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August 2023. pp. 79-118
Abstract
Cyberspace is a virtual space, but it is also a part of the real space. Cyberspace has become a part of modern society in the 21th century. Cyber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modern culture. Many people are users of cyberspace and are using their selves in cyberspace. Thi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our second selves.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our first selves and our second selves.
The main cause lies in the fact that cyberspace is a kind of media. The cyberself, which is a second self emerged in cyberspace, is deeply affected by the media. The media incites users to have more desires that go far beyond their basic needs. The media is a device to enlarge human desires. Cyberself is enlarged and reconstituted and the exaggeration of desires is necessarily emphasized. This article examines cyberself, which is a second self formed in cyberspace and the ethical issues that it brings.
It seems that “the crisis of self”, that is discussed as one of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human beings, is accelerated by cyberspace. Cyberspace forms and enlarges the second self, and magnifies the hidden desires. The second self in cyberspace in turn feeds back into the self in the real world. Active control and ethical consciousness over cyberspace is needed to ensure healthy freedom in cyberspace. The slogan of the ‘glocal’, which is to “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is needed in cyberspace as it is in cultural conten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가상공간인 사이버공간(cyberspace)은 21세기 현대 사회의 한 부분이다. 이 사이버공간은 우리 현실 공간의 일부가 되었으며, 사이버문화는 현대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사이버공간의 사용자들이 되어 자신들의 자아를 사이버공간 속에서 활동시키고 있다. 그러다 보니 사이버공간 속에서 우리의 제2자아가 출현되기에 이르렀다. 다만 문제는 투영된 사이버공간 속의 자아가 현실의 제1자아와 다르거나 과장된 모습을 보인다는 데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이버공간이 미디어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사이버공간 속에서 출현된 제2자아로서의 사이버자아 역시 미디어의 영향을 깊게 받는다. 본래 미디어는 사람들로 하여금 기본 욕구를 넘어 다양한 욕망을 새롭게 갖게 하고 키우게 하는 장치다. 이 견지에서 사이버공간 속의 제2자아로서의 사이버자아 또한 확대 재구성되게 되었으며, 인간의 욕망과 과장이 필연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현실에 착안하여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제2자아로서의 사이버자아 및 윤리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대인의 문제 중 하나로 널리 회자되고 있는 ‘자아의 위기’는 이러한 사이버공간에 의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듯하다. 사이버공간은 인간의 제2자아를 확대 형성하며 감추어져 있던 욕망을 증폭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버공간의 제2자아가 다시 현실의 자아와 세계에로 투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이버공간의 건전한 자유를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통제와 윤리 의식이 필요하다. 사이버공간 역시 문화콘텐츠나 환경보호 문제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는 ‘글로컬(glocal)’의 슬로건을 생각할 때인 것 같다.
References
  1. 고다르, E., 『나는 셀피한다 고로 존재한다』, 선영아 역, 지식의 날개, 2018.
  2. 기어, C., 『디지털 문화: 튜링에서 네오까지』, 임산 역, 루비박스, 1999.
  3. 김선희, 『사이버시대의 인격과 몸』, 아카넷, 2004.
  4. 김성수, 「미디어와 지식」, 박치완 외, 『지식의 역사와 그 지형도』, HUiNE, 2016.
  5. 김정기, 「소셜 미디어와 소셜 커뮤니케이션」, 한국방송학회 방송과 수용자연구회, 『소셜 미디어 연구』, 2012.
  6. 나은영, 『감정과 미디어』, 컬쳐룩, 2021.
  7. 네그로폰테, N., 『디지털이다』, 백욱인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드레퓌스, H. L., 『인터넷 상에서』, 정혜욱 역, 동문선, 2003.
  9. 라이더, R. J.·샤피로, D. A.,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깨닫게 되는 것들』, 김정홍 역, 위즈덤 하우스, 2011.
  10. 박치완, 『글로컬 시대의 철학과 문화의 해방선언』, 모시는 사람들. 2021.
  11. 보드리야르, J., 『시뮬라시옹』, 하태환 역, 민음사, 2001.
  12. 양해림 외, 『사이버공간과 윤리』, 충남대학교 출판부, 2011.
  13. 엘리엇, A., 『자아란 무엇인가』, 김정훈 역, 민음사, 2007.
  14. 이길호, 「사이버스페이스의 인류학과 장소적 행위성」, 이광석 외, 『불순한 테크놀로지』, 2020.
  15. 이성식·전신현, 『사이버공간의 사회심리학』, 집문당, 2009.
  16. _____________, 『사이버사회심리학』, 집문당, 2020.
  17. 이장규 ․ 홍성욱, 『공학기술과 사회: 21세기 엔지니어를 위한 기술사회론 입문』, 지호, 2006.
  18. 이재신,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다양성 그리고 편향』, 커뮤니케이션북스, 2022.
  19. 이정우, 「여러 세계 속에서 살아가기」, 김석수 외, 『철학의 21세기』, 소명출판, 2002.
  20. 이현숙 외, 『사이버윤리와 인간의 이해』, HUiNE, 2013.
  21. 조동기 ․ 김병준 ․ 조희경, 『사이버문화의 특성과 사회적 영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22. 조향민·김찬원, 『과학기술, 첨단의 10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3. 젠킨스, H., 『컨버전스 컬처(올드 미디어와 뉴 미디어의 충돌)』, 김정희원 외 1명 역, 비즈앤비즈, 2008.
