS’s fandom “A.R.M.Y.,” this study reconfigures the existing linear discussion of fandom identity and fan activism by centering on incoherence, and looks at fan activism as actual by understanding fandom identity as a dimension of material assemblage through actor-network theory. To this end, this study conceptualizes fandom identity as an effect of actor-networks and as another actor in which actors are punctualised. Fandom identity is then an actor that needs to be continually stabilized, and fan activism is an ongoing strategy for that stabilization. In the case of A.R.M.Y., their history has been defined by actions that have sought to realize social justice in particular. For the fandom A.R.M.Y., activism corresponds to the history of the fandom. A.R.M.Y. has mobilized its history of activism in the process of defining and preserving its boundaries, and activism has mobilized A.R.M.Y. in empowering itself by realizing the values formed within the chain of events. In this context, A.R.M.Y.’s fandom identity is an example of the mutually constitutive relationship between fandom and fan activism. Although this study takes fandom as its subject, it does not stop at the study of fandom, bu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activism itself, and seeks to resolve the friction by conceptualizing ‘history’ as a black-box, a concept that creates friction between existing social theory and actor-network theory. Activism as a becoming-minoritarian or a war against totalizing power is an act that is connected to the value of making society better. Reassembling fan activism, further, activism itself as an actor-network, can be a way to create a material basis for resistance in everyday world, instead of leaving hope or optimism for a better society in the realm of the potential or possible.


    방탄소년단의 팬덤 ‘아미’의 사례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팬덤 정체성과 팬 행동주의에 대한 기존의 단선적인 논의를 비일관성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팬덤 정체성을 물질적 배치의 차원으로 이해하여 팬 행동주의를 현행적인 것으로 바라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팬덤 정체성을 행위자-네트워크의 효과이자, 행위자들이 결절된 또 하나의 행위자로 개념화한다. 이때 팬덤 정체성은 계속해서 안정화되어야 하는 행위자이며, 팬 행동주의는 그러한 안정화를 위한 현재 진행 중인 전략이다. 아미의 경우, 이들의 역사는 특히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실행들로 정의되어 왔다. 아미라는 팬덤에 대하여 행동주의는 팬덤의 역사와 대응된다. 아미는 자신의 경계를 정의하고 보존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주의라는 자신의 역사를 동원했고, 행동주의는 사건들의 연쇄 안에서 형성된 가치를 실현함으로써 자신을 강화하는 데 아미를 동원했다. 그런 맥락에서 아미라는 팬덤 정체성은 팬덤과 팬 행동주의 사이의 상호구성 관계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다. 본 연구는 팬덤을 소재로 삼고 있지만, 팬덤 연구에 그치기보다 정체성과 행동주의의 관계 자체에 대해서 고찰하며, 기존 사회이론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사이에서 마찰을 빚는 개념인 ‘역사’를 하나의 블랙박스로 개념화함으로써 마찰을 해소하고자 한다. 소수-되기, 혹은 총체화하는 힘에 대한 전쟁으로서의 행동주의는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만들어가는 가치와 결부된 행위이다. 팬 행동주의, 나아가 행동주의를 하나의 행위자-네트워크로 재회집하는 것은 더 나은 사회를 향한 희망 혹은 낙관을 잠재성이나 가능성의 영역에 남겨두는 대신, 그것을 위해 가장 가까운 일상에서 저항의 물질적 근거를 마련하는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The Nogeun-ri Incident Represented by the Film and the Construction of Popular Memory of the Korean War

    영화 <작은 연못>이 재현하는 노근리 사건과 한국 전쟁의 대중 기억 구성

    Tae, Jiho

    태지호

    The question of how to remember the Korean War is one of the important indicators that define the identity of Korean society …

    한국 전쟁을 어떻게 기억하는가의 문제는 한국 사회 그리고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한국 전쟁과 관련된 기억의 유형과 양상은 매우 …

    + READ MORE
    The question of how to remember the Korean War is one of the important indicators that define the identity of Korean society and its members to this day. There are many types and aspects of memory related to the Korean War, but this study tried to explore its meaning through the movie (2010). was the first film to deal with the Nogeun-ri incident, a civilian massacre, through the popular media of the movie, and it is clear that it is an example of popular memory about the Korean War. To this end, this study was discussed based on two research methodological positions: film text and its audience. This means that the discussion of the representation itself, such as the narrative, expression, and symbol of , as well as the issue of how the audience accepts or means i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ejects the genre conventions of existing Korean war movies and minimizes technique or expression. encouraged the regeneration or evocation of memories beyond describing only the death or sacrifice that occurred in the Nogeun-ri incident. Second, through review analysi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opular memories of the Korean War appeared in various ways through .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are summarized as summons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restoration and penance of humanity, evaluation of memory itself, evaluation of the goods of film, and intertextual memory. In conclusion, is not just a movie that presents visual experiences, but a cultural practice that reveals the politics of memory, and according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popular memory is also composed in competition among various memories.


