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18. pp. 81-107
Abstract
Recently, many cities are referring themselves as to be “Craft City” and putting up “craft” as the city brand. Many cities that claim to be the craft city put up the relevant cultural heritage, production related to the craft, and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s a consumer. However, it can be a totally different matter in which the cities are living as the craft cities of modern definition. One can start to have the fundamental question which “what the craft city really is.” Naturally, concerns regarding why many cities claim to be the craft city, and what the craft city really is and what the craft means as the component which forms the craft city start to generate. As the significance of the city’s cultural resource is emphasized, cities now endeavor to become the culture city on their own. This is because the value of the “cultural asset” is becoming more precious as the center of the creative industry of the city and as the symbolism and potential of the culture, while the value which measur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is shifting from the growth-orientation by formal development. As the paradigm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shift towards the Glocalization, interest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s the factor which composes the locality, what is at the core of Glocalization, is rising. In such flow, the cities are attempting various approaches to develop their own characteristics into the city brand with names such as “xx City.” In this context, the craft is the major component which forms the Creative City, and it is often mentioned as the core component of the Creative Industry. Additionally, the most distinct cultural asset of the city is often proposed to be the standard of the various culture policies connected to the city, and it is also categorized as one of the fields among Creative Cities Network defined by UNESCO.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n attempt to 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craft in the city along with the true nature of the “craft city” that recognizes the craft as the cultural asset of the city and accessing it to utilize it actively. However, as it was pointed out earlier, the clear definition and concerns about the craft city itself are insufficient, and the research seeks to access to the craft city paradoxically through the real-life examples of the verified craft cities. The example which the research has chosen was the city of Ganazawa in Japan (selected in 2009); the city has joined as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in the field of “craft and folk art.”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is the international solidarity operation by UNESCO to raise the cultural industry based on the city’s cultural assets and creativity and to promote developmen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ities. This research will find out about the identity of craft as the cultural asset of Ganazawa, the creative city, and it seeks to take a look at cultural environment which helped the city of Ganazawa to set itself as the creative city and the connection of the city’s cultural policies that back the cultural environment. Additionally,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seeks to think over about the defi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aft cities including Ganazawa, and the directional nature for the sustainability.
최근 많은 도시들이 ‘공예도시(Craft City)’를 자칭하며, ‘공예’를 도시브랜드로 내세우고 있다. 공예도시를 주장하는 도시들의 많은 경우는 관련 문화유산, 공예와 관련된 생산, 소비지로서의 역사·문화적 환경을 내세우며 공예도시로서의 정당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 도시들이 과연 현대적 의미에서의 공예도시로 살아가고 있는가는 사실 전혀 다른 문제일 수 있다. 여기서 ‘공예도시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의문을 갖게 된다. 왜 많은 도시들이 지금 공예도시를 주장하고 있는 것인가, 또한 그들이 말하는 공예도시는 과연 무엇이며, 공예도시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공예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등에 대한 고민이 생기게 된다. 도시가 가진 문화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도시들은 저마다 문화도시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는 도시의 경졍력을 결정짓는 요인이 과거의 외형적 성장중심 이 아닌 도시의 문화적 역량중심으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패러다임이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으로 전환되어 가며, 그 핵심에 놓인 지역성(locality)을 구성하는 요인으로서 지역이 가진 역사· 문화자산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도시들은 저마다의 특색을 ‘○○도시’라는 명칭의 도시브랜드로 발전시키기 위하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예는 창조도시(Creative City)를 이루는 주요한 요소이자,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의 핵심 요소로 언급된다. 또한, 한 도시의 고유성 및 역사성을 대표하는 가장 명확한 문화자원으로 도시와 연계된 다양한 문화정책의 기준으로 제시되기도 하며, 유네스코의 창의도시네트워크 중 한 분야로 분류되는 등 도시의 구성요소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공예를 도시의 문화자산으로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접근하고 있는 ‘공예도시’의 실체에 대한 고민과 함께 도시에서 공예가 갖는 의미를 모색해보려는 시도로 진행됐다. 그러나 전술하여 지적한 바와 같이 공예도시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고민들이 미흡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자는 검증된 공예도시의 실제 사례를 통해 역설적으로 공예도시에 대해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택한 사례는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와 그중 ‘공예와 민속예술’ 분야 도시로 가입된 일본 가나자와시(2009년 선정)이다.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는 유네스코(UNESCO)는 도시의 문화적 자산과 창의력에 기초한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도시들 간의 협력을 통한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추진 중인 국제연대사업으로 가나자와는 ‘공예와 민속예술(Craft&Folk Art)’를 대표하는 도시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창조도시 가나자와의 문화자산으로서 공예가 갖는 정체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연계하여 가나자와를 창조도시로서 자리 잡게 한 문화 환경, 이를 뒷받침해 주는 도시의 문화정책들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가나자와를 비롯한 공예도시들의 개념과 속성, 지속가능을 위한 방향성 등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했다.
