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1 August 2019. pp. 45-9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arratively identif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involved in grasping the cause and the nature of the generation conflict that causes serious social division today.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viewpoint of literary therapeutics that reveals the way of operating human relations and relationships in narrative. In other words, it is suitable to search for clues to the causes and solutions of various problems revealed in the operation of human relations today, because folk tales narrate prototypes of the way humans operate the relations. This study aims to utilize the epic map as a tool to identify the cognitive structure of younger generation based on thes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ales. For this purpose, the conflict folk tales between daughter- in-law and the father-in-law have been analyze. This is because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ughter-in-law and the father-in-law in the folk tales tells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today’s generation of children and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at is appropriate to capture the contradictory aspect of today.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ree folk tales, , , . The narrative map constructed in this study extracts the motif related to the human relationship in the folk tale and revert to the factor affecting the human relationship.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use of generation conflict and the solution method that appeared in each conflict folk tales between daughter-in-law and the father-in-law and visualized it as a narrative network. It is expected that if the epic-map is expanded from the viewpoint of this study as a starting point, it will be able to grasp the whole generation conflict.
본 연구는 구비설화를 활용하여 오늘날 심각한 사회적 분열을 야기하는 세대 갈등의 원인과 속성을 파악하는 데 관여하는 인지적 특성을 서사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는 서사에 인간관계 및 관계를 운영하는 방식이 드러나 있다고 보는 문학치료학의 관점에 입각한 것이다. 즉, 구비설화는 인간이 인간관계를 운영하는 방식의 원형을 서사화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인간관계의 운영에서 드러나는 여러 문제들의 원인과 해결에 대한 단서를 탐색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는 구비설화의 이러한 본질적 특성에 기반하여 오늘날 자녀 세대의 인지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로서 서사지도를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며느리-시아버지 대립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구비설화에서 나타나는 며느리와 시아버지의 관계의 속성이 오늘날 자녀 세대와 부모 세대의 세대 특성과 맞닿아 있으며 그 대립 양상이 오늘날의 갈등 양상을 포착하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며느리와 시아버지의 대립이 나타나는 설화 <장자못>, <며느리를 시기한 곽박>, <방귀쟁이 며느리의 배 따는 방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서사지도는 구비설화에서 인간관계와 관련한 화소를 추출하고 이를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환원하였다. 며느리-시아버지 대립담에서 형상화하고 있는 세대 갈등 발생의 원인과 해결 방식의 차이를 포착하여 서사적 관계망으로 시각화한 것이다. 장차 세대 갈등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를 출발점으로 삼아 서사지도를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김정희, 「남녀관계의 위기와 지속에 대한 서사지도 구축과 문학치료 활용 연구」, 건국대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 김현숙, 「현대소설에 표현된 ‘세대갈등’ 모티브 연구」, 『상허학보』 6, 상허학회, 2000.
  3. 김혜미, 「초고령화 시대, 세대 갈등을 넘어 공존을 모색하다 -청소년의 세대 갈등 완화를 위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인문한국연구소협의회 학술발표 자료집, 2019.
  4. 김화경, 『韓國 說話의 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5. 노영근, 「<방귀쟁이 며느리> 민담의 신화적 성격」, 『구비문학연구』 16, 한국구비문학회, 2003.
  6. 신동흔, 「설화의 금기 화소에 담긴 세계인식의 층위 -장자못 전설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33, 비교민속학회, 2007.
  7. 신동흔,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 『구비문학연구』 42, 한국구비문학회, 2016.
  8.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1.
  9. 정규식, 「<방귀쟁이 며느리>설화에 형상화된 지배 질서의 변화와 그 의미」, 『동남어문논집』 44, 동남어문학회, 2017.
  10.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문학치료연구』 9,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11. ______, 「서사의 다기성(多岐性)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문학치료연구』 23,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12. 정운채 외, 『문학치료 서사사전』 1, 문학과치료, 2009.
  13. _________, 『문학치료 서사사전』 3, 문학과치료, 2009.
  14. 최래옥, 『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일조각, 1981.
  15. 하은하, 「문화적 맥락의 차이에 따른 설화 향유의 한 양상과 세대 간 소통을 위한 설화 교육 시론」, 『고전문학과교육』 39,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16. Daniel J. Levinson, 김애순 역,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16
  • No :0
  • Pages :4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