    한국 전쟁을 어떻게 기억하는가의 문제는 한국 사회 그리고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한국 전쟁과 관련된 기억의 유형과 양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본 연구는 노근리 사건을 최초로 다룬 영화 <작은 연못>을 통해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화 텍스트와 그 수용이라는 두 가지 연구방법론적 입장에 근거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는 <작은 연못>의 서사, 표현, 상징 등과 같은 재현 그 자체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그것을 대중들이 어떻게 수용 혹은 의미화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다루었다는 것을 뜻한다. 연구 결과, <작은 연못>은 기존 한국 전쟁 영화의 장르적 관습을 벗어나 기교나 표현을 최소화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작은 연못>은 노근리 사건에서 발생했었던 죽음이나 희생만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서 그 기억을 재생하거나 환기할 것을 유도하였다. 두 번째로 리뷰 분석을 통해, <작은 연못>을 매개로 하여 한국 전쟁의 대중 기억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그 유형의 특징은 이념적 대립의 소환, 인간성의 회복과 참회, 기억 그 자체에 대한 평가, 영화라는 재화에 대한 평가, 상호텍스트적 기억 등으로 요약된다. 종합하면, <작은 연못>은 단순히 시각적 경험을 제시한 영화가 아닌 기억의 정치성을 드러내는 문화적 실천이며, 그에 따라 대중 기억 또한 다양한 기억들 간의 경합 속에서 구성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Rethinking the Narrative of Transmedia Contents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 재고(再考)

    Seo, Seong Eun

    서성은

    This article aims to rethink narrativity in transmedia content.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the concept of transmedia storytelling was …

    본고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을 새롭게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2003년 헨리 젠킨스에 의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지도 어언 20년이 지났다. 그동안 트랜스미디어 …

    + READ MORE
    This article aims to rethink narrativity in transmedia content.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the concept of transmedia storytelling was introduced by Henry Jenkins in 2003, and in that time it has garnered considerable attention as the new normal of the multimedia age. The first decade of transmedia content, both large-scale asynchronous and small-scale synchronous, generated global buzz, and scholars scrambled to find meaning in these new narrative experiences. However, over the past 10 years, it has been difficult to find even remotely successful works in the field of transmedia contents. This article attributes this declining trend to changes in the transmedia content creation environment. Based on this, it found that the narrativity of transmedia content lies in the world and characters, not the plot-driven narrative, and analyzed K-pop group 'asepa's use of worldview and PD Na Young-seok's character-driven storyworld expansion strategy as examples.


    본고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을 새롭게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2003년 헨리 젠킨스에 의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지도 어언 20년이 지났다. 그동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다매체 시대 뉴노멀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초반 10년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대형·비동기식과 소형·동기식 유형을 막론하고 글로벌한 화제를 일으켰으며, 학계에서는 이 새로운 서사 경험의 의미를 찾기 위해 분주했다. 그러나 최근 10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관련 걸출한 후속작을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감소 추세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창작 환경의 변화에 있음을 주목하고 그 원인을 진단했다. 이를 토대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이 플롯 중심의 내러티브가 아닌 세계관과 캐릭터에 있음을 규명하고, 그 사례로서 케이팝 그룹 ‘에스파’의 세계관 활용과 나영석 PD의 캐릭터 중심 스토리월드 확장 전략을 분석했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에 관한 재고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창작·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The Delayed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 Focusing on the Politics Surrounding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Abolition of Censorship -

    문화정책의 ‘지연된 민주화’ - 문화부의 독립과 검열 폐지의 정치학을 중심으로 -

    Park, Sohyun

    박소현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official narrative of cultural policy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challenges the cliché that the independence of …

    이 논문은 한국의 문화정책사에 관한 공식 서사, 즉 87년 민주화운동의 역동이 문화정책 차원에서 제도화되는 기점을 노태우 정부의 문화부 독립(1990)에서 찾아온 클리셰를 비판적으로 …

