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18. pp. 57-80
Abstract
The 'Korean wave tourism' which is popular in Korea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Korean pop culture craze exerts a great influence on the influx of foreign tourists in Korea.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Korean wave tourism" by the act that consumers of Korean culture contents visit directly to Korea and to induce the development and consumption of Korean wave related tourism products for them. However, the Korean wave at this time remains in the area of ​​popular culture contents, and does not include Korea's own local culture. In this flow, the cultural values ​​of Korean and Korean culture can not be optimistic for the future.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Korean wave Cultural Tourism' by adding unique cultural values ​​that are excluded from development to tourism products that are increasingly related to Korean Wave tourism.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wave tourism' does not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cultural tourism' in that it has a purpose to meet individual 's cultural needs. However, there is a point of blindness in interpreting Korean Wave only within the context of popular culture. Cultural tourism has been used as a means of achieving self-identity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rather than blind cultural content consump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which local cultures are voluntarily mixed. From this point of view, Korea should not utilize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that respond to the temporary issue of 'Korean Wave' but should utilize it as an opportunity factor for internat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establish a virtuous cycle structure of 'Korean wave cultural tourism' by cultivating ourselves competitiveness as a cultural sightseeing spot.
국내에서 최근 유행하고 있는 '한류관광'은 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국내 외래관광객 유입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데에서 시작한다. 크게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자가 직접 한국을 방문하는 행위와 그들을 위한 한류 관련 관광 상품 개발 및 소비를 유도하는 행위로 '한류관광'을 구분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때의 한류는 대중문화 콘텐츠 영역에 머물러 있으며, 한국의 고유한 로컬 문화를 포함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주 요점이라 하겠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자칫 한국과 한국의 문화가 가진 가치는 그 미래를 낙관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점차 증가하고 있는 맹목적 관광 상품 개발에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더해 ‘한류문화관광’으로의 발전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류관광’이 개개인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성을 지녔다는 점에서 ‘문화관광’의 전통적 정의를 벗어나지 않았음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한류를 대중문화의 맥락 안에서만 해석하고자 한다는 데 그 맹점이 있다는 것이다. 문화관광은 자발적으로 여러 지역의 문화가 뒤섞이는 세계화 시대에 이르러 맹목적인 문화콘텐츠 소비가 아닌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자아 정체성 실현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류’라는 일시적인 이슈에 대응하는 관광 상품 개발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한국이 국제적 관광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요소로 활용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스스로 문화관광지로의 경쟁력을 함양하여 ‘한류문화관광’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김성수, 「글로컬적 관점에서 본 한류에 대한 재평가」, 『인문콘텐츠』 제18권, 인문콘텐츠학회, 2010.
  2. 김성수, 「문화혼종, 글로컬문화콘텐츠, 그리고 콜라보레이션-문화코드간 콜라보레이션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글로벌문화콘텐츠』 제16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4.
  3. 김천중, 이주형, 「한국전통음식의 문화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7권, 1998.
  4. 문화체육관광부, 『2017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2018.
  5. 박창규, 「한류의 한국관광지 이미지 영향 분속」, 『관광연구저널』 제20권 2호, 한국관광연구학회, 2006.
  6. 박치완, 「왜 글로컬문화콘텐츠인가?」, 『인문콘텐츠』 제20권, 인문콘텐츠학회, 2011.
  7. 이준웅,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7권 5호, 한국언론학회, 2003.
  8. Bălan, D., Balaure, V. and Vegheş, C., ‘Travel and tourism competitiveness of the world's top tourism destination: An ecploratory assessment’, Annales Universitatis Apulensis Series Oeconomica Vol.11 No. 2, 2009.
  9. Edward M. Bruner, ‘Transfomation of self in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18 No.2, 1991.
  10. Jung, E. Y., ‘Transnational Korea: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korean wave in asis and United States’, Southeast Review of Asian Studies Vol.31, 2009.
  11. Novais, M. A., Ruhanen, L. and Arcodia, C., ‘Destination competitiveness: A phenomenographic study’, Tourism Management Vol.64, 2018.
  12. Richards, G., ‘Tourism development trajectories- from culture to creativity?’, Tourism & Management Studies Vol.6. 2010.
  13.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s://opengov.seoul.go.kr/budget/14608231(검색일자: 2018.11.10.)
  14. Visual Dive, 「외국관광객 10명 중 8명은 “한류관광 불만족”...왜? [인포그래픽]」, 2014.10.7., http://www.visualdive.co.kr/?p=37024 (검색일자: 2018.11.10.)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14
  • No :0
  • Pages :5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