References
  1. 사사키 마사유키, 이석현 역, 『창조도시를 디자인하라』, 美세움, 2010.
  2. 전병태,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 지원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3. 제인 제이콥스, 서은경 역, 『도시와 국가의 부』, 나남, 2004.
  4. 찰스 랜드리, 임상오 역, 『창조도시』, 해남, 2008.
  5. 최범, 『공예를 생각한다』, 안그라픽스. 2017.
  6. 강형기, 「일본 교토시(京都市)와 가나자와시(金沢市)의 문화산업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 전통산업의 보화와 진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8권 제1호, 경인행정학회, 2008.
  7. 김후련, 「가나자와형 창조도시 발전전략 연구 - 문화와 산업의 연계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제8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2.
  8. 나주몽, 「일본의 문화예술창조도시정책과 창조기반전략의 정책적 함의: 가나자와와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경제지리학회지』 제19권 제4호, 경제지리학회, 2016.
  9. 남기범, 「창조도시 논의의 비판적 성찰과 과제」, 『도시인문학연구』 제6권 제1호,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10. 원도연, 「창조도시의 발전과 도시문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인문콘텐츠』 제22권, 인문콘텐츠학회, 2011.
  11. 이병민,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 <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12. 정수희, 「문화콘텐츠를 통한 도시의 지역다움 연구-한·일 공예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3. 정수희, 이병민,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7권 제1호,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14. 정수희, 이병민, 「에코뮤지엄의 속성을 통해 본 도시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3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15. 정수희, 이병민,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 일본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제28권 제4호, 관광연구소, 2016.
  16. 정준모, 「지금, 오늘의 공에와 미술관?」, 『2011 청주국제공예 비엔날레 국제학술회의』, 컬쳐북스, 2012.
  17. 조성태, 강동진, 오민근, 「일본 가나자와(金澤)의 역사문화경관 관리 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7권 제3호, 한국도시설계학회, 2006.
  18. 조아라, 「일본 지방도시의 문화전략과 ‘지역다움’의 논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4권 제5호, 한국지역지리학회, 2008.
  19. 佐々木雅幸, 創造都市への挑戦ー産業と文化の息づく街へ, 岩波書店, 2001.
  20. 橋瓜紳也, 創造するアジア都市, NTT出版, 2009.
  21. 石原多賀子, “都市づくりにおける「金沢の個性」と「創造」-「金沢世界都市構想」具現化における事例を中心に”, 日本都市社会学会年報 Vol.32, 日本都市社会学会, 2014.
  22. 金沢市, 金沢創造都市推進プログラム(改訂版), 2013.
  23. 金沢市経済局屋営業戦略部クラフト戦略推進課, 平成26年度金沢市伝統工芸施策ガイド, 2015.
  24. 金沢市経済局屋営業戦略部クラフト戦略推進課, 平成27年度金沢市伝統工芸施策ガイド, 2016.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14
  • No :0
  • Pages :8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