    + READ MORE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official narrative of cultural policy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challenges the cliché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established by the Roh Tae-woo government in 1990, represent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1987 democratization movement in cultural policy. In reality, during this period,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were both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abolition of censorship.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democratizing cultural policies within a political context during the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which saw Kim Dae-jung elected. Since Kim Dae-jung’s four presidential campaigns provided a significant platform to democratize cultural policy and eliminate censorship as key national-level policy goals, this paper examines Kim Dae-jung’s presidential campaigns as a constituent of the cultural policy history. As a result,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first, the longing for a national cultural policy and the desire for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have been repeatedly expres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and that these aspirations erupted once again with the democratization of 1987. Second,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cy through the revival of the direct presidential system paradoxically led to the re-creation of a neo-military regime,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was reduced and refracted through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while intensifying government censorship. This strategy, which was both selective and deceptive, resulted in a paradoxical situation where one longstanding goal of democratization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reserved and frustrated another democratization aspiration (the abolition of censorship). Third, this ‘delay’ in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was resolved with the election of Kim Dae-jung as president in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who comprehensively pledged for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abolition of censorship. In this sense, the cliché of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starting with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1990) should be reconsidered in light of the historical introduction of the arm’s length principle in Korean cultural policy through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이 논문은 한국의 문화정책사에 관한 공식 서사, 즉 87년 민주화운동의 역동이 문화정책 차원에서 제도화되는 기점을 노태우 정부의 문화부 독립(1990)에서 찾아온 클리셰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 것이다. 87년 민주화 당시 문화정책의 민주화 과정에서 최대 쟁점은 문화부 독립뿐만이 아니라 검열 폐지였음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문화정책사 서술은 문화부 독립이라는 사건만을 제도적 민주화의 성취로 평가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정책의 민주화가 ‘문화부 독립’과 ‘검열제도 폐지’ 사이의 상호보완적 관계가 아니라 양자 사이의 긴장과 갈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정치적 맥락 속에서 전개되어 온 과정을, 해방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부터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이 당선되는 시기까지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김대중의 네 번의 대선 출마는 문화정책의 민주화와 검열 폐지를 국민적 차원의 정책공약으로 부상시키는 중요한 정치적 계기가 되었고, 네 번의 공약 내용은 거의 일관된 내용을 유지했던 만큼, 본 논문은 김대중의 대선 공약을 문화정책사와 교차시켜 검토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본 논문은 첫째, 국가 문화정책에 대한 숙원과 문화정책의 민주화에 대한 열망은 정부 수립 이래로 거듭 표출되었고, 이러한 열망이 87년 민주화를 계기로 다시 한번 거세게 분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통령 직선제를 부활시킨 민주주의의 제도화가 신군부 정권의 재창출로 이어지면서, 문화정책의 민주화가 문화부 독립이라는 행정조직의 개편만으로 환원·굴절되고, 정부의 검열은 오히려 강화되는 상황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3대 대통령선거에서 노태우는 검열 폐지는 제외하고 문화부 독립만을 대선 공약으로 추진하는 분열적 조치를 취했고, 문화부 설립을 추진하는 과정(1988-1990)에서도 문화부 독립이 내포하고 있던 핵심 정책의제인 검열 폐지는 도외시하고 이와 무관한 문화부의 역할과 방향을 새롭게 설정했다. 심지어 노태우 정부는 이전 군사정권의 검열체제를 강화하는 조치들을 추진하기까지 했다. 그럼으로써 문화부 독립은 더 이상 검열 폐지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민주화의 수단이 아니라, 기존의 검열체제를 온존시키고 은폐하고 정당화하는 반민주적 조치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선택적이고 위장된 전략은 오랜 민주화 열망(문화부 독립)이 또 다른 민주화 열망(검열 폐지)을 유보하고 좌절시키는 수단이 되는 역설적 사태, 즉 ‘문화부 독립’의 역습을 초래했다. 셋째, 문화부 독립과 검열 폐지가 분열·상충하는 사태는 제15대 대선(1997)에서 문화부 독립(및 공보처 폐지)과 검열 폐지를 종합적으로 공약한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해소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정책의 ‘지연된 민주화’는 87년 민주화 이후 10년, 김대중의 첫 대선 공약을 통해 국가정책의 과제로 정식화된 1971년 이후 26년, 나아가 제헌헌법에 예술의 자유와 문화예술인의 권리 보장을 새기고자 한 시점 이후 거의 50년이 되는 복합적인 시간 층위들을 아우르게 된다. 이러한 다층적 검토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부 독립(1990)이 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문화정책사의 민주적 전환 기조에 역행하여, 당시 문화정책의 민주화에서 핵심과제로 간주된 검열 폐지를 주변화하고 지연시키는 역설적 기제로 작동했음을 규명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A Study on the Digital Divide Between Immigrants and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North Korean Refugees and Marriage -

