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18. pp. 35-55
Abstract
This paper interviewed 35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general adaptation patterns in Korea. Through this,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mainly said that they aimed at 'assimilation' or 'integration'. Integration, especially, has been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As in this perspective, examined the semantic way and strategies that enable 'integration'. The cognitive semantics of the Chinese marriage migrant woman A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1) To mean the suffering encountered in various aspects of life as 'suffering that can be overcome', 2) To obtain happiness through feasible work, 3) To define herself as 'good person', and valued the way for it. In the case of Chinese marriage migrant woman B, 1) It means that she has worth not being damaged by any criticism or play down of the opponent, 2) If conflict occurs, do not hesitate to express her beliefs to the opponent, 3) Try to be born again as a helpful person by herself. These semantics and behaviors have significance as a strategy for integration in the cultural adaptation process.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 살고 있는 중국계 결혼이주여성 35명을 심층 인터뷰하여 이들이 한국에서 경험하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문화적응 양상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계 결혼이주여성은 주로 ‘동화’ 또는 ‘통합’을 지향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 가운데 특히 ‘통합’이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건강하게 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의미화 방식과 전략을 살폈다. 이를 통해 중국계 결혼이주여성 A는 1)삶의 여러 국면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고난을 ‘극복 가능한 고난’으로 의미화하고, 2)실현 가능한 일을 통해 행복감을 얻으며, 3)스스로를 ‘선한 인간’으로 규정하며 이를 위해 나아가는 길을 가치롭게 여기는 인식적 특성을 보였다. 또한 중국계 결혼이주여성 B는 1)자신에게 상대의 그 어떤 비난 또는 폄하로도 훼손되지 않는 가치가 있다고 의미화하고, 2)갈등이 발생해도 상대에게 자신의 신념에 대해 표현하는 데 주저하지 않으며, 3)스스로 주위에 도움이 되는 존재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의 이와 같은 의미화와 행동 방식이 문화적응 과정에서 통합을 지향하는 전략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References
  1. 곽금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 작용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심리학회, 2008.
  2. 김경섭, 「여성생애담으로서 시집살이담의 의의와 구연 양상」, 『겨레어문학』 제48권, 겨레어문학회, 2012.
  3. 김영순‧임지혜‧정경희‧박봉수, 「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유대관계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10권 제3호, 한국언론학회, 2014.
  4. 김정경, 「여성생애담에 나타난 이주와 정주의 양상과 그 의미」, 『구비문학연구』 제41권, 한국구비문학회, 2015.
  5. 김정경, 「여성생애담의 자기생애 의미화 방식 연구 -자리매김과 자기반성적 언술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1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6. 두문영‧조진경, 「중국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여성학연구』 제27권 제1호, 부산대 여성연구소, 2017.
  7. 박미숙‧김영순‧홍유나,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제24권 제2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8. 석영미‧이병준,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사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제9권 제2호,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6.
  9. 신동흔, 「경험담의 문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구비문학연구』 제4권, 한국구비문학회, 1997.
  10. 여성가족부, 『2015년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분석』, 2016.
  11. 우명숙‧이나영, 「‘조선족’ 기혼여성의 초국적 이주와 생애과정 변동」, 『한국사회학』 제47권 제5호, 한국사회학회, 2013.
  12. 이해영, 「한국 이주 경험을 통해 본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정체성 변화」, 『여성학논집』 제22권 제2호,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005.
  13. 전은희,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구직활동과 취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14. 천혜숙, 「여성생애담의 구술사례와 그 의미분석」, 『구비문학연구』 제4권, 한국구비문학회, 1997.
  15. 최금해,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제72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6. 최원오, 「여성생애담의 이야기화 과정, 그 가능성과 한계」, 『구비문학연구』 제32권, 한국구비문학회, 2011.
  17.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제3권,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5.
  18. Berry, J. W.,‘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Amado M Padilla, Acculturation: Theory, models, and some new findings, Westview Press, 1983.
  19. Berry, J. W, Kim, U. Minde, T. and Mok, D.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Vol.21. No.3. SAGE Publications, 1987.
  20. Berry, J. W., ‘Immigration, 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46, No.1., Wiley 1997.
  21. OECD, 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2017, OECD Publishing; Paris, 2017.
  22. 통계청, 2017년 인구총조사, http://www.kostat.go.kr(검색일자: 2018. 10.23.)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14
  • No :0
  • Pages :3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