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April 2023. pp. 75~120
Abstract
As social distancing was prolonged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2020, the art community actively tried to communicate with audiences through online contents, leading to a new trend of non-face-to-fac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by winning responses from many audiences and consumers. As audiences have started returning to concert halls and exhibition halls, the art world is rapidly reverting back to pre-COVID-19 daily life. In this study, it is examined the effects of the online media arts activity support project initiated during social distancing, including plans for improving existing performance indicators. It is proposed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subsidy project and adding meaning to public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online media arts activity support. It is considered the post-COVID-19 era policy projec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recent trends, keyword analysis, and a pilot model. In conclusion, it is created a test model for the performance and direction of policy support projects, going beyond simple output indicators and considering cultural values for each value chain.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support for online media art activities can be helpful to the art world and that support for online media art activities can be used as a tool for more diverse classes and generations to enjoy and develop.
2020년 감염병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면서 예술계는 온라인 콘텐츠를 통한 관객과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였으며 많은 관객과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으며 비대면 문화예술 콘텐츠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갔다. 이후 상황이 나아지면서 다시 관객들이 공연장과 전시장으로 돌아오면서 예술계는 빠르게 코로나 이전 일상으로 복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시작된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이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 기존의 성과지표 개선안을 포함하여 성과측정 모델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국고 보조사업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공공성의 의미를 더해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려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최근 트렌드, 키워드분석, 시범적인 성과지표 제안 등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 정책사업의 방향성을 고민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정책지원사업의 성과와 지향점에 대해 성과지표 개선을 포함한 시험적인 모델을 제안해볼 수 있었으며, 단순 산출(output) 지표에서 나아가 가치사슬별로 문화적 가치를 고려, 가능한 성과지표와 보조사업의 개선방향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 앞으로 더욱 예술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과 다양한 계층과 세대들이 더 많이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로서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이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ences
  1. 권기현, 『정책학 강의』, 박영사, 2019.
  2. 김경섭, 『문화예술 콘텐츠기획』, 북퍼브, 2020.
  3. 김상균, 『메타버스』, 플랜비디자인, 2021.
  4. 기획재정부 보조사업평가단, 『2022 국고보조사업 연장평가 보고서』, 2022.
  5. 김혜연·박신의,「시각예술 분야 온라인 콘텐츠 성공요인 분석-<널 위한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경영학연구』 제14권 제11호,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1.
  6. 김동현, 『코로나19 대응 관광분야 재정지원 정책 효과 분석 모형 개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7. 남기범,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의 의제분석과 도시의 문화정책방향」, 『문화콘텐츠연구』 제21호, 건국대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1.
  8. 노수경, 「문화도시 정책 성과 측정방안 연구-성과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학위논문, 2023.
  9. 독립미디어연구소 사회적협동조합, 2021, 『독립예술영화 유통배급지원센터 인디그라운드 성과평가모델 개발연구』, 2021.
  10. 루비 산두로존, (Selecting Indicators for Impact Evaluation), NPO지원센터 역, 『사회적 영향력 평가를 위한 지표 선정 방법』, 2019.
  11.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정보를 활용한 콘텐츠산업 성과지표 개발연구』, 2012.
  12. ______________, 『4차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정책 연구』, 2019.
  13. ______________, 『공연예술조사(2019년 기준) 보고서』, 2020.
  14. ______________, 『2021 예술인 실태조사(2020년 기준)』, 2021.
  15. ______________, 『2021년 자체평가 결과보고서(주요 정책 부문)』, 2022.
  16. ______________, 『온라인미디어예술활동지원 기초조사보고서』, 2022.
  17. 백선혜·이정현·조윤정,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제307호), 2020.
  18. 양혜원, 「온라인·비대면 문화예술 위한 인프라 지원 강화」, 『미래정책 포커스』 제29호, 여름호, 2021.
  19. 오윤지·김치호, 「K-Pop 팬던콘텐츠의 유형연구-유튜브 플랫폼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제26호, 건국대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20. 이병민, 「문화환경 취약지역 지원을 위한 기준 설정 및 정책 모델화」, 『대한지리학회지』 제56권 제6호, 2021.
  21. 이삼주·이상범, 「BSC관점에서의 공공부문 성과측정-PBLIS를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제19권 제2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5.
  22. 이종훈, 「음악산업의 매체전환과 뮤직비디오 지작양상의 변화」, 『문화콘텐츠연구』 21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1.
  2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콘텐츠 경쟁력 평가 방안 연구』, 2011.
  2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언택트 시대의 예술과 기술 결과자료집』 2020.
  25. __________________,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만족도 및 통합사이트 요구조사』, 2021.
  26. __________________,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성과요인 분석 및 성과지표 개발 결과보고서』, 2021.
  27. __________________,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비즈니스 모델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2021.
  28. __________________, 『예술지원정책에 대한 인식과 미래수요 조사연구,』 2021.
  29. __________________, 『2023년도 주요 업무 추진계획,』 2022.
  30. Auslander, P., “Digital Liveness: A Historico-Philosophical”, A Jourral of Performance Art, Vol. 34, No. 3, 3-11.
2012. 10.1162/PAJJ_a_00106
  31. Couldry, N. Liveness “Reality.” and the Mediated Habitus from Television to the Mobile Phone. The Communication Review, Vol. 7, 356-357, 2004. 10.1080/10714420490886952
  32. H.P. Hatry, R.E. Winnie, and D.M. Fisk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Washington, D.C.: Urban Institute, 1973.
  33.  

    신문기사

     

  34. 「지난해 네이버 온라인 공연 600여건···7.5배 증가」, 『전자신문』, 2021년 01월 04일자.
  35.  

    인터넷자료

     

  36. 네이버 검색어 트렌드 분석 https://datalab.naver.com/keyword/trendSearch.naver (검색일: 2023년 02월 08일)
  37. 빅카인즈 https://www.bigkinds.or.kr/ (검색일: 2023년 02월 08일)
  38. 아르코예술기록원 https://www.daarts.or.kr/video (검색일 2023년 02월 08일)
  39.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누리집 https://artson.arko.or.kr/artson/ (검색일 2023년 02월 08일)
  40.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지원 ‘아트 체인지업(Art Chage Up)사업 안내’, https://www.arko.or.kr/board/view/4013?bid=463&page=2&cid=1603746&sf_icon_category=cw00000019 (검색일 2023년 02월 08일)
  41. 유네스코 2030 문화발전지표 https://whc.unesco.org/en/culture2030indicators/ (검색일 2023년 02월 08일)
  42. [NOW] 창작에서 확산까지_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43.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075055&memberNo=46318578 (검색일 2023년 02월 08일)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27
  • No :0
  • Pages :75~120