    다문화 이주민의 디지털 격차 진단과 영향요인 연구 - 북한이탈주민·결혼이주민과 일반 국민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Cho, Kyung Jae · Hwang, Yong Suk

    조경재 · 황용석

    Digital inclusion is being emerged as an important keyword for social policy. In South Korea, digital inclusion policies are mostly for bridging …

    이 연구는 디지털소외계층을 다문화 이주민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자료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한국에서는 디지털 격차 정책의 일환으로 4대 정보소외계층(장노년·장애인·저소득층·농어민) 위주의 지원정책이 있어 왔다. …

    + READ MORE
    Digital inclusion is being emerged as an important keyword for social policy. In South Korea, digital inclusion policies are mostly for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4 digital disadvantaged class(the aged / the disabled / low-income class / farmers and fishermen). However, as the multiculturalism of Korean society progresses, the government’s inclusion policy also needs to expand its frame to embrace racial minoriti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2019 Digital Divide Survey」 data from NIA, this study explored the digital divide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which are the major groups of multicultural population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one-way ANOVA results, digital access & skill & usage divide exists between general population and multicultural groups of South Korea,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 group’s PC-oriented digital skill and usage levels were even lowered than those of North Korean refugees. After exploring each group’s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to capital-enhancing/recreational use of PC and Mobile devic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we found that PC skill and device diversity level is the key factor of enhancing people’s digital use. In addition, North Korean refugees’ mobile device use is affected by income level,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capital-enhancing use and PC use is affected by education level. This study helps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and contributes to finding implicit point of digital inclusion support.


    이 연구는 디지털소외계층을 다문화 이주민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자료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한국에서는 디지털 격차 정책의 일환으로 4대 정보소외계층(장노년·장애인·저소득층·농어민) 위주의 지원정책이 있어 왔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다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정보격차 정책 역시 이주민에 대한 수용을 반영하는 프레임 확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통해 국내 다문화 인구를 구성하는 주요한 집단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과 일반국민간의 비교를 통해 디지털 격차 실태를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일반국민 집단과 다문화 집단 사이에는 디지털 정보 접근·역량·활용 격차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특히 결혼이주민은 PC 위주의 자본향상적 정보 역량 및 활용과 관련해서는 북한이탈주민보다 낮은 모습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로 PC/모바일 기기를 통한 자본향상적/여가적 정보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PC 이용 역량과 디지털 접근 기기 다양성이 모든 회귀 모델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은 소득이 증가하면 모바일 기기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결혼이주민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PC 활용 및 모바일 기기의 자본향상적 활용이 증가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주민 집단인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주민의 디지털 격차 발생을 이해하고, 추후 디지털 격차 해소 지원에 대한 함의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of the Romance Drama - Focusing on the Variations in Implementation of Clichés and 2030 Generation Code -

    로맨스 드라마 <킹더랜드> 스토리텔링 연구 - 클리셰 구현의 변주와 2030세대 코드 중심 -

    Yoo, Jaeyoung

    유재영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TV romance drama was able to succeed at the global box office with a Cinderella …

    최근 달라진 콘텐츠 제작 및 시청 환경에서 TV 로맨스드라마 <킹더랜드>가 어떻게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진 신데렐라 서사로 글로벌 흥행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기 …

    + READ MORE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TV romance drama was able to succeed at the global box office with a Cinderella narrative that has fallen out of the public’s interest in the recently changed content production and viewing environment, this paper analysed the storytelling of focusing on ‘variations in the implementation of clichés’ and ‘the 2030 generation code’. As a result, maintained the cliche that creates the core conflict of romance, but left only the sense of efficacy and omitted the excess of emotion and tearjerker, allowing the events to unfold quickly. In addition, by rearranging the binary opposition elements, the confrontation structure of ‘female protagonist vs. villainess’ was changed to ‘male protagonist vs. villainess’, overcoming the cliché of the conflict and reflecting the increased feminism, and by expanding the target of a rise in status from the heroine to the worker, vicarious satisfaction of the viewers was expanded. Meanwhile, targeting the 2030 generation, created a comical situation using jouissance text techniques that broke the grammar of traditional TV dramas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delivered a message about fairness and just compensation pursued by the 2030 generation through realistic representation of emotional labor sites. The storytelling of , which effectively transforms clichés and quickly captures and reflects the changed psychology of the viewers, demonstrates a popular narrative strategy in which familiarity and transformation co-evolve.