  24. 조화순 외, 『사이버공간의 문화코드』, 한울아카데미, 2015.
  25. 파울슈티히, W., 『근세 초기 매체의 역사』, 황대현 역, 지식의 풍경, 2007.
  26. 포스터, M., 『뉴미디어의 철학』, 김성기 역, 민음사, 1994.
  27. 프레이저, M.·두타, S.,『소셜 네트워크 혁명』, 최경은 옮김, 행간, 2010.
  28. 테일러, C., 『불안한 현대사회』, 송영배 역, 이학사, 2019.
  29. 터클, S., 『스크린 위의 삶 ―인터넷과 컴퓨터 시대의 인간』, 최우석 역, 민음사, 2003.
  30. ________, 『외로워지는 사람들 ―테크놀로지가 인간관계를 조정한다』, 이은주 역, 청림출판, 2012.
  31. 투루넨, A.·파르타넨, M., 『매너의 문화사』, 이지윤 역, 지식너머, 2019.
  32. 황상민, 『사이버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김영사, 2000.
  33. 홍성태, 『사이버사회의 문화와 정치』, 문화과학사, 2000.
  34. 김선희, 「자아정체성과 다중자아의 문제」, 『IT의 사회문화적 영향연구』 (제7호), 2004.
  35. 김성수, 「트랜스휴머니즘으로서의 사이버자아」, 『동서철학연구』 (제90호), 2018.
  36. ______, 「카뮈의 “이방인”에 등장하는 주인공 뫼르소의 탈신화화」, 『문화와 융합』 제45권(제4호), 2023.
  37. ______, 「VR 비디오 게임 소재의 영화 <아바론>에 내재된 가상과 현실 혼동: 자아, 믿는 체하기, 그리고 전설 개념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제52호), 2022.
  38. 김정화 외,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성폭력 범죄와 형사법적 규제에 대한 연구」, 『형사법의 신동향』 (제75호), 2022.
  39. 김소영, 「대중문화 수용자의 탈경계적 자아 연구를 위한 이론적 탐색: ‘미드의 이중 자아’에서 ‘온라인의 다중 자아’로의 확장」, 『인문콘텐츠』 (제60호), 2021.
  40. 나은영,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소통 공간의 확장』(전면개정판 2판), 한나래출판사, 2022.
  41. 노은수·최정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목적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 사용경험 차이」, 『PROCEEDINGS OF HCI KOREA 2023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제31호), 2023.
  42. 박정희, 「사이버스페이스의 철학적 ․ 윤리적 고찰」,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6권(제2호), 2006.
  43. 소흥렬, 「사이버문화의 인간적 조건」, 『정보과학회지』 제17권(제8호), 1999.
  44. 여명숙, 「사이버문화의 형이상학적 기초」, 『정보과학회지』 제17권(제8호), 1999.
  45. 유제상, 「게임 속 가상공간의 에스닉 이미지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31호), 2017.
  46. 최병두, 「다문화공간과 지구-지방적 윤리: 초국적 자본주의의 문화공간에서 인정투쟁의 공간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5권(제5호), 2009.
  47. 최은아, 「일기에서 SNS로 ―매체변화에 따른 일기의 장르사적 연구」, 『독일어문화권 연구』 (제21호), 2012.
  48. Aiken, M., Life in Cyberspace (Big Ideas Book 5), European Investment Bank, 2019.
  49. Graham, G., The Internet: A Philosophical Inquiry, Routledge, 1999.
  50. Heim, M., The Metaphysics Virtual Reality, Oxford Univerity Press, 1993. 10.1093/acprof:oso/9780195092585.001.0001
  51. Hinman, L. M., ‘Resources in Ethics on the World Wide Web’, Bynuml, T. W. and Moor, J. H. (eds.), The Digital Phoenix: How Computers Are Changing Philosophy, Blackwell, 2000.
  52. Kieran, M., Media Ethics: A Philosophical Approach, Praeger, 1999.
  53. Lipschultz, J. H., Social Media Law and Ethics, Routledge, 2021. 10.4324/9781003021018
  54. Ploug, T., Ethics in Cyberspace: How Cyberspace May Influence Interpersonal Interaction, Springer, 2009. 10.1007/978-90-481-2370-4
  55. Robins, K., ‘Cyberspace and the world we live in’, Bell, D. and Kennedy, B. M. (eds.), The Cybercultures reader, Routledge, 2000.
  56. Spinello, R. A., Cyberethics: Morality and Law in Cyberspace (7th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2020.
  57. Spivey, N., How Art made the World, BBC Books, 2005.
  58. Stone, A. R., ‘Will the Real Body Stand up?’, Benedikt, M., (ed.), Cyberspace: First steps, The M.I.T Press, 1994.
  59. Turkle, S., The Second Self: Computers and Human spirit, Simon and Schuster, 1984.
  60. Van Bolhuis, H. E.·Colom, V., Cyberspace reflections, VUB Press, 1995.
  61. Williams, B., Problems of the Self,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10.1017/CBO9780511621253
  62. https://www.lifespan.org/lifespan-living/social-media-good-bad-and-ugly
  63. https://www.techopedia.com/definition/2493/cyberspace
  64. https://journal.kiso.or.kr/?p=1324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8
  • No :0
  • Pages :79-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