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0 April 2021. pp. 71-10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subjectivity changes of older female characters expressed in the film. To this end, three films have been selected since 2015, and the concepts of Simone de Beauvouari’s “Second Castle”, Judith Butler’s “Gender Theory” and “Performance” are the criteria for consideration. he old female characters in the movie were Geum-nim from “Long Live,” So-young from “Killing Woman,” and Hyo-jung from “69 years old,” respectively. One of them is based on their performance in a male-dominated patriarchal society. the other is a woman whose sexuality exists, whose desire as a subject is castrated, who is portrayed only as a sexual typist or a “second gender.” and In a society that evaluates women’s sex based on “reproduction and sexual attraction,” he was placed in the batter’s position. but It is analyzed that women recognize that they are the main agents of sex and do not give up their rights. Older women in conventional perception are targets that are located in the batter’s box. The depiction in the media follows the image of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old female characters as subjects of life and sex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society also has a learning effect through portrayals in the media.
본 논문은 영화에 표현된 노년 여성 캐릭터의 성(性)적 주체성 변화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이후 영화 3편을 선정했고,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의 『제2의 성』과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젠더 정체성 이론』 안에 담긴 ‘수행성 이론’의 개념을 고찰 기준으로 두었다. 대상이 된 영화 속 노년 여성 캐릭터는 각각 <장수상회>의 금님, <죽여주는 여자>의 소영, <69세>의 효정으로서 이들은 각각 남성중심 가부장 사회에서의 수행성을 토대로 ‘타자’로만 존재하는 무성(無性)적 여성, 성(性)은 존재하되 주체로서의 욕망은 거세된 성적 타자 혹은 ‘제 2의 성’적 존재로만 그려지는 여성 그리고 ‘재생산과 성적 매력’을 기준으로 여성의 성(性)을 평가하는 사회 속에서 타자의 타자 위치에 놓였지만, 성(性)의 주체임을 인식하고 그 권리를 포기하지 않는 여성의 모습으로 변화를 분석했다. 관습적 인식 안에 노년 여성은 타자의 타자에 위치하는 대상이다. 미디어 속 묘사가 사회의 모습을 답습하기도 하지만, 거꾸로 사회가 미디어 속 묘사를 통해 학습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삶의 주체자이며, 성(性)의 주체자로서의 노년 여성 캐릭터의 변화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강남순, 『페미니즘 앞에 선 그대에게』, 한길사, 2020.
  2. 강성숙, 「노년 여성 결연 설화에 나타난 성(性) 담론 양상과 의미」, 『구비문학연구』제48집, 구비문학회, 2018. 10.22274/KORALIT.2018.48.001
  3. 강준만, 『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 인물과 사상사, 2017.
  4. 권지혁, 「영화에 나타난 노인 캐릭터의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43호, 글로버문화콘텐츠학회, 2020.
  5. 김경란, 「노년의 영화적 재현: 노년담론과 노인의 정체성」,『독어교육』76,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6. 김지혜, 「고려화 사회의 '노년 담론'과 '노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나카무라 유지로, 우에노 치즈코, (人間」を超えて : 移動と着地.), 장화경 역,『인간을 넘어서-늙음과 젊음, 남과 여』, 당대, 2004.
  8. 박인영, 「노년의 영화적 재현: 여성의 자아 탐색을 중심으로」, 『영화연구』(64), 한국영화학회, 2015.
  9. 서유정, 「브레히트의 품위없는 노파에 나타난 노년 여성의 수행석 분석」36, 한국연구재단, 2010.
  10. 성향숙, 「여성의 노인 보호에 관한 페미니즘 비판」, 『여성연구논집』12, 신라대학교 여성문제 연구소, 2001.
  11. 이종임, 「홍주현, 설진아,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 『미디어, 젠더 & 문화』34(2)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12. 임옥희, 『젠더의 조롱과 우울의 철학: 주디스 버틀러 읽기』, 여이연, 2008.
  13.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한국학술정보, 2007.
  14. 조현준, 『버틀러, 젠더 트러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5. Audre Lorde, (Sister Outsider), 주해연 역, 『시스터 아웃사이더』, 후마니타스, 2018.
  16. Jane. Freedman, (Feminism), 이박혜경 역, 『페미니즘』,도서출판 이후, 2002.
  17. Simone de Beauvoir, (LE DEUXIÈME SEXE), 조홍식 역, 『제2의 성, 상』, 을유문화사, 1993.
  18. Simone de Beauvoir, (Le deuxieme Sexe), 이희영 역, 『제2의 성』, 동서문화사, 2009.
  19. Ursula (Tidd, Simone de Beauvoir)", 우수진 역, 『시몬 드 보부아르 : 익숙한 타자』, 앨피, 2007.
  20. Verorica Beechey, (On Patriarchy) 김용규 외 역, 『영미문화연구』, 문화과학사, 2000.
  21. 「20년 뒤엔 인구 3명 중 1명은 '노인'」, 『국민일보』, 2020년 10월 16일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60598&code=11151100&cp=du
  22. 「지지대, #나는 페미니스트다」, 『경기일보』, 2016년 3월 7일자, http://www.kyeonggi.com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1
  • No :0
  • Pages :7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