    최근 달라진 콘텐츠 제작 및 시청 환경에서 TV 로맨스드라마 <킹더랜드>가 어떻게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진 신데렐라 서사로 글로벌 흥행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클리셰 구현의 변주’와 ‘2030세대 코드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분석했다. 그 결과, <킹더랜드>는 로맨스의 핵심갈등을 만드는 클리셰를 유지하되 효능감만 남기고 감정의 과잉과 신파를 생략해 사건을 빠르게 전개시켰다. 또한 이항대립 요소를 재배치해 ‘여주인공 대 악녀’의 대립 구도를 ‘남주인공 대 악녀’로 바꾸어 갈등의 상투성을 극복하고 신장된 여성주의를 반영했으며 신분 상승의 대상을 여주인공에서부터 노동자까지 확대해 수용자 층의 대리만족 경험을 확장시켰다. 한편 2030세대를 겨냥해 정통 TV드라마의 문법을 깬 쥬이상스 텍스트 기법 및 수평적 소통으로 희극적 상황을 연출했으며 감정노동 현장의 사실적 재현으로 2030세대가 추구하는 공정성과 정당한 보상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클리셰를 효과적으로 변주하고 변화된 수용자 심리를 발 빠르게 포착해 반영한 <킹더랜드>의 스토리텔링은 익숙함과 변형이 공진화한 대중 서사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Analysis of Agnès Varda’s ‘Free Associative Collage’ Technique

    아녜스 바르다의 ‘자유연상 콜라주’ 기법 분석

    Choi, Min-jeong · Lee, Joo-eun

    최민정 · 이주은

    This paper examines the essence of the collage technique, rooted in Cubism and Dadaism, which involves the selection of materials through chance …

    이 논문은 입체주의와 다다이즘에 뿌리를 둔 콜라주 기법의 본질을 우연한 발견, 이질적인 요소의 병치, 파편들의 조립을 통한 새로운 구성의 창조에서 찾고, 콜라주 …

    + READ MORE
    This paper examines the essence of the collage technique, rooted in Cubism and Dadaism, which involves the selection of materials through chance discovery, the juxtaposi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rejecting traditional relationships, and the creation of new compositions through fragment assembly. Within the discourse of collage aesthetics, the cinematic world of Agnès Varda, a pioneer of the nouvelle vague, is explored. Varda’s distinctive cinematic style and experimental journey find expression through the collage technique, connecting diverse materials in a chain. Through the analysis of two documentaries, “Les Plages d’Agnès” (2008) and “Varda by Agnès” (2019), detailing the director’s personal film history and life, the paper delves into how Varda’s film collages generate meaning. Drawing inspiration from painterly collage, Varda’s collage strategy involves the painterly juxtaposition of materials gathered through the director’s chain of mnemic associations.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Varda’s collage technique assembles disparate materials to create a collage space, superimposing time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images emerging from different spatiotemporal contexts and layering past, present, and future times.


    이 논문은 입체주의와 다다이즘에 뿌리를 둔 콜라주 기법의 본질을 우연한 발견, 이질적인 요소의 병치, 파편들의 조립을 통한 새로운 구성의 창조에서 찾고, 콜라주 미학의 담론 안에서 아녜스 바르다(A. Varda)의 영화 세계를 탐구한다. 누벨바그의 선구자인 바르다의 독특한 영화적 형식과 실험적 여정은 작가가 수집한 다양한 이미지 질료들을 연쇄적으로 엮어내는 콜라주 기법을 통해 표현된다. 감독의 사적 영화사와 지난 삶을 서술하는 두 편의 다큐멘터리 <아녜스 바르다의 해변(Les Plages d'Agnès)>(2008)과 <아녜스가 말하는 바르다(Varda by Agnès)>(2019)는 바르다의 영화 콜라주가 의미를 창출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다. 회화적 콜라주에서 영감을 얻은 바르다의 콜라주 전략은 감독의 연쇄적 연상을 통해 수집된 질료들의 회화적 병치에 있다. 분석을 통해 바르다의 콜라주 기법이 서로 다른 시공간적 맥락에서 돌출한 이미지들의 병치를 통해 시간을 중첩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그리고 다가올 미래의 시간을 중층화하는 콜라주 공간을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Study on the Mountain Villages Nationwide Place Names

    전국 산촌 지명 연구

    Kim, Ju Mi · Min, Jee-Ae · Chang, Chuyoun · Yoo, Rhee-Hwa

    김주미 · 민지애 · 장주연 · 유리화

    As the interest in the multifaceted value of mountain villages increase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ir natu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cenic, …

    산촌의 다원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산촌의 자연적인 특성에 기반한 경관적·문화적·생태적 가치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산촌은 주로 산을 중심으로 …

    + READ MORE
    As the interest in the multifaceted value of mountain villages increase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ir natu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cenic, cultural, and ecological value. Mountain villages, mainly centered around mountains, have distinctive locational feature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spaces or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untain villages through their place names. Through the analysis of mountain village toponyms, a classification criterion was established to categorize them into natural toponyms, cultural toponyms, and others. The study examined all toponyms associated with mountain villages, focusing on their correlation with a representative regional cultural content, local festival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out of the 466 towns and townships designated as mountain villages nationwide, 341 toponyms (73.2%) were associated with natural environments, with mountain-related toponyms being the most prevalent at 119 (25.5%), followed by location-based toponyms at 103 (22.1%). Cultural toponyms constituted 68 (14.6%) of the total. The cultural toponyms in mountain villages exhibited a characteristic combination of natural geographical elements associated with mountains. Examining cultural content utilizing mountain village toponyms revealed a total of 43 local festivals, among which 14 were associated with mountain village toponyms. The use of mountain village toponyms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reas. Therefore, when enhancing the unique identity of mountain villages, active utilization of toponyms and their cultural content is recommended.


    산촌의 다원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산촌의 자연적인 특성에 기반한 경관적·문화적·생태적 가치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산촌은 주로 산을 중심으로 타 공간이나 지역과 차별화된 입지적 특성을 갖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산촌의 지명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명은 지형, 지물, 환경 등과 연관되어 명명되기 때문에 명명유연성(命名有緣性)의 특징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법」 상 산촌의 정의에 해당되는 466개 읍·면의 산촌 지명을 분석하였다. 산촌의 지명소를 통해 자연지명과 인문지명, 기타로 분류할 수 있는 산촌 지명 유형 분류 기준을 구성하여 전부지명소를 분석하고, 대표 지역문화콘텐츠인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산촌 지명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국의 산촌 466개 읍·면 중 자연환경과 연관된 지명은 총 341개(73.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였으며, 자연지명 중 산 지명에 해당하는 지역이 119개(25.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위치지명이 103개(22.1%)로 많았다. 인문지명은 68개(14.6%)였으며, 산촌의 인문지명들은 산과 관련된 자연지리적 요소가 결합하여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산촌 지명을 활용한 문화콘텐츠를 살펴본 결과, 총 43개의 지역축제가 있었으며, 그중 산촌 지명과 관계된 지역축제는 14개이었다. 산촌 지명은 산촌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산촌 고유의 정체성을 특화하고자 할 때, 지명과 지명의 문화콘텐츠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A Study on the Narrative of “Children of the Nation” in Chinese Films - It Focuses on the Movie , about the Inner Mongols -

    중국영화 속 ‘국가의 아이들’ 서사 연구 - 몽고족 소재 영화 <나의 몽고 어머니>, <바다의 끝은 초원>을 중심으로 -

    Ahn, Chang Hyun

    안창현

    “Children of the Nation” refers to more than 3,000 orphans of Han Nationality who were adopted and grown up by Mongolian families …

    ‘국가의 아이들(國家的孩子)’은 1960년대 초 대기근 시기 내몽고 몽고족 가정에 입양되어 성장한 3,000여 명의 한족 고아들을 가리킨다. 본 연구는 ‘국가의 아이들’로 불리는 몽고족 …

    + READ MORE
    “Children of the Nation” refers to more than 3,000 orphans of Han Nationality who were adopted and grown up by Mongolian families in the Inner Mongolia region during the Great Famine of the early 1960s. The study looked at the specific ways of rewriting contemporary Chinese history, which was reconstructed into films, focusing on films “My Mongolian Mother (額吉)” (2010) and “In Search of Lost Time (海的尽头是草原)” (2022), based on the story of orphans of Han Nationality raised in a Mongolian family called “Children of the Nation” and analyzed how to highlight the image of the state and the party and persuade the public in the process. The movie based on “Children of the Nation” is a narrative of overcoming disasters by national unity. At the same time, the orphans of Han Nationality grow into new family members in the grasslands. However, the melodramatic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cess stood out because historical true stories were treated at the ethical and emotional level of families and individuals. In terms of characters, Mongolian adoptive mother served as an embodiment of the maternal myth and a replacement for the state. The orphans of Han Nationality, who grow up to be children in the grasslands with the support of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served as a person seeking reconciliation with caregivers in the process of healing their inner trauma. In addition, the background of the movie “Children of the Nation” was reproduced as an image of hospitality, and the harsh real history was depicted as a hidden romantic space, revealing its limitations.


    ‘국가의 아이들(國家的孩子)’은 1960년대 초 대기근 시기 내몽고 몽고족 가정에 입양되어 성장한 3,000여 명의 한족 고아들을 가리킨다. 본 연구는 ‘국가의 아이들’로 불리는 몽고족 가정에서 양육된 한족 고아 이야기를 기반으로 제작한 영화 <나의 몽고 어머니(額吉)>(2010)와 <바다의 끝은 초원(海的尽头是草原)>(2022)을 중심으로 영화로 재구성된 중국 현대사 다시 쓰기의 구체적인 방식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국가와 당의 이미지를 부각하고, 대중을 설득하는지 분석했다. ‘국가의 아이들’ 소재 영화는 민족 단결에 의한 재난극복의 서사이면서 동시에 한족 고아들이 초원의 새로운 가족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서사이다. 하지만 역사적 실화를 가정과 개인의 윤리, 즉 정서적 차원으로 다루었기에 감정 과잉의 멜로드라마적 특성이 두드러졌다. 캐릭터 측면에서 몽고족 양어머니는 모성신화의 체현자이자 국가의 대체자로서 기능했다. 당과 정부의 지원 속에 초원의 자녀로 성장하는 한족 고아는 내면의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과정에서 양육자와 화해를 추구하는 인물로 국가의 능력을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했다. 또 ‘국가의 아이들’ 소재 영화의 배경인 내몽고 초원은 환대의 이미지로 재현되었고, 엄혹했던 실제 역사가 은폐된 낭만적 공간으로 그려지면서 한계를 드러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Female Universalism in the Context of Hallyu - A Focus on Drama and K-Pop -

    한류 콘텐츠의 여성보편주의 - 드라마와 케이팝을 중심으로 -

    Jang, Wonho

    장원호

    This study introduces a new concept called “Female Universalism” and explores how this concept has been expressed and developed in Hallyu content. …

    이 연구는 <여성보편주의>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한류 콘텐츠에서 이 개념이 어떻게 표현되고 전개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성보편주의는 문화콘텐츠에서 표현되는 합리적면서 공감적인 여성의 …

    + READ MORE
    This study introduces a new concept called “Female Universalism” and explores how this concept has been expressed and developed in Hallyu content. Female Universalism can be considered a concept that contrasts with the so-called “White Male Universalism,” portraying wise and empathetic representation of women in cultural content. In other words, while White Male Universalism contends that white male represent humanity as a rational and just group, Female Universalism proposes that women represent humanity though beauty, wisdom and empathy. In so doing, the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melancholia, as presented by Freud and Butler, to explain the spread of Hallyu, arguing that female Hallyu fans alleviate this melancholia through the consumption of Hallyu. The paper argues that this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in the global spread of Hallyu. The research illustrates various expressions of Female Universalism in the development of Hallyu and suggests that Female Universalism is now becoming a central aspect of Hallyu content. Furthermor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offering a new direction for Korean studies. While most of the previous Korean studies mainly apply foreign theories and concepts to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concepts developed in the Korean context influencing Western and international academia in return.


    이 연구는 <여성보편주의>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한류 콘텐츠에서 이 개념이 어떻게 표현되고 전개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성보편주의는 문화콘텐츠에서 표현되는 합리적면서 공감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서구의 백인남성보편주의에 대비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즉, 서구 대중문화에서는 백인남성을 인류를 대표하는 합리적이고 정의로운 집단으로 표현하는 데 반하여, 한류 콘텐츠에서는 여성의 아름다움과 지혜, 용기와 공감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 과정에서 프로이드와 버틀러 등에 의해 제시되었던 멜랑콜리아의 개념을 한류의 확산을 설명하는데 적용해서, 전 세계 여성팬들이 한류 소비를 통해 이러한 멜랑콜리아를 해소하고 극복하고 있고, 이것이 한류 확산의 주된 요인 중의 하나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한류의 확산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여성보편주의의 모습을 드라마와 케이팝을 중심으로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여성보편주의가 한류콘텐츠의 중심이 되어 가는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학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기존의 한국한 연구가 외국의 이론이나 개념들을 한국적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면, 이 연구가 제시하는 여성보편주의는 한국적 상황에서 발전한 개념이 서구 및 국제 학계에 역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A Study on Narrative Strategy Found in GOTY Winners - Focusing on the Big Winners at GOTY Award during the Last 10 Years -

    GOTY 게임에서 발견되는 서사 전략 연구 - 최근 10년간 최다 GOTY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

    Choi, Ji Woon

    최지운

    Currently, the status or presence of games is not inferior to other video contents.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

    현재 게임의 위상이나 존재감은 다른 영상 콘텐츠와 비교했을 때 뒤지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많은 연구자가 게임에 주목하며 의미 있는 결과들을 내놓았다. 하지만 …

    + READ MORE
    Currently, the status or presence of games is not inferior to other video contents.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games and found meaningful results. However, this paper tried to study the game through the concept of “narrative strategy,” which means a methodical problem of conveying a story in a narrative and narrative, which is a communication proces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To this end, we analyzed the setting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worldviews found in the study subjects and looked at how the narrative strategy located here evoked emotions and empathy for user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titles of the last 10 years among GOTY-winning work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both popularity and workability among users and critic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 man in the 30s or older, a gender and age group similar to the main user, appeared as the main character. In addition, they provided storytelling of solitude, fatherhood, and family problems that users can fully sympathize with. Next, they created dark fantasy and post-apocalyptic worldview derived from fantasy and SF (science fiction), where surreal time and space is the main center, to implant fear and helplessness in the mind of users. However, they aroused a deep sense of achievement and impressed users by offering a narrative that maximizes growth, realization of justice, and recovery of emotions and values. Lastly, series extended or end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racters and stories of the previous games. This is attractive to users in that it meets the expectations of the users who have played the previous games.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aroused the user’s sympathy and concentration by appropriately taking these narrative strategies, which leads to a success of winning GOTY award. Of course, that’s not all that can evaluate the completeness of games, but it is considered to have presented a valid opinion or a way.


    현재 게임의 위상이나 존재감은 다른 영상 콘텐츠와 비교했을 때 뒤지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많은 연구자가 게임에 주목하며 의미 있는 결과들을 내놓았다. 하지만 본고는 기존의 연구방법과 관점을 달리해 의사소통과정인 서사, 내러티브에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법적 문제를 의미하는 ‘서사 전략’이라는 개념을 통해 게임에 관해 연구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에서 많이 발견되는 캐릭터와 세계관의 설정, 구성적 특징을 분석해 여기에 자리한 서사 전략이 어떻게 유저에게 정서와 공감을 불러일으켰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유저와 평론가들 사이에서 대중성과 작품성을 모두 갖추었다고 여겨지는 타이틀인 GOTY 수상작들 중 최근 10년간의 타이틀로 한정 지었다. 그 결과 다음과 결론들이 도출되었다. 먼저 주된 유저와 비슷한 성별이자 연령층인 30대 이상의 남성을 메인 캐릭터로 등장시켰다. 더불어 유저들이 충분히 공감할만한 고독, 부성애, 가족 문제 등을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나갔다. 다음으로 비일상적인 시공간을 주 무대로 삼는 판타지와 SF에서 파생된 다크 판타지와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은 구축해 유저에게 공포와 무력감을 심어주었다. 그렇지만 거기에다 성장이나 정의의 실현, 정서와 가치의 회복이 극대화되는 서사를 제공하면서 유저에게 진한 성취감과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마지막으로 전작과 캐릭터와 스토리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시리즈의 확장이나 종결이 이루어졌다. 이는 전작을 플레이했던 유저의 기대지평을 충족시켜준다는 점에서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연구대상들은 대부분 이러한 서사 전략들을 적절히 사용해 모두 유저의 공감과 몰입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그것이 GOTY 수상이라는 호평으로까지 연결되었다. 물론 이것이 게임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전부가 될 수는 없겠지만 하나의 타당한 의견이나